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5 (토)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공간사회학] 59㎡, 4년째 84㎡ 눌렀다… 국민평형의 무게중심 이동중

전국 59m² 1순위 경쟁률 19.2대1 vs 84m² 5.5대1
59m²공급량은 전체의 10.4%에 불과
수도권에서는 격차 더 커…경쟁률 5.8배 이상
하반기 신규 분양도 59㎡ 포함 단지 주목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민간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전용 59㎡ 소형 평형이 뚜렷한 강세를 이어가고 있다. 공급은 전체의 10.4%에 불과하지만, 청약 경쟁률은 국민평형 84㎡보다 세 배 이상 높았다. 특히 수도권에서는 격차가 다섯 배를 넘어서며 소형 선호 현상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리얼하우스가 청약홈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2025년 8월 25일 모집공고까지)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에서 전용 59㎡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9.2대 1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84㎡는 5.5대 1에 그쳤다. 수도권은 격차가 더 컸다. 59㎡가 28.3대 1, 84㎡는 4.8대 1로, 경쟁률 격차가 5.8배까지 벌어졌다.

 

이 같은 역전 현상은 2022년 처음 나타났다. 당시 59㎡는 9.0대 1, 84㎡는 5.9대 1로 1.5배 차이를 보였고, 2023년에도 비슷한 수준이 이어졌다. 격차가 본격적으로 확대된 것은 지난해부터다. 59㎡가 27.2대 1, 84㎡는 10.3대 1로 2.6배 차이가 났다. 올해는 59㎡가 19.2대 1, 84㎡가 5.5대 1로 격차가 약 3.5배로 확대됐다.

 

수도권은 흐름이 더욱 뚜렷하다. 2023년부터 59㎡가 84㎡의 두 배 이상 경쟁률을 기록했고, 2024년에는 2.7배까지 벌어졌다. 올해는 59㎡ 28.3대 1, 84㎡ 4.8대 1로 무려 5.8배 차이를 보이며 격차가 더 커졌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상황은 정반대였다. 2020년 전국 1순위 평균 경쟁률은 84㎡가 31.1대 1로, 59㎡(12.7대 1)를 크게 웃돌았다. 하지만 2022년을 기점으로 소형 평형이 우위를 점하며, 4년째 이어지고 있다.

 

공급 추세 역시 이 같은 흐름을 뒷받침한다. 수도권 59㎡ 공급량은 2020년 7월까지(모집공고 기준)8,934세대였지만 올해 같은 기간에는 3,319세대로 줄어 약 40% 감소했다. 같은 기간 84㎡는 1만5,930세대에서 1만2,628세대로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공급은 줄었지만 수요는 여전히 견고해, 경쟁률 격차는 오히려 확대되는 양상이다.

 

같은 단지 내에서도 경쟁률 격차는 뚜렷하다. 지난 6월 서울 영등포구 ‘리버센트 푸르지오 위브’는 59㎡ 경쟁률이 582.7대 1로, 84㎡(123.4대 1)의 약 5배에 달했다. 1월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도 59㎡ 282.4대 1, 84㎡ 116.4대 1로 2.4배 차이를 보였다.

 

경기와 인천에서도 같은 흐름이 이어진다. 과천의 ‘디에이치 아델스타’는 59㎡가 81.4대 1로, 84㎡(35.0대 1)의 2.3배 차이, 인천 미추홀구 ‘시티오씨엘 7단지’는 59㎡ 11.8대 1, 84㎡ 2.5대 1로 약 4.7배 차이를 기록했다.

 

소형 평형 강세의 배경에는 가격 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 같은 단지 내에서도 분양가 차이는 수억원에 달한다. 래미안 원페를라는 59㎡와 84㎡ 사이 가격 차이가 6억원대 중반이었고, 디에이치 아델스타는 7억원 가까이 났다. 초기 자금 부담이 큰 중대형보다 소형으로 수요가 몰릴 수밖에 없는 이유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변화를 구조적 요인으로 분석한다. 대출 규제와 고금리 속에서 초기 자금 부담이 적은 소형 평형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

 

최근 건설사들이 59㎡에도 드레스룸과 팬트리 등 특화 공간을 적용하고, 일부 단지에서는 4Bay 구조까지 도입하며 상품성을 높이고 있다. ‘작지만 똑똑한 집’이라는 인식이 확산된 것도 한몫했다. 전세 사기 여파로 비아파트 수요가 줄면서 신축 소형 아파트 쏠림 현상은 더욱 강화되고 있다.

 

리얼하우스 김선아 분양분석팀장은 “전통적인 국민평형은 84㎡였지만, 최근 4년간 청약 데이터를 보면 무게중심이 59㎡로 뚜렷하게 이동했다”며 “공급 부족과 자금 부담, 상품성 강화가 맞물리면서 소형 평형은 시장의 새로운 주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흐름은 분양을 앞둔 단지들에서도 이어질 전망이다. 수도권 주요 신규 분양 가운데 일부 단지들은 59㎡ 물량을 포함해 청약시장의 관심을 끌고 있다

 

두산건설이 인천 미추홀구 도화 4구역 재개발을 통해 공급하는 ‘두산위브 더센트럴 도화’는 9월 9일 1순위 청약 접수를 받는다. 지하 2층~지상 39층, 총 660세대 규모로, 전용 59㎡·74㎡·84㎡의 중소형 평형 위주로 구성됐다. 1호선 도화역과 인천지하철 2호선 주안국가산단역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며, 향후 GTX-B 노선(예정) 개통 시 서울 주요권역 접근성은 더욱 개선될 전망이다. 

 

DL이앤씨는 강남 서초동 신동아아파트 재건축을 통해 ‘아크로 드 서초’를 10월 분양할 예정이다. 지하 4층~지상 39층, 16개 동, 총 1,161세대 규모로 조성되며, 일반분양은 59㎡ 56세대이다. 강남역(2호선·신분당선 환승)까지 직선거리 약 600m에 위치한 역세권 단지로, 교대역(2·3호선)과 양재역(3호선)도 인근에 있다. 

 

쌍용건설은 서울 지하철 1호선 온수역 인근에 ‘쌍용 더 플래티넘 온수역’을 10월 분양한다. 지하 3층~지상 35층, 6개동, 전용면적 36~84㎡형 총 759가구 규모로 이 중 전용 59㎡형 226가구와 84㎡형 4가구 등 총 230가구를 일반분양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남양주 진접2지구 A7블록에서 공공분양 아파트를 9월 본청약으로 공급한다. 총 710가구 규모로, 이 중 분양 405가구와 임대 305가구로 구성됐다. 전용 55㎡와 59㎡의 실속형 중소형 중심이며, 진접선(4호선 연장) 신설역 인근에 자리해 강북·서울권 접근성이 우수하다. 사전청약 당시 분양가는 전용 55㎡와 59㎡ 모두 3억 원대 수준으로 책정돼, 공공분양 메리트가 부각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홍삼세트 뚜껑 열자 현금 2000만원…강호동 농협회장 선거 '답례' 뇌물 '의혹'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강호동 농협중앙회장이 선출 과정에서 받은 '홍삼세트 속 현금 2000만원' 답례 논란이 JTBC 등 복수 매체와 국회 국정감사장에서 녹취와 구체적 정황으로 공개되며 파장이 커지고 있다. 경찰이 압수수색과 본격 수사에 착수했고, 미래혁신실을 통한 퇴직자 인사 연관 의혹도 제기되면서 농협 내부 투명성 논란은 한층 고조됐다. 녹취로 드러난 현금 답례 수수 JTBC 취재에 따르면, 2022년 8월 강호동 당시 율곡조합장(현 농협중앙회장)이 차기 중앙회장 선거를 앞두고 서울 소재 농협은행 지점장으로부터 홍삼선물세트 상자에 현금 2000만원을 수수했다는 녹취가 공개됐다. 두 사람이 식당에서 만나 동석자들이 잠시 자리를 비운 사이, 준비된 홍삼박스에 현금을 담아 전달한 방식까지 구체적으로 담겼다. 해당 지점장은 강 회장 당선 약 1년 뒤 계열사 사외이사 후보로 연락을 받았다. 인사 관련 통화 녹취에서는 농협 본부 11층(회장 집무실)에서 추천이 이뤄졌다는 구체적인 언급도 있어, 인사청탁 대가성 의혹이 짙어지고 있다.​​ 국회·시민사회, 미래혁신실 통한 인사 논란 비판 강 회장 취임 이후 신설된 농협 미래혁신실이 퇴직자 인사 조율 등 재취업 업

[The Numbers] 블랙록 자회사 뷔나그룹, 韓 재생에너지·데이터센터에 20조원 투자…“아시아 AI 수도” 전략 가속화 '잰걸음'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BlackRock, Inc.)의 자회사인 싱가포르 기반 에너지 전문 기업 뷔나(VENA) 그룹이 23일 한국 정부에 20조원 규모의 투자 의향서(LOI)를 공식 전달했다. 이번 투자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9월 미국 유엔 총회 참석 당시 블랙록 래리 핑크 회장과 체결한 AI·재생에너지 투자 협력 양해각서(MOU)의 첫 번째 구체적 성과로 평가받는다. 뷔나그룹은 투자의향서에서 태양광, 육상 및 해상풍력, 에너지 저장장치(BESS), 그린수소, 연료전지 등 재생에너지 분야 전반에 투자할 계획이며, 대표 프로젝트로는 태안해상풍력(500MW)과 욕지해상풍력(384MW) 발전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차세대 AI 컴퓨팅 확대를 위한 재생에너지 연계형 전력망 대응 AI 데이터센터 구축에도 적극 나서기로 했다. 뷔나그룹은 아시아태평양 최대 규모(9.7GW)의 재생에너지 개발 및 운영 민간발전사업자로, 블랙록과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GIP)가 공동 소유한 에너지 특화 투자 플랫폼이다. 이번 투자를 통해 뷔나는 한국의 재생에너지 전환과 AI 산업 경쟁력 제고에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23일 국회에서

[이슈&논란] 시흥 교량 붕괴, SK에코플랜트·계룡건설 6개월 영업정지…안전관리 논란 재점화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난해 4월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시화MTV 서해안 우회도로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교량 상판 구조물 붕괴 사고와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시공사인 SK에코플랜트와 계룡건설에 대해 각각 6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이번 처분은 오는 12월 1일부터 내년 5월 31일까지 시행된다. 사고 발생 당시 거더를 교각 위에 올리는 과정에서 거더가 파단 및 충돌하며 교량 상판 9개가 연쇄적으로 붕괴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50대 근로자 1명이 사망하고, 다른 작업자 5명과 시민 1명 등 6명이 부상을 입었다. 국토부는 사고 원인으로 안전관리 미흡과 공사 현장 관리의 부실을 지적했다. 경찰은 현장소장 등 6명과 하도급업체 관계자 2명을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검찰에 송치한 상태다. SK에코플랜트와 계룡건설은 컨소시엄 형태로 해당 공사를 진행했으며, 두 회사 모두 이번 행정처분에 불복해 법적 대응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시공 품질에 문제는 없었으며 안전관리 의무도 충분히 이행했다”는 입장을 밝히고 법적 절차를 통한 소명을 예고했다. 계룡건설 역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계획하고 있다. 만약 가처분 신청이 받아

[핫픽] “전세 구하려면 면접까지? 급여명세·신용점수 900점은 기본"…전세품귀로 임차인 스펙시대 '서류리스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 강남의 한 부동산 중개소 앞. ‘전세 매물 없음’ 문구가 붙은 창문 아래로, 긴장한 표정의 30대 직장인이 서류철을 꼭 쥐고 있다. 급여명세서, 신용점수, 국세 완납증명서, 심지어 ‘임차인 자기소개서’까지. 요즘은 집을 ‘보는 게 아니라 집주인에게 보이는’ 시대다. 조만간 펼쳐질 한국 전세 부동산 시장의 모습이다. 최근 온라인 부동산 커뮤니티에서는 ‘임차인 면접 서류 리스트’라 불리는 문서가 화제다. 이 서류에는 회사 PT자료, 신용점수(900점 이상), 범죄사실증명서, 반려동물 금지 서약서, 계약갱신권 포기 각서 등까지 포함돼 있다. 일부 집주인은 “화장실 인테리어를 해주면 우선권을 주겠다”는 조건까지 내건다. 시중 전세 물량이 급감하면서 ‘좋은 세입자 모시기’ 경쟁이 역전돼 ‘좋은 집주인에게 선택받기’ 경쟁으로 바뀐 셈이다. 2030세대 사이에서는 “이젠 집이 아니라 면접에 합격해야 이사 간다”는 자조 섞인 말까지 나온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금융규제 여파로 전세 공급이 줄면서 이런 현상이 일시적 과열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한다. 하지만 임대차 시장이 신용·직업·가족관계까지 기준으로 삼는다면, ‘임차인 스펙사회’라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