[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과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런던 지하철 터널에서 급격히 진화한 것으로 알려졌던 '런던 지하철 모기'(Culex pipiens form molestus)의 기원이 사실은 1000년 이상 전 고대 지중해 문명, 특히 고대 이집트에 있다는 획기적인 DNA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Science, CNN, London Natural History Museum, The Telegraph, News-Medical, Wellcome Sanger Institute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프린스턴 대학과 런던 자연사박물관, 웰컴 생거 연구소 등 전 세계 약 150개 기관의 협력으로 진행됐으며, 77개 지역에서 채집한 357마리 모기의 유전체를 분석해 도시 적응 모기 연구 사상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기존 생물학계 교과서에 길게 자리잡았던 이 모기의 '급진적 도시 진화' 사례는 이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하다. 연구책임자인 프린스턴대 린디 맥브라이드 교수는 "이 모기는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지하철에 완벽히 적응해 그 곳에서 진화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우리의 유전체 분석은 수천 년 전 고대 지중해 지역에서 이미 인간과 공생하며 진화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모기는 두 가지 형태로 진화하여, 하나는 주로 새를 무는 pipiens, 다른 하나는 인간을 무는 molestus이다. 몰레스투스는 제한된 공간에서 짝짓기하고, 겨울철에도 활발히 활동하며, 흡혈 없이 알을 낳는 독특한 생존능력을 갖췄다. 이런 특성은 이집트의 초기 농경사회에서 나일강 주변 정착과 함께 발달했으며, 이후 현대 도시 지하 환경에 적응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했다. 이번 연구에서 1만2000마리의 전 세계 모기를 수집하고, 800마리 개체에서 DNA를 분석했다. 또한 런던 자연사박물관의 1900년대 샘플을 통해 지하철 시스템이 생기기 훨씬 이전부터 해당 모기 형태가 존재했음을 입증했다. 이는 지하철 모기가 지하철 환경에서 급격히 진화했다는 이전의 가설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결과다. 이 연구는 공중보건 차원에서도 중요하다. 몰레스투스와 새를 무는 파이피엔스 형태가 교배하며 잡종 모기를 만들고, 이 잡종은 새와 인간 모두를 무는 습성 때문에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의 인간 감염을 촉진할 가능성이 있다. 이번 연구 결과 잡종화 빈도는 생각보다 낮지만 대도시에서 더 활성화되어 있어, 도시화가 이러한 유전적 혼합을 가속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는 심하면 뇌염이나 사망에 이르게 하며, 올해 5월 영국에서 최초로 모기에서 감염이 확인되기도 했다. 연구진은 "대도시에서는 사람들이 새와 인간을 모두 무는 잡종 모기 때문에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감염 위험도가 높아질 수 있다"라며 "도시화, 모기 유전학, 바이러스 인수공통 전파 간 연관성을 규명하는 추가 연구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지하철 모기에 관한 오랜 진화 신화를 깨고, 도시 생태계와 인수공통감염병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학계와 보건당국 모두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가 인공지능(AI)과 로봇이 결국 모든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 단언하면서, 일은 “가게에서 사는 대신 직접 채소를 재배하는 것처럼” 선택 사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아마존 내부 문서 유출에 따른 것으로, 해당 문서에서는 아마존이 2033년까지 미국 내 약 60만명의 근로자를 로봇으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을 담고 있어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The Federal, Morning Brew, Benzinga, News18,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에 따르면, 아마존은 2025년부터 2027년 사이에는 16만명 이상의 신규 채용을 회피할 수 있다고 보고하며, 창고 운영의 75%를 자동화해 배송 품목당 약 30센트(약 400원)의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다. 이는 연간 126억 달러(약 17조원)의 비용 절감 효과로 분석된다. 이미 아마존은 전 세계 100만대 이상의 로봇을 운영 중이며, 이는 자사 인력의 약 2/3 수준이다. 이에 대해 미국 상원의원 버니 샌더스는 강력히 비판하며 "빅테크 과두들이 당신의 일자리를 노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샌더스는 아마존이 향후 10년간 최대 1억 개의 미국 일자리를 AI로 대체할 우려가 있다고 보고서를 통해 밝혔으며, 자동화가 소득 불평등을 심화시킬 위험을 강조했다. 반면 일론 머스크는 이 같은 자동화가 경제적 파괴가 아닌 “보편적 고소득(universal high income)”과 “지속 가능한 풍요(sustainable abundance)”로 이어질 것이라는 미래 비전을 제시한다. 머스크는 AI와 로봇이 모든 일자리를 대체해도 인간은 일을 선택할 자유를 얻으며, 삶의 의미와 성취감을 새롭게 고민해야 하는 과제가 남는다고 밝혔다. 그는 “개인이 스스로 채소를 가꾸는 것처럼, 일도 선택 사항이 될 것”이라며 “자동화된 유토피아 속에서 인간은 자신의 삶의 의미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대런 아세모글루는 자동화가 아마존과 같은 대기업을 “순 일자리 파괴자”로 만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경쟁사들도 비슷한 로봇 도입을 강요받을 것이며, 이는 전반적인 노동시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기했다. 아세모글루는 특히 저숙련 노동자들이 큰 타격을 받을 위험을 지적하며, 정책적 준비와 사회적 안전망 확충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아마존은 유출 문서가 회사 전반의 채용 전략을 온전히 반영하지 않는다고 부인하며, 자동화는 로봇 유지보수·AI 관리 등 새로운 직군을 창출한다고 해명했다. 또한 매년 수십만명의 계절 근로자 채용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전문가들과 노동계는 기술 발전에 따른 일자리 감소와 소득 격차 확대 문제를 우려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현재 AI와 로봇의 급격한 도입으로 노동시장은 큰 변화를 겪고 있으며, 인류가 맞이할 ‘탈노동 사회(Post-Work Society)’의 상상이 현실화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주요 AI 연구자들은 앞으로 20~30년 내에 성인 중 20%만 유급 노동을 할 가능성도 제기하는 등 전문적 논쟁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이에 맞춰 보편적 기본소득(UBI), 사회 안전망 강화, 인간의 삶의 의미 재정립 등 다양한 사회경제적 해법과 담론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 사태는 단순히 기술 혁신만이 아니라 노동시장과 사회구조, 경제 시스템 전반에 심대한 영향을 미치는 도전이 되고 있으며, 정책 입안자와 기업, 노동자 모두가 대응 전략 마련에 나서야 하는 시점임을 시사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시장 전문가들은 주식시장의 두 가지 핵심 밸류에이션 지표가 과거 대규모 조정과 폭락을 예고했던 역사적 최고치에 근접하면서, 2026년 증시 하락 가능성에 대한 경고를 내놓고 있다. Macromicro, Fortune, GuruFocus, CNBC, Financialcontent, Economic Times, Forbes, Bank of England, Reuters에 따르면, 이런 주장들이 2025년 10월 현재 이어지는 고강도 변동성 상황에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첫째 워렌 버핏이 ‘가장 신뢰하는’ 시장 평가 지표로 꼽는 버핏 지표(Buffett Indicator)는 미국 전체 주식시장 시가총액을 GDP 대비 비율로 나타내는 지표다. 2025년 10월 19일 기준 이 지표는 사상 최고치인 218.5%에 도달했다. 이는 버핏이 2001년 포춘 인터뷰에서 “200% 넘으면 불장난을 하는 것과 같다”고 경고한 임계치를 훌쩍 뛰어넘는 수치로, 닷컴 버블 시기 최고치 약 140%도 크게 상회한다. 현재 218% 수준은 2.2 표준편차 이상 역사적 추세 위에 있어, 시장이 경제 성장 대비 과도하게 부풀려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로버트 실러가 개발한 경기순환조정 주가수익비율(CAPE, cyclically adjusted price-to-earnings ratio)은 10년간 인플레이션을 조정한 평균 실적 대비 주가 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다. 2025년 10월 현재 S&P 500 기준 CAPE 비율은 39.51로, 닷컴 버블 직전 최고인 44.19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과거 CAPE가 37을 넘을 때 이후 10년 평균 주식 수익률은 마이너스로 전환됐고, 긍정적 결과가 나온 경우는 29%에 불과했다는 역사적 데이터를 보여준다. 시장 현황과 변동성 밸류에이션 우려는 실제 시장 변동성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CBOE 변동성 지수(VIX)는 10월 10일 하루 만에 25.68% 급등해 20.65에 도달하며 6개월 만에 최대 단일일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 급등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 관세 대폭 인상 위협’ 발언과 연방 정부 셧다운 장기화에 따른 투자자 불안 심리가 맞물리면서 촉발됐다. 같은 날 S&P 500 지수는 2.71% 급락해 4월 이후 최대 일일 하락률을 기록했고, 주요 기술주인 엔비디아, 테슬라, 아마존, AMD는 모두 시간외 거래에서 2% 넘게 떨어졌다. 연준 정책과 경제 불확실성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10월 28-29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0.25%포인트 추가 금리 인하를 할 전망이다. 연준 정책입안자들은 노동시장 신호가 혼재되고 경제 둔화 경고가 강해지는 상황에서 금리 인하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한다. 실제로 2025년 7월 기준으로 53% 이상 주요 산업이 일자리 감축을 보고해, 이는 과거 경기침체 전조로 간주되는 임계점이다. 여기에 식품물가 상승과 고관세 부담이 소비자 물가압력을 지속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제적, 금융적 위험 요소에 대해 JP모건 체이스 제이미 다이먼 CEO는 "6개월에서 2년 사이에 상당한 시장 조정 가능성이 평소보다 세 배 높은 30% 수준에 달한다"고 경고했다. 영란은행 또한 AI 및 기술주 중심의 과도한 밸류에이션으로 인해 ‘급격한 시장 조정’ 위험이 높아졌다고 최근 발표했다. 즉 버핏 지표와 실러 CAPE 비율의 역사적 최고치 도달, 고변동성 장세, 예상되는 추가 금리 인하와 산업 전반의 일자리 축소는 2026년 증시에 큰 변동성 위험과 조정 가능성을 시사한다. 월가 전문가들은 "역대 데이터를 토대로 할 때, 투자자들은 단기적 과열 국면에 대비해 방어적 투자전략을 모색하고, 장기적으로는 버핏의 조언대로 견고한 펀더멘털을 가진 기업에 집중하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된다"고 조언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에서 발생한 대규모 장애가 전 세계 수백개의 웹사이트와 애플리케이션에 심각한 중단 사태를 초래했다. CNN, CNBC, Reuters, Sky News, BBC, Al Jazeera, Hindustan Times, CBC, Independent, NBC News, Euronews에 따르면, 이번 장애는 미국 버지니아 북부에 위치한 AWS 핵심 데이터 센터인 US-EAST-1 리전에서 동부 표준시로 오전 3시 11분경 처음 발생했으며, Snapchat, Roblox, Fortnite, Duolingo, Ring 초인종 뿐만 아니라 아마존 자체 서비스인 Alexa와 Prime Video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받았다. 장애는 빠르게 확산되어 Downdetector 집계 기준으로 장애 신고자가 5만명이 넘었으며, 소셜 미디어, 게임, 금융, 스마트 홈 기기 등 다양한 산업계 플랫폼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Coinbase, Venmo, McDonald's 앱, PlayStation Network, 그리고 영국 내 주요 은행인 Lloyds와 Halifax 등 금융 분야에서도 접속불가 현상이 보고되어 전 세계적으로 금융 서비스 안정성에도 큰 균열을 드러냈다. AWS는 공식 발표를 통해 장애의 원인으로 US-EAST-1 리전에서 DynamoDB API 엔드포인트의 DNS(도메인 네임 시스템) 해석 문제를 지목했다. DynamoDB는 많은 애플리케이션에 데이터베이스 서비스로 작동하는 핵심 서비스로, 이 문제로 인해 연쇄적인 오류율 증가가 발생하면서 다른 서비스들도 대거 영향을 받았다. AWS는 복구를 위한 병렬 경로 작업을 긴급히 진행 중이며, 고객들이 실패한 요청을 재시도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이번 장애는 인터넷이 특정 클라우드 서비스에 얼마나 집중되어 있으며, 단일 장애가 글로벌 디지털 인프라에 미치는 파급력이 얼마나 큰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AWS는 전 세계 클라우드 인프라 시장의 약 3분의 1을 점유하고 있으며, 지난해 1070억 달러(약 130조원)의 매출을 기록, 아마존 전체 수익의 17%를 차지하는 초대형 사업부다. 따라서 US-EAST-1 리전에서 발생한 이번 장애는 수많은 기업과 이용자의 비즈니스 연속성과 서비스 신뢰도에 중대한 위협을 가했다. 영국의 정부 기관인 HM Revenue & Customs(HMRC)도 이번 사태로 웹 서비스가 중단되는 등 공공 부문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의 CEO 아라빈드 스리니바스는 SNS를 통해 “Perplexity가 현재 다운되었으며, 근본 원인은 AWS 문제”라고 확인했고, 코인베이스(Coinbase)도 “모든 자금은 안전하지만 접속 문제는 AWS 장애 때문”이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사이버 보안 전문가들은 “이번 대규모 장애는 전 세계 인터넷이 한정된 핵심 공급자에 의존하는 취약한 구조임을 다시 한번 경고한다”며 “기업들이 공급망 및 인프라 복원력을 강화해 단일 실패 지점에 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AWS는 10월 20일 오후까지도 복구 작업을 이어가고 있으며, 장애 발생 후 10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도 완전 복구에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사건은 글로벌 클라우드 업계의 안정성과 중장기적 리스크 관리에 대한 중요한 경종이 될 전망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오픈AI는 초대 오픈AI코리아 총괄 대표로 김경훈을 선임했다고 29일 발표했다. 김 대표는 20년 이상 글로벌 IT·컨설팅 업계를 이끌어온 경영자로, 한국에서 오픈AI의 전략적 협력과 AI 생태계 확장을 총괄하게 된다. 이번 임명은 한국에서 오픈AI 기술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흐름에 맞춰 이뤄졌다. 한국에서 챗GPT는 지난해 대비 주간 활성 사용자 수(Weekly Active Users)가 4배 이상 증가하며, AI 도입과 혁신을 선도하는 허브로 부상하고 있다. 김경훈 신임 대표는 2021년부터 최근까지 구글코리아 사장을 역임하며 한국 내 구글의 광고 사업을 성장시키고 조직 전반을 이끌었다. 또한 다양한 개발자 및 스타트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AI·디지털 생태계를 확장시키는 데 기여했다. 이전에는 구글 마케팅 솔루션 한국 총괄, APAC 전략·운영 총괄 등을 거치며 모바일 광고, 검색 광고 등 다양한 영역에서 성장을 견인했다. 또한 베인앤컴퍼니 서울 오피스에서 ICT·소비재·제조업 등 다수 기업의 전략 프로젝트를 수행한 바 있다.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듀크대학교에서 MBA 학위를 취득한 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S그룹이 9월 26일, 안양 LS타워에서 ‘힘에 의해 재편되는 세계’를 주제로 그룹의 미래 준비와 혁신 역량을 공유하는 ‘LS Future Day’를 올해로 4회째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구자은 LS그룹 회장을 비롯한 각 계열사 CEO, COO(최고운영책임자) 등 임직원 200여 명이 참석했으며, 신사업에 대한 아이디어와 연구개발 최고 성과 사례 등을 공유하고 시상하는 시간을 가졌다. AI 데이터센터향 케이블 개발, 양자기술 기반의 센서 설루션 구축 등 각 사의 20개 프로젝트가 발표됐으며, 이중 우수사례로 선정된 임직원은 ‘LS Futurist’로 선발돼 내년도에 최신 기술 트렌드를 경험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국제전자제품 박람회(CES 2026) 참관 기회가 주어졌다. 구 회장은 이날 임직원 격려사에서 “강대국들의 탈세계화, 자국 우선주의 등 세계 질서가 크게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는 과거 플라자합의, IMF 위기 등을 통해 이 시기의 대응방법에 따라 기업의 성공과 몰락이 좌우된다는 역사적 교훈을 알고 있다”며, “새로운 산업 질서 속에서, LS의 성패(成敗)도 지금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오늘 LS 퓨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존 리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이 개인 사유로 10월 24일 자로 사직 의사를 공식 표명했다. 2024년 5월 제1대 우주항공임무본부장으로 취임한 지 약 1년 4개월 만이다. 우주청은 후임자가 임명될 때까지 NASA 출신 김현대 항공혁신부문장이 중심이 되어 업무 공백 최소화에 나설 계획이다. 존 리 본부장은 NASA에서 29년간 근무하며 헬리오피직스 프로젝트 관리자, 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 위성통합본부장 등의 요직을 역임했다. 미국계 한국인으로 백악관 행정예산국에서도 예산 관리 경력을 쌓았다. 지난해 우주항공청 출범과 함께 R&D를 총괄하는 임무본부장에 임명돼 우주항공청 안착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그러나 그의 리더십은 내부에서 소통 부재와 조직 내 이견, ‘왕따’ 논란에 휩싸이며 논란을 빚었다. R&D 방향성 문제를 두고 내부 직원과 갈등을 빚었고, L4 탐사 프로젝트 등 주요 사업에서 의견 대립이 있었다는 전언이다. 이에 더해, 존 리 본부장은 미국 법무부의 외국대리인등록법(FARA)에 따라 외국 정부를 위해 활동하는 자로 등록돼 활동 내역을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등 복잡한 법적·정치적 문제도 안고 있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영국 런던을 찾아 유럽 사업 확대 가능성을 점검하고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나섰다. 지난 4월 일본, 8월 미국에 이어 유럽까지 이어지는 글로벌 행보로, 세계 시장에서 신영토 확장을 가속화하려는 의지로 풀이된다. 이 회장은 지주사 및 계열사 주요 경영진과 함께 지난 9일부터 런던을 방문했다. 이미경 CJ 부회장, 김홍기 CJ주식회사 대표, 윤상현 CJ ENM 대표, CJ ENM 정종환 콘텐츠·글로벌사업 총괄 등 그룹 핵심 경영진이 동행했다. 이 회장은 지난해 사우디아라비아 방문을 시작으로 올해 일본과 미국을 방문하며 글로벌 현장 경영을 본격화했다. 이재현 회장이 유럽 지역에서 현장경영에 나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그룹의 글로벌 영토 확장에서 유럽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 행보다. 이 회장은 “글로벌 리딩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해 유럽 지역을 포함한 신영토 확장을 가속화해야 한다”며 “그룹의 글로벌 사업 거점인 미국에 이어 잠재력이 큰 유럽 시장에서 신성장 기회를 적극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이 회장은 현지 임직원을 만난 자리에서 “유럽 지역에서 전방위로 확산하는 K웨이브를 놓치지 말고, 현지 시장을 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 골목에 자리잡은 ‘불아더’와 ‘쉬어가는 개구리 잡화점’. 이 두 곳의 간판은 단순한 상호명 이상의 의미와 재미, 그리고 지역 상권의 상상력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다. 간판을 통해 드러나는 창업자의 센스와 유머, 그리고 도시의 아이덴티티까지 보여준다. 이색 간판은 소비자와 창업자 모두에게 단순 상호명을 넘어서 커뮤니케이션의 매개가 된다. 연구에 따르면, 독특하고 유쾌한 간판은 창업자의 브랜드 스토리텔링 역량을 평균 28% 강화하고, 동네 상권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것이 수치로 확인됐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 강남의 한 부동산 중개소 앞. ‘전세 매물 없음’ 문구가 붙은 창문 아래로, 긴장한 표정의 30대 직장인이 서류철을 꼭 쥐고 있다. 급여명세서, 신용점수, 국세 완납증명서, 심지어 ‘임차인 자기소개서’까지. 요즘은 집을 ‘보는 게 아니라 집주인에게 보이는’ 시대다. 조만간 펼쳐질 한국 전세 부동산 시장의 모습이다. 최근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임차인 면접 서류 리스트’라 불리는 문서가 화제다. 이 서류에는 회사 PT자료, 신용점수(900점 이상), 범죄사실증명서, 반려동물 금지 서약서, 계약갱신권 포기 각서 등까지 포함돼 있다. 일부 집주인은 “화장실 인테리어를 해주면 우선권을 주겠다”는 조건까지 내건다. 시중 전세 물량이 급감하면서 ‘좋은 세입자 모시기’ 경쟁이 역전돼 ‘좋은 집주인에게 선택받기’ 경쟁으로 바뀐 셈이다. 2030세대 사이에서는 “이젠 집이 아니라 면접에 합격해야 이사 간다”는 자조 섞인 말까지 나온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금융규제 여파로 전세 공급이 줄면서 이런 현상이 일시적 과열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임대차 시장이 신용·직업·가족관계까지 기준으로 삼는다면, ‘임차인 스펙사회’라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도심 가게에서 '다윗과 골리앗'이 신발로 다시 만났다. 작고 평범한 운동화와 키만큼 거대한 흰색 크록 슈즈가 한 줄로 선 장면은, 보는 이에게 즉각적으로 이야기를 떠올리게 한다. 실용적인 데일리 운동화, 그리고 상상 속 판타지를 닮은 대형 크록 신발. 두 신발은 마치 현실과 꿈의 경계에서 맞서듯 조용히 자리를 지키고 있다. 이 대형 크록 신발은 최근 소비와 체험의 경계가 허물어진 시대에 어울리는 상징물이다. 단순 전시 오브제에서 나아가, 인증샷을 찍으려는 시민들로 시장 한구석이 작은 포토존으로 탈바꿈됐다. 일상의 작은 가게에 등장한 거대한 크록 신발은, 우리 소비문화에 유머와 상상력의 여백을 더한다. 다윗과 골리앗처럼 전혀 다른 스케일의 두 신발이 나란히 놓인 풍경은 우리에게 선택의 재미, 그리고 익숙함에 질문을 던지는 상상력의 힘을 다시금 일깨운다. 작고 실용적인 운동화 곁에 놓인 거대한 신발은 현실과 비현실의 조화를 상기시키며, 각자에게 '내가 신을 신발은 무엇인가'라는 묵직한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또 한번 우리는 스스로에게 묻는다. "정말 이걸 신는 사람이 있을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보고싶포도 참아.” 이 절묘한 조합의 상품명을 보는 순간, 마치 달콤한 과일 속에 사랑 고백이 숨겨진 듯한 느낌이 든다. 하나로마트 진열대에서 이 포도 봉지를 발견한 소비자는 잠시 멈춰 선다. ‘널 보고 싶포도, 참아야만 해…’ 과일 앞에서 나도 모르게 입가에 미소가 번진다. 최근 과일 시장엔 유쾌한 네이밍 트렌드가 확산 중이다. 유통업계는 “‘보고싶포도 참아’처럼 가볍게 웃을 수 있는 상품명이 구매 욕구와 선물 수요를 동시에 자극한다”고 분석한다. 과일이 단순히 ‘먹는 것’에서 ‘감정 교류’로 확장되는 시대, 봉지를 열 때마다 유쾌한 소통이 시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