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랭킹연구소] 군용 항공기 보유국 순위 TOP30, 한국 5위…미국·러시아·중국·인도·한국·일본·파키스탄·이집트·터키·프랑스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이 2025년 기준 전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군용 항공기(전투기,헬리콥터,수송기 등) 보유국으로, 1만3043대의 군용 항공기를 운영하며 압도적인 우위를 유지하고 있다.

 

러시아(4292대)와 중국(3309대)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하며 세계 3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으며, 인도(2229대), 한국(1592대)이 5위권을 형성했다. 6위에서 10위는 일본(1443대), 파키스탄(1399), 이집트(1093), 터키(1083), 프랑스(976)가 차지했다. 

 

이는 글로벌파이어파워(Global Firepower), 플라이트글로벌(FlightGlobal), 월드포퓰레이션리뷰(World Population Review) 등 주요 국제 국방 분석 기관의 2025년 최신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로, 전투기, 헬리콥터, 수송기, 정찰기 등 모든 군용 항공기를 포함한 총 보유 대수 기준이다.​

 

 

미국, 기술·수량 모두에서 압도적 우위


미국은 단일 국가로서 전 세계 군용 항공기의 약 25%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러시아, 중국, 인도, 한국, 일본 등 다음 5개국의 보유 대수 총합보다도 많은 수준이다. 미군의 항공력은 공군(USAF), 해군(USN), 육군 항공대, 해병대 항공대 등 다중 전력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육군 항공대가 5714대의 헬리콥터를 포함해 4333대 이상의 항공기를 운영하는 등 독보적인 규모를 자랑한다.

 

F-22 랩터, F-35 라이트닝 II와 같은 5세대 스텔스 전투기 2600대 이상과 B-2 스피릿, B-52 스트래토포트리스 등 전략폭격기 140대를 보유한 것은 기술적 우위를 상징한다.

 

플라이트글로벌은 2025년 세계 공군 연감에서 "전 세계 161개국의 군용 항공기 총 보유 대수가 약 5만2600대에 달한다"면서 "미국의 비중이 전체의 25%를 넘는다"고 분석했다.​

 

 

러시아·중국, 현대화 속도 내지만 격차는 여전


러시아는 4292대의 항공기를 보유하며 2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전력 손실과 노후화된 기종의 비중이 높아 실질적인 전투력은 과거보다 저하된 것으로 평가된다. 수호이 Su-35, Su-34 등 약 1200대의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카모프 Ka-52 등 1551대의 헬리콥터를 운용 중이다.

 

중국은 3309대의 항공기로 3위를 차지하며 가장 빠르게 현대화를 추진하고 있다. J-20 위룡 스텔스 전투기와 J-16 다목적 전투기 등 약 1100대의 전투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Y-20 수송기와 공중급유기 등 전략적 운용 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중국은 2030년까지 미국과의 격차를 대폭 좁히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현재 기준으로는 여전히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다.​

 

아시아 주요국, 지역 안보 구도 주도


인도는 2229대의 항공기로 4위를 차지하며, 러시아제 Su-30MKI, 프랑스제 라팔, 국산 테자스 등 750대 이상의 전투기와 498대의 헬리콥터를 보유한 다국적 기반의 공군을 운영하고 있다.

 

한국은 1592대의 항공기로 5위에 진입하며, F-15K, KF-16, 국산 FA-50 전투기와 함께 F-35A 스텔스 전투기 도입을 확대하고 있다. 육군 항공대가 618대의 헬리콥터를 보유한 점도 특징이다.

 

일본은 1443대의 항공기로 6위를 차지하며, F-35A/B, F-15J 등 최신예 전투기와 P-1 해상초계기를 중심으로 한정된 국방 예산 내에서 고효율 전력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파키스탄(1399대), 이집트(1093대), 터키(1083대), 프랑스(976대)는 각각 7위에서 10위를 차지하며, 프랑스는 라팔 전투기와 함께 공중급유기, 수송기 등 전략적 투사력을 갖춘 NATO 핵심 동맹국으로 평가된다.​

 

 

한계와 전망


전문가들은 순수한 기수만으로는 국가의 실질적 공군력을 완전히 반영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세계현대군용항공기목록(WDMMA)은 항공기의 종류, 성능, 연식, 운용 가능성을 반영한 '트루밸류 등급(TrueValue Rating)'을 제안하며, 이 기준에서는 미국의 우위가 더욱 극대화된다고 분석한다.

 

방산분야 전문가는 "노후 훈련기 1대와 최신 스텔스 전투기 1대는 동일한 '1기'로 계산되지만, 실제 전투력은 천차만별이다"면서 "향후 중국과 인도의 지속적인 항공기 현대화와 미국의 무인기·AI 기반 전력 통합이 글로벌 공군력 지형을 재편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5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항공기 내 승무원 성폭행 시도·폭행 난동…델타항공 30대 여성에 '엄중 처벌'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솔트레이크시티 국제공항에서 30대 여성이 델타항공 승무원을 상대로 성폭행을 시도하고 폭행, 음주 난동을 벌인 사건이 발생해 항공기 내 안전 문제에 대한 경각심이 고조되고 있다. 뉴욕포스트를 비롯해 외신보도에 따르면, 31세의 코디 시에라 마리 브라인은 지난 10월 9일(현지 시각) 포틀랜드행 델타항공편 탑승 중 심한 음주 상태로 다른 승객들의 착석을 방해하며 승무원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신체적 폭행과 성폭력 행위를 자행했다. 특히 여성 승무원의 가슴을 움켜쥐고 위협적인 발언까지 해 명백한 성폭행 시도가 인정되면서, 현지 경찰에 의해 공공장소 음주 난동, 폭행 및 성폭행 시도 혐의로 기소됐다.​ 사건 당시 브라인은 승무원의 어깨를 세게 밀어 넘어뜨리고 머리와 목을 잡아당기며 폭행했고, 여성 승무원에게 "네가 만약 혼자 있었으면 나한테 어떻게 됐을지 알지?"라며 협박을 지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승무원들과 현장 경찰이 제지하자 비행기에서 도망가려 했으나 경찰과 물리적 충돌까지 발생했으며, 이후 조사에서 그는 성폭력 시도 사실을 부인했으나 다수 목격자 증언과 사건 현장 정황에 따라 명확한 혐의가 입증됐다.​ 항공기 내 폭력·난동 행위

[이슈&논란] 톰 크루즈 26세 연하와 ‘우주결혼식’, 인생이 '미션 임파서블'…우주결혼 시장 열리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계적인 할리우드 배우 톰 크루즈(63)가 이번엔 ‘미션 임파서블’도 넘는 파격 행보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최근 미국 연예 매체 레이더온라인(Radar Online) 등 다수 해외 언론 보도에 따르면, 크루즈는 26세 연하의 쿠바 출신 배우 아나 디 아르마스(37)와 함께 영화 속에서나 가능할 듯한 우주 결혼식을 실제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상은 현실로”…톰 크루즈와 아나 디 아르마스, 우주 결혼식 추진 미국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두 배우는 결혼식을 지구가 아닌 우주에서 올리는 전례 없는 아이디어를 논의 중이다. 이는 단순한 언론의 상상에 가까운 풍문이 아니라, 크루즈 특유의 모험심과 상상을 초월하는 연출 욕구가 실제 계획에 반영된 것으로 전해진다. ‘미션 임파서블’ 시리즈에서 실제 비행기 매달리기, 고층 건물 외벽 활보 등 액션의 한계를 끊임없이 갱신해온 크루즈는 자신이 직접 우주를 무대로 뛰는 최초의 배우가 되겠다는 포부도 꾸준히 드러낸 바 있다. 레이더온라인은 “두 사람 모두 평범한 결혼식은 원치 않는다. 수중 결혼식, 스카이다이빙 결혼식 등 초현실적 이벤트도 고려 대상이었으나 '우주 결혼식' 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