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5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이슈&논란] 미국인 90% 한국산 관세 인상 반대…트럼프 행정부 지지율 ‘역대 최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최근 미국인 10명 중 9명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상을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여론조사기관 유고브(YouGov)에 의뢰해 9월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산 제품 관세 인상을 지지하는 미국인은 단 10%에 불과했다. 반면, 현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는 응답과 관세를 낮추어야 한다는 의견이 각각 33%씩으로, 총 66%가 관세 인상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였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보호무역주의 정책과는 현저한 온도차를 보여주는 결과다. 주요 교역국별로 보면 중국(26%), 멕시코(18%), 캐나다(15%), 유럽연합(14%), 일본(12%)에 대한 관세 인상 지지율보다 한국에 대한 지지율(10%)이 가장 낮았다.

 

한미 경제관계에 대한 미국 내 긍정적 인식도 뚜렷했다. 응답자의 68%는 한국과의 교역이 미국 경제에 이롭다고 평가했으며, 62%는 한국의 대미 직접투자에 대해 긍정적 시각을 유지했다. 또한, 26%는 한미 교역 규모를 현 수준보다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다.

 

문화적으로도 한국의 영향력이 주목 받았는데, 60% 이상이 K-팝, 영화, 음식 등 한국 문화가 미국 내 한국 이미지 개선에 기여한다고 응답했다. 음식(42%), 영화·화장품·예술작품(각 15%), K-팝과 TV 드라마(각 12%)가 주요 긍정 요인으로 꼽혔다.

 

반면, 트럼프 행정부 한미 관계 정책에 대한 미국 내 지지도는 역대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KEI 조사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의 한미관계 대응을 지지한다는 응답은 33.5%에 그쳐, 2024년 48.5%에서 1년 만에 약 15%포인트 급락했다. 반면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8%,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48.5%에 달해 불확실성도 높았다.

 

현재 미국은 지난 7월 한미 간 합의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 대해 15% 관세를 부과 중이며, 이는 당초 위협했던 25%에서 낮춘 수치다. 한국은 이에 대응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를 약속했다. 그러나 한국은행은 이 관세 정책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을 0.45%포인트 낮출 것으로 전망하는 등 경제적 부담도 경고했다. 관세 부과로 인한 성장률 하락은 올해뿐 아니라 내년에도 0.6%포인트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대미 수출에 상당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번 조사 결과는 미국 내에서 한미 경제협력과 한국산 제품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여전한 가운데,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우는 트럼프 행정부 정책에 대한 미국 국민의 실질적 지지가 크게 떨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한미 동맹에 대한 미국 내 지지도는 비교적 견고한 편이지만, 경제적 실익과 국민 인식 측면에서 정책 조율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트랜스젠더 워크’ 논란에 머스크 “넷플릭스 구독 취소하라”…주가 4% 하락, 약 150억 달러 시총 증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가 2025년 10월 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워크(woke)’ 콘텐츠 비판과 이에 따른 구독 취소 독려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CNBC, 포브스, 야후 파이낸스, 유로뉴스, 데드라인, 비즈니스 인사이더, CBS 크로니클에 따르면, 머스크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Dead End: Paranormal Park)’에서 트랜스젠더 주인공이 등장해 어린이들에게 친(親)트랜스젠더 사상을 심어준다고 주장하며 구독 취소 캠페인을 강하게 펼쳤다. 이에 따라 넷플릭스 주가는 1주당 4% 이상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150억 달러가량 증발하는 등 금융시장에서 큰 충격을 받은 상태다. 머스크의 구독 취소 독려와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 논란 머스크는 2025년 9월 30일부터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X(옛 트위터)를 통해 최소 26회 이상 넷플릭스 구독 취소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특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라는 7세 이상 시청 가능 등급의 아동용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 바니가 스스로 트랜스젠더임을 밝히는 장면을 문제 삼았다. 머스크는 이

[빅테크칼럼] 베이조스 "10년 이내에 기가와트급 우주 데이터 센터 등장"…AI 에너지 대란, 우주 데이터센터 앞당기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전 세계 인공지능(AI) 기술 발전으로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소비가 급증하는 가운데, 아마존 창립자 제프 베이조스가 10년 이내에 지구를 벗어나 우주에 기가와트급 데이터 센터가 건설될 것이라는 대담한 미래 예측을 내놓았다. 이 같은 전망은 급증하는 데이터 센터의 전력 수요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컴퓨팅 인프라 개발 필요성, 그리고 우주 기술의 혁신적 활용 가능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촉발하고 있다. Reuters, CNBC, Goldman Sachs Research, Investing.com에 따르면, 베이조스는 2025년 10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이탈리안 테크 위크에서 페라리와 스텔란티스 회장 존 엘칸과의 대화 중, “기가와트급 AI 훈련 클러스터는 지상보다는 우주에 세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우주에서는 24시간 내내 태양광을 안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구름이나 비, 날씨의 제약 없이 항시 청정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베이조스는 “우주 데이터 센터는 결국 지상 데이터 센터보다 뛰어난 성능과 비용 효율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글로벌 데이터 센터의 전력 소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