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4 (월)

  • 맑음동두천 10.9℃
  • 맑음강릉 12.3℃
  • 맑음서울 12.2℃
  • 맑음대전 12.7℃
  • 구름많음대구 12.5℃
  • 맑음울산 14.8℃
  • 구름많음광주 14.4℃
  • 맑음부산 14.9℃
  • 맑음고창 12.6℃
  • 구름많음제주 16.4℃
  • 맑음강화 9.3℃
  • 맑음보은 11.7℃
  • 맑음금산 12.8℃
  • 구름많음강진군 13.9℃
  • 맑음경주시 10.4℃
  • 구름조금거제 15.0℃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랭킹연구소] 500대 기업 신규 채용 및 퇴직 현황 분석 ‘덜 뽑고 덜 나간다’…대기업 고용 정체 심화

자동차·조선·철강 제외 대부분 업종 채용 급감…IT전기전자·2차전지·서비스 등 두드러져
LG 3사 2년간 대규모 축소…하이브는 채용·퇴직 엇갈린 흐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대기업에서 덜 뽑고 덜 나가는 고용 경직성이 심화됐다. 경기 침체와 업황 부진 속에 신규 채용은 크게 줄고, 기존 인력은 이직이나 퇴사 대신 자리를 지키면서 나타난 결과다. 이에 따라 조직 내 인력 순환이 더뎌지는 ‘고용 정체’ 현상이 더 뚜렷해졌다.

 

8월 26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500대 기업 가운데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제출한 152개사 중 신규 채용 및 퇴직 인원을 공개한 기업의 고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24년 기준 전체 신규 채용 인원은 15만4266명으로 전년보다 12.0%(2만998명) 줄었다.

 

2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29.9%(6만5784명) 감소한 수치다. 같은해 퇴직자는 6만9354명으로 전년 대비 12.0%, 2년 전과 비교하면 8.7% 줄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지난해보다 53곳이 채용을 늘렸고 그보다 훨씬 많은 95곳이 줄였으며, 1곳은 변동이 없었다. 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SDI 등의 삼성 계열사는 고용 현황을 공시하지 않아 조사에서 제외됐다.

 

신규 채용과 퇴직 간 격차는 2년 새 좁혀졌다. 2022년만 해도 신규 채용이 퇴직자의 2.9배에 달했으나, 2023년와 지난해는 2.2~2.3배 수준에 머물렀다. 퇴직자도 줄었지만 채용 감소폭이 더 크면서 인력 교체 흐름이 더뎌지는 추세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 2차전지, 서비스, 석유화학 등 업황이 전반적으로 어려운 분야에서 채용 감소가 두드러졌다.

 

IT전기전자는 지난해 신규 채용이 3만7657명으로 전년 대비 22.2%(1만736명) 줄었다. 2년 전(7만4163명)과 비교하면 –49.2%로 절반 수준이다. 퇴직자는 2022년 2만2769명에서 2023년 1만8510명, 2024년 1만3494명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LG 계열 3사의 채용 위축이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 LG이노텍은 신규 채용이 2022년 1만5210명, 2023년 1만3390명에서 2024년 7879명으로 줄며 2년 새 –48.2%를 기록했다. 퇴직자는 같은 기간 485명→528명→444명으로 나타나 2년 전 대비 8.5% 감소했다.

 

LG디스플레이는 2022년 3만716명에서 2023년 1만3808명, 2024년 1만601명으로 급감했다. 2년 새 –65.5%이고, 1년 전과 비교해도 –23.2%다. 다만 퇴직자 수는 공시되지 않았다.

 

LG전자는 2022년 2만65명에서 2023년 1만6405명, 2024년 1만3956명으로 줄며 2년 새 30.4% 감소했다. 같은 기간 퇴직자는 1만8311명→1만4674명→1만136명으로 줄어, 신규 채용 감소율을 웃도는 44.6% 하락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퇴직 규모는 2년 연속 1만명 이상을 유지했다.

 

2차전지 업종은 채용 감소폭이 더 컸다. 신규 채용은 2022년 1만3890명에서 2023년 5432명, 2024년 3115명으로 2년 새 77.6% 급감했다. 퇴직자는 같은 기간 3034명→5695명→6535명으로 늘어, 채용 감소와 동시에 퇴직 증가가 맞물리며 전반적인 고용 축소 국면으로 나타났다.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이 회사 신규 채용은 2022년 1만2329명에서 2023년 4142명, 2024년 2411명으로 줄어 2년 새 80.4%나 줄었다. 동시에 퇴직자는 2594명→5187명→5995명으로 크게 늘었다. 채용 축소에 그치지 않고 전체 인력 사이즈를 줄이는 긴축 기조가 엿보인다.

 

엘앤에프도 유사한 흐름이다. 같은 기간 신규 채용이 714명→559명→147명으로 2년 새 79.4% 줄었고, 퇴직자는 268명→261명→285명으로 지난해부터 오히려 늘었다.

 

 

서비스 업종 또한 채용 축소와 함께 퇴직 증가가 동시에 나타났다. 신규 채용은 2022년 1만428명에서 2023년 7916명, 2024년 6104명으로 2년 새 41.5%, 전년도와 비교해도 22.9% 감소했다. 퇴직자는 2198명→3815명→3926명으로 늘어 2년 전 대비 78.6% 급증했다.

 

가장 크게 채용을 줄인 곳은 삼성SDS다. 2022년 4949명에서 2023년 3643명, 2024년 2107명으로 감소했다. 1년 새 –42.4%이고 2년으로 따지면 –57.4%로 절반이 채 안된다. 퇴직자는 2023년 2150명에서 지난해 2203명으로 소폭 늘었다.(2022년 수치는 미공시)

 

카카오도 신규 채용이 870명→452명→314명으로 2년간 63.9% 감소했다. 이 기간 퇴직자는 373명→208명→225명으로 등락이 있었지만, 지난해엔 전년 대비 8.2% 증가했다.

 

NHN의 경우 감소폭이 더 컸다. 신규 채용이 428명→252명→107명으로 2년 만에 75% 급감했다. 퇴직자는 194명→180명→177명으로 완만히 감소했으나, 채용 축소가 워낙 큰 탓에 지난해에는 오히려 퇴직자가 채용 인원을 넘어서는 현상이 나타났다.

 

하이브는 서비스업계 내 다른 기업들과 달리 채용과 퇴직이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신규 채용은 2022년 560명에서 2023년 725명으로 늘었다가 지난해 646명으로 줄었다. 반면 퇴직자는 2022년 310명에서 2023년 252명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377명으로 다시 크게 늘었다. 채용이 일정 수준 유지된 가운데 퇴직자가 증가세로 돌아서면서 인력 구조의 변동성이 두드러졌다.

 

석유화학 업종은 퇴직자는 비슷한 수준을 보인 가운데 채용만 크게 줄었다. 신규 채용은 2022년 8405명에서 2023년 6416명, 2024년 4335명으로 2년 새 48.4% 감소했다. 퇴직자는 2225명→2187명→2228명으로 거의 변동이 없었다.

 

LG화학은 국내 기준 신규 채용 인원이 2022년 1431명에서 2023년 662명, 2024년 178명으로 줄며 2년 새 87.6%나 감소했다. 퇴직자는 344명→303명→346명으로 등락 속 지난해엔 소폭 늘었다.

 

한화솔루션은 1132명에서 666명, 369명으로 줄며 2년 새 67.4% 감소했다. 퇴직자는 601명→ 632명→465명으로 지난해 크게 줄어든 점이 특징이다.

 

코오롱인더스트리도 2022년 3467명에서 2023년 2614명, 2024년 1937명으로 줄며 2년 동안 44.1% 감소했다. 퇴직자는 공시되지 않았다.

 

한편 전반적인 채용 위축 속에서 자동차·부품, 조선·기계·설비 등 소수 업종은 인력 수요가 늘었다.

 

자동차·부품은 2022년 3만6451명에서 2023년 3만8609명, 2024년 3만9040명으로 2년 새 7.1% 증가했다. 퇴직자는 2만명 안팎(1만9537명→2만4221명→2만915명)에서 등락을 보였다.

 

조선·기계·설비는 4664명에서 6719명, 7306명으로 늘며 2년 새 56.6%나 증가했다. 퇴직자는 3305명→2603명→3136명으로 집계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삼성바이오로직스 200만원 갈까?…재상장 첫날, 단주처리 혼선 속 목표주가 일제히 '상향'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인적분할 이후 약 한 달 만에 2025년 11월 24일 코스피 시장에 재상장했다. 인적분할로 인해 기존 보유 주식이 소수점 단위로 분할되면서 1주 미만 단주를 보유한 투자자들 사이에서 '내 주식이 사라졌다'는 혼란이 벌어졌다. 이는 분할 비율에 따라 기존 1주 보유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약 0.65주와 삼성에피스홀딩스 약 0.35주를 각각 배정받게 돼 계좌에 표시된 주식 수가 정수 주식이 아니기 때문이다. 상법 제443조에 따라 1주 미만 단주는 주식 효력이 없고, 회사가 이를 시장에서 일괄 매각해 현금으로 투자자에게 지급토록 규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주 처리 현금 배당이 이뤄지면서 실물 주식이 계좌에서 사라진 것처럼 보였다. 거래소 측은 재상장 첫날 종가를 기준으로 단주를 환산해 현금 지급한다고 확실히 밝혔다.​ 시가총액 측면에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에피스홀딩스는 분할 후 각각 82조8145억원, 10조9112억원에 이르는 시가총액을 기록해 합산 시총은 93조7257억원에 달했다. 이는 분할 직전 마지막 거래일(86조9035억원)에 비해 약 7조원 증가한 수준이다. 두 회사가 각각의 전문 사업영역을 명확히

앤시스코리아, 앤시스 SW사용 '스타트업 밋업(Ansys Startup MeetUp)’ 성료…"딥테크 스타트업·지원 기관·학계가 한자리에"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엔지니어링 시뮬레이션 선도 기업인 앤시스코리아(대표 박주일)가 지난 21일 서울 강남구 앙트레블에서 앤시스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하는 스타트업들을 초청해 진행한 ‘앤시스 스타트업 밋업(Ansys Startup MeetUp)’을 성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도전과 성장을 이어가는 국내 스타트업을 응원하고 시뮬레이션 기반의 기술 혁신 사례 및 실제 비즈니스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스타트업 생태계 내 교류를 활성화하고자 마련됐다. 현장에는 앤시스의 소프트웨어를 현재 활용 중이거나 혹은 도입을 검토 중인 스타트업 관계자 약 51명이 참석하며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박주일 앤시스코리아 대표의 환영사로 막을 올린 본 행사는 강태신 앤시스코리아 전무의 ‘엔지니어링 혁신의 중심, 앤시스가 만드는 디지털 제조 생태계’ 발표 세션으로 이어졌다. 다음으로 앤시스코리아 김택수, 이가형 프로가 ‘앤시스 커뮤니티 소개(Ansys Community Introduction)’ 세션을 진행했다. 정부 및 민간 지원 프로그램을 소개하는 세션도 이어졌다. 창업진흥원 조성현 선임부장의 ‘스타트업 정부 지원 정책 안내’, 누비다 시효석 대표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씰리침대, 한국 전통문화 캠페인으로 한국PR대상 최우수상 수상…"전통문화 보존 및 지역 상생 실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글로벌 프리미엄 매트리스 브랜드 씰리침대(대표 윤종효)가 ‘제33회 한국PR대상’에서 지역사회 관계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했다고 24일 밝혔다. 한국PR협회가 주관하는 ‘한국PR대상’은 전략, 창의성, 성과, 사회적 파급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한 해 동안 가장 우수한 커뮤니케이션 성과를 거둔 기업·기관을 선정하는 국내 최고 권위의 PR 시상식이다. 지역사회 관계 부문 최우수상에 선정된 ‘시간을 엮는 지역 장인들: 씰리 X 한국 전통 헤리티지 캠페인’은 한국 고유의 문화유산과 전통 장인 기술이 지닌 역사성과 예술성에 주목해 씰리가 144년간 지켜온 장인 정신과 접목한 프로젝트다. 한국 장인의 기술을 브랜드의 기원과 핵심 가치, 제품 스토리와 유기적으로 결합하며 전통문화 보존과 지역 상생이라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한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씰리침대는 국내 각 지역 장인들과의 지속적인 협업을 통해 나주 쪽 염색, 괴산 한지, 안동 목화 등 전통문화 자원을 현대적 브랜드 경험으로 재해석하는 다양한 프로젝트를 전개해왔다. 나주 ‘샛골 쪽 염색 축제’에서는 국가무형유산 정관채 염색장과 함께 방문객이 직접 씰리 베갯잇을 쪽빛으로 물들이는

지능정보사회진흥원, 인공지능 전환(AX) 추진전략 공개…12개 핵심과제·5단계 'ASSET 로드맵' 제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지능정보원)은 전사 차원의 「인공지능 전환(AI Transformation, 이하 AX)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공공기관이 참고하고 적용할 수 있는 AI 전환 모델을 제시했다고 11월 24일 밝혔다. 정부는 인공지능 세계 3대 강국(G3) 도약을 핵심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공공부문의 AI 전환을 강조하고 있지만, 많은 공공기관은 전문 인력, 예산, 경험이 부족하고 위험부담이 높아 인공지능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결과 AI 전환을 본격 추진하기 시작한 민간 부문과 달리, 즉각적인 실행보다는 검토 단계에 머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지능정보원은 내부 전문가 20여명이 참여하는 자체 TF를 구성하고 공공기관 현실을 반영한 실용적인 전략을 마련했다. 이번 전략은 기관 전체의 AX 발전방향과 핵심과제를 제시하는 최상위 전략으로, 향후 세부과제별 실행계획을 순차적으로 수립하여 상세한 이행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지능정보원은 공공기관이 AX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리더십과 거버넌스 강화가 가장 중요하다고 보고, 원장이 ‘최고AX책임자(CAXO, Chief AX Officer)’, 부원장이 ‘

교원그룹, ‘제1회 교원투어배 77개 팀 참가한 전국리틀야구대회’ 성료…최우수선수 대상 구몬학습 이용권 전달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교원투어(대표 장동하)가 주최한 ‘제1회 교원투어배 순수주말반 전국리틀야구대회’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교원투어가 주최하고 한국리틀야구연맹이 주관한 ‘제1회 교원투어배 순수주말반 전국리틀야구대회’는 U-12와 U-10 두 개 부문에서 총 77개 팀이 참가한 가운데 지난달 12일 막을 올렸다. 참가 팀들은 한 달 넘게 토너먼트 방식으로 치열한 경합을 펼쳤다. 이번 대회는 학업과 병행하며 주말에만 훈련하는 순수주말반 리틀야구 선수들을 위해 마련됐으며, 교원투어가 주최한 이번 대회가 보다 많은 유소년들이 야구를 접하고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남다르다는 평가다. 지난 23일 화성드림파크 메인 구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U-12 부문 인천 중구 드림과 U-10 부문 서울 중랑구가 각각 우승을 차지하며 초대 챔피언에 올랐다. 전국 각지에서 모인 선수들은 이날 뜨거운 열정과 수준 높은 경기력을 선보였다. 교원투어는 결승전 직후 진행된 시상식에서 우승·준우승 팀에 메달과 상금을 수여했으며, 최우수선수(MVP)에게는 부상으로 구몬학습 6개월 학습 이용권을 전달했다. 교원투어는 이번 전국리틀야구대회 주최를 시작으로 국내 유소년 야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