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공간사회학] 도시 발전의 비밀 '게이지수와 3T이론'…게이지수 높은 도시 TOP10, 토론토·베를린·샌프란·멜번·브라이튼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도시가 발전하려면 당연히 창의적 인재가 많아야 한다. 리처드 플로리다 교수는 저서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에서 도시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3T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람들이 특정 도시로 몰리는 현상을 분석하며, 도시의 경쟁력을 결정짓는 세 가지 요소를 'Technology(기술), Talent(재능), Tolerance(관용)'라고 정의했다.

 

 

도시발전의 3요소…3T(Technology, Talent, Tolerance)

 

첫째 Technology(기술)은 경제 성장의 토대다. 플로리다 교수는 첨단 기술 산업과 연구 개발(R&D)이 활발한 도시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리콘밸리와 같은 기술 허브는 이러한 기술 생태계의 전형적 사례다.


둘째 Talent(재능)이다. 재능 있는 개인, 특히 창의적 인재들은 도시의 경제와 문화를 풍요롭게 한다. 교육 수준이 높고 창의적인 사람들이 집중된 도시일수록 경쟁력이 뛰어나다. 예를 들어 보스턴은 하버드대, 매사추세츠공대, 보스턴대, 노스이스턴대 등 유수 대학과 연구 기관이 밀집해 있어 세계적 인재를 끌어들인다.


셋째 Tolerance(관용)다. 플로리다는 도시의 관용성과 포용성이 중요한 이유로 창의적 집단, 특히 성소수자와 같은 다양성의 상징적 집단의 존재를 들었다. 그는 성소수자 인구가 많은 도시는 일반적으로 열린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많으며, 이는 혁신과 창의성을 촉진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기반으로 "게이 지수(Gay Index)"라는 개념도 도입해 도시의 관용성과 발전 가능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사용했다.

 

한국에서 3T 이론을 가장 잘 실현한 도시는 판교와 강남, 홍대, 마곡 지역으로 볼 수 있다. 판교, 강남, 홍대, 마곡의 경우 3T의 요소인 Technology(IT 기업과 스타트업 밀집, 첨단 인프라와 IT지원센터 풍부), Talent(첨단 기술과 소프트웨어 개발 인재, 예술가와 디자이너등의 대거 유입), Tolerance(글로벌 기업과 협업하는 문화, 젊은층과 문화적 다양성을 수용하는 특성)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다.

 

 

성소수자(LGBTQ+) 집단과 도시 발전의 상관관계

 

플로리다 교수는 창의적 인재가 도시를 선택하는 기준 중 하나로 "문화적 포용성"을 꼽았다. 성소수자들이 많이 모여 사는 도시는 일반적으로 다른 소수 집단도 포용하는 경향이 있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람들이 선호하는 환경이 된다는 주장이다. 이러한 도시들은 다양성(diversity)을 기반으로 경제적, 문화적 번영을 이룬다고 주장했다.

 

여기서 ‘포용성’의 대표적 지표로 게이 지수가 활용된다. 실제로 미국의 첨단산업 중심지와 게이 지수 상위 도시가 상당 부분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이 지수(Gay Index)는 미국의 경제학자 리처드 플로리다(Richard Florida)가 개발한 개념으로, 각 도시나 지역에 거주하는 동성애자(게이)의 비율을 수치화한 지표다. 플로리다는 이 지수를 통해 한 도시의 개방성(open-mindedness)과 다양성(diversity)을 측정하고자 했다. 즉 그 도시가 새로운 아이디어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을 받아들이는 ‘열린 태도’와 ‘관용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그의 연구에 따르면, 게이 공동체가 많이 거주하는 도시는 대체로 첨단산업이 발달하고, 창의적 인재가 몰리며, 경제적 활력도 높다는 공통점이 있다.

 

 

게이 지수의 의미와 사회적 함의


게이 지수는 단순히 동성애자 인구의 비율을 나타내는 통계적 수치에 그치지 않는다. 이 지수는 한 사회가 얼마나 다양한 집단을 포용할 수 있는지, 즉 사회적 관용성과 개방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플로리다는 “동성애는 우리 사회에서 다양성의 마지막 전선이며, 게이 공동체를 받아들이는 지역은 모든 종류의 사람들을 환영한다”고 강조했다. 다시 말해, 게이 지수가 높다는 것은 곧 그 지역이 다양한 인적 자원을 끌어들이는 진보적 환경임을 의미한다.

 

게이 지수가 높은 도시는 성소수자뿐 아니라 인종, 종교, 국적 등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을 포용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런 도시일수록 창의성과 혁신이 촉진되고, 경제적 성장 잠재력이 높다는 것이 플로리다의 핵심 주장이다. 다시 말해, 게이 지수는 한 사회의 다양성과 개방성, 그리고 미래 성장 가능성을 가늠하는 대표적 ‘사회적 온도계’로 기능한다.

 

대표적으로 챗GPT의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CEO도 2024년 1월 호주출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인 올리버 멀헤린 결혼식을 올리고 샌프란시스코에서 거주하고 있다. 동성애자인 올트먼은 고등학생 시절 커밍아웃했다.

 

그는 그동안 자신의 개인 생활을 대외적으로 공개하지 않다가 2023년 백악관 만찬에 멀헤린과 함께 동반 참석하며 처음으로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낸 바 있다.

 

또 드림웍스, 게펜 레코드 등을 창업한 미국 음악·미디어 재벌 데이비드 게펜(David Geffen) 역시 1992년 커밍아웃한 대표적인 게이 인물로, 미국 내 가장 영향력 있는 동성애자 중 한 명이다. 남성인 데이비드 게펜(David Geffen)은 2023년 3월 동성 남성인 데이비드 암스트롱(David Armstrong, 무용수 출신, Donovan Michaels 이름으로도 알려짐)과 무려 50세 차이차를 극복하며 결혼했지만, 현재 결혼 2년 만에 이혼 소송중이다.

 

 

관용성이 높은 도시(예: 샌프란시스코, 암스테르담)는 대체로 GDP가 높다. 이는 다양성과 열린 사회가 글로벌 기업을 유치하고 창업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반면 관용성이 낮은 도시(일부 폐쇄적 사회, 공산주의 국가)는 해외 투자와 글로벌 인재 유치에 한계가 있어 GDP 성장 속도가 느리다.

 

Page, Scott 등 유명 경제학자들 연구에 따르면, 소수 집단의 다양성이 높은 지역은 평균적으로 더 많은 특허를 출원한다. 이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교환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창업률 역시 관용성이 높은 도시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성소수자와 같은 소수 집단이 보호받는 도시에서는 스타트업 생태계가 활발하게 발전하는 경향이 있다. 샌프란시스코와 뉴욕은 대표적으로 높은 창업률과 관용성을 보여주는 도시다.


브루킹스 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의 보고서에 따르면, 성소수자 및 다양한 인종·문화 집단이 거주하는 지역은 부동산 가치와 상업적 매출이 더 높게 나타난다. 이는 관용적 문화가 도시 브랜드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관광 및 투자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세계 게이 지수(혹은 LGBT 친화도) TOP10 도시


Big 7 Travel, Spartacus Gay Travel Index, 원처치(OneChurch)등의 자료를 취합해 게이 지수 및 LGBT 친화도, 동성애자 비율, 포용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한 주요 글로벌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는 토론토(캐나다), 2위는 베를린(독일), 3위는 샌프란시스코(미국), 4위는 멜번(호주), 5위는 브라이튼(영국)으로 나타났다.

 

6위~10위는 마드리드(스페인), 암스테르담(네덜란드), 런던(영국), 뉴욕(미국), 몬테비데오(우루과이) 순으로 조사됐다.

 

TOP10 도시 중 미국 내 도시만 놓고 보면, 샌프란시스코가 LGBT 인구 비율 1위(약 15.4%)로 ‘게이 도시’의 대명사로 꼽히며, 포틀랜드, 오스틴, 뉴올리언스, 시애틀, 보스턴, 로스앤젤레스, 덴버, 하트퍼드 등이 뒤를 잇는다.

 

 

한국의 게이 지수와 ‘게이 도시’ 순위 예측


한국은 국제적으로 볼 때 성소수자 인권 및 포용성 지수가 낮은 편이다. SOGI법정책연구회의 '한국 LGBTI 인권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22년 6월 기준 한국의 무지개 지수(Rainbow Index)는 10.56%로, 이는 유럽 49개국 중 44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이는 한국의 성소수자 인권 보호 수준이 낮음을 나타내며, 성소수자에 대한 사회적 수용도가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입소스(Ipsos)의 2023년 조사에 따르면, 한국에서 자신을 성소수자로 식별하는 비율은 글로벌 평균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 인식과 문화적 요인으로 인해 자신의 성적 지향이나 성별 정체성을 공개적으로 밝히기 어려운 환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상대적으로 성소수자 친화적이고 게이 커뮤니티가 활성화된 도시를 꼽자면 다음과 같다.

 

1위 서울은 이태원, 홍대, 종로3가 일대를 중심으로 게이바, 클럽, 커뮤니티 공간이 집중되어 있어 ‘한국의 게이 도시’로 불린다. 매년 서울퀴어문화축제(프라이드 퍼레이드)가 열리며, 최근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성소수자에 대한 인식도 점차 개선되는 추세다. 그러나 법적·제도적 보호는 여전히 미흡하며, 사회적 차별과 혐오도 존재해 국제적 기준에는 미치지 못한다.

 

2위는 부산 서면, 3위는 대구 동성로, 4위는 광주, 5위는 인천을 꼽을 수 있다.

 

즉 게이 지수(Gay Index)는 단순히 동성애자 비율을 나타내는 통계적 숫자가 아니라 도시의 개방성과 다양성, 창의성, 첨단산업 발전 가능성을 가늠하는 척도다. 

 

 

도시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이론들

 

제인 제이콥스(Jane Jacobs)는 저서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에서 도시 발전의 핵심으로 다양성과 복합성을 강조했다. 그녀는 다양한 용도의 건축물, 사람들의 활발한 교류, 작은 상권 등이 활기찬 도시를 만든다고 주장했다.

 

이는 플로리다 교수의 Tolerance와 유사한 관점에서 도시의 개방성과 창의적 집단의 중요성을 논의한다. 차이점은 제이콥스는 구체적인 물리적 환경과 커뮤니티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춘 반면, 플로리다는 창의적 계급과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했다.


알프레드 마샬(Alfred Marshall)은 '집적 경제(Agglomeration Economy) 이론'을 제시하며 기업과 인구의 밀집도가 도시의 경제를 발전시킨다고 보았다. 같은 산업이나 관련 업종이 한 지역에 집중될수록 지식과 기술의 교환이 활발해지고, 이를 통해 혁신이 촉진된다. 플로리다의 Technology 요소와 연결되지만, 마샬은 주로 산업 클러스터와 경제적 이익에 집중했다는 차이점이 있다.


리처드 레빈(Richard Levin)의 창조적 생태계 이론도 비슷한 맥락의 이론이다. 레빈은 도시를 창조적 생태계로 보고, 기술, 문화, 사회적 환경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지속 가능한 발전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는 플로리다의 3T 이론을 확장한 모델로 볼 수 있으며, 단순한 기술이나 관용성을 넘어 문화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배너
배너
배너



[핫픽] 새(new) 아파트가 새(bird) 아파트?…"집값 비싸 무허가 입주한 비둘기 가족"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신축 아파트에서 비둘기가 들어와 둥지를 틀고, 심지어 새끼까지 낳는 ‘도시 생태계 이상 신호’가 현실이 됐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진짜 새 아파트”란 제목의 게시글과 사진이 화제다. 사진에는 욕실 천장에 들어온 비둘기와, 스프링클러 배관 틈에 둥지 서식지로 삼은 어린 새끼 비둘기가 포착됐다. 댓글 창엔 “샷시 달기 전 들어와서 둥지 틀고 새끼 낳은 듯 하다”, “새들도 집값 비싸서 무허가 입주했나 보다” 등 도시민의 씁쓸한 농담과 함께, “아파트 건립 과정의 틈새가 새들의 새로운 서식지로 변모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도심 속 비둘기, 어디까지 적응했나? 비둘기는 대표적인 도시 적응종으로 꼽힌다. 2025년 기준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비둘기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최대 50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한국조류학회 조사에서 파악됐다. 유럽, 북미 주요 도시 역시 비둘기가 에어컨 실외기, 빌딩 틈새, 아파트 베란다 등 다양한 틈을 활용해 둥지를 트는 사례가 해마다 늘고 있다. 비둘기의 번식 습성은 도심 적응에 최적화되어 있다. 한 쌍이 1년에 평균 6~8회의 번식을 한다는 해외 학계 발표도 있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처음

[지구칼럼] 도심 열섬의 역습, 서울 25개 구 열대야 일수…'종로구·중구’ 9일 vs '은평구·노원구' 2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7월 29일 현재 서울 종로구와 중구는 9일 연속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지만, 산지 비중이 높은 노원·은평구는 단 2일에 그쳤다. 도봉·강북구 역시 3~4일 수준으로, 같은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 ‘밤더위 체감’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이 현상의 핵심 배경은 바로 ‘도시 열섬 효과’(Urban Heat Island)다. 열대야는 밤사이(오후 6시~익일 오전 9시) 최저기온이 25℃ 이상을 기록하는 밤을 의미하며, 보통 아스팔트·빌딩 밀집 등 인공 열발산이 많은 도심일수록 기록이 두드러진다. 28일 밤, 서울 도심에서는 최저기온이 28.8℃에 달해 9일째 열대야가 관측됐다. 이는 2018년 7월(29.2℃) 당시와 거의 맞먹는 극한 수치다. 반면, 은평구(24.3℃)·관악구(24.6℃) 등 외곽 산지구역은 밤기온이 뚝 떨어지며 열대야 일수가 크게 줄었다. 실제로 도시 중심 영등포구의 밤 최저기온이 외곽보다 최대 4.3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후 전문가들은 “서울 도심은 낮 동안 건물이 흡수한 열이 밤에 방출돼 기온 하락이 더뎌지고, 외곽 산지구는 녹지대 효과와 환기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기온이 빠르게 내려간다”고 분석한다. 행정구별

[랭킹연구소] “글로벌 미식권력의 이동", 2025년 세계 최고 레스토랑 TOP50…페루 '마이도' 1위, 한국 ‘밍글스’ 29위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세계 최고 미식의 현장, 그 지각 변동은 결국 식탁 위에서 시작된다.” 2025년 6월 1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최된 ‘월드 베스트 레스토랑 50’(W50B) 발표식에서, 페루 리마의 ‘마이도(Maido)’가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으로 선정됐다. 이 순위는 28개 글로벌 지역, 각 40명(셰프·저널리스트·외식산업가 등)으로 구성된 전 세계 1120명의 셰프, 음식저널리스트, 미식 비즈니스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아카데미의 익명 다중 투표로 결정되며, 결과는 딜로이트(Deloitte)에서 외부감사까지 진행한다. 그래서 글로벌 미식 트렌드의 바로미터로 평가받는다. “마이도(Maido): 니케이의 정점, 글로벌 미식 트렌드를 말하다” 1위 영예를 안은 ‘마이도’의 오너셰프 미쓰하루 쓰무라는 일본계 페루 이민 4대손으로, 일본 조리 기술과 페루 현지 재료를 결합해 ‘니케이(Nikkei) 요리’라는 독창적 미식 세계를 구축했다. 쓰무라는 “인류와 환경의 지속가능성, 로컬과 글로벌의 조화가 새로운 미식 패러다임”이라고 강조했다. 2025 주요 트렌드 및 특징 올해 1위 ‘마이도’를 포함해 페루 리마가 단숨에 미식의 새로운 메카로

[공간사회학] 37년간 수도요금 안 낸 아파트가 있다고?…공짜물 먹던 주민, 수도세 내게 된 이유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경기도 수원시의 한 아파트 단지가 37년 동안 수도요금 없이 지하수로 생활용수를 해결해온 사실이 드러나 화제를 모으고 있다. 바로 영통구 망포동 청와아파트 이야기다. 최근 단수 사태 이후 마침내 2025년 7월부터 상수도 전환이 이뤄지면서 논란과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다. “공짜 물”의 끝, 수도꼭지마저 잠겼다 1988년 준공된 청와아파트는 당시 행정구역이 화성군(현 화성시) 태안읍에 속해 있었으나, 1995년 수원시로 편입됐다. 입주시점부터 별도의 전용 지하수 관정을 사용, 250가구 전체가 상수도 없이 지하수만으로 생활했다. 수도권 한복판에서 드문 형태였기에 수원시의 상수도 공급률 역시 오랜 기간 100%에 미치지 못했다. 실제로 2006년 기준 수도급수율은 99.6%, 2009년에는 99.9%였지만, 단 한 곳, 청와아파트만이 제외된 셈이다. 수도요금이 전혀 청구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지하수 사용에 따른 별도의 요금 체계가 없었고, 관리비 일부로 전기와 유지비만 분담해온 것. 주민 상당수는 “지하수가 계속 잘 나왔으니 굳이 돈 들여 상수도를 쓸 이유가 없었다”는 반응을 보여왔다. 단수 사태, 변화의 신호탄 하지만 변화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