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핵심 리더십 팀을 재구성하며 조직의 평평한 구조를 강화하고 있다. 2025년 10월 현재, 내부 문서와 외부 보고서에 따르면 황은 직속 보고 인원을 이전 55명에서 36명으로 감축하는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추진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4조3700억 달러(약 5200조원) 규모의 시가총액을 유지하며 AI 칩 시장을 선도하는 엔비디아의 내부 운영 철학에 따른 전략적 결정으로 평가된다.
핵심 인물들, 변화하는 엔비디아의 핵심 축
이번 인력 재구성은 엔비디아 내부의 핵심 인사들과 직결되는 것으로, 인공지능(AI)과 고성능 컴퓨팅(HPC) 분야의 최고 전문가들이 두드러진다. 특히,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와 HPC 부문을 담당하는 Ian Buck 부사장은 엔비디아의 CUDA 소프트웨어 설계자이자 중요한 기술 책임자로서 이름을 올리고 있으며, 회사의 기술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이와 함께, CTO인 Michael Kagan과 수석 과학자 Bill Dally는 엔비디아의 첨단 기술 개발과 연구개발 혁신을 주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CFO Colette Kress, 운영 부문 전무 Debora Shoquist, 및 공동 설립자인 Chris Malachowsky는 기업 경영과 전략적 의사결정에 긴밀하게 관여하고 있어, 이번 조정은 기술과 경영 양쪽 측면에서 변화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술 기업과의 차별화된 ‘수평적 조직 문화’
젠슨 황은 2023년 뉴욕타임즈의 DealBook Summit에서 "CEO가 더 많은 직속 보고자를 두면 조직 내 계층이 줄어든다"며, "이로 인해 정보의 흐름이 원활해지고, 각 리더들이 권한을 갖고 조율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철학은 엔비디아가 글로벌 경쟁사와 차별화되는 핵심 전략으로, 마크 저커버그의 페이스북(현재 Meta)의 30명 핵심 부서장 체계, 일론 머스크의 테슬라와 xAI의 다중 직속 보고 체제와는 뚜렷이 대조적이다.
조직 축소와 혁신의 결합, 미래 경쟁력의 핵심
이번 황의 조직개편은 빠른 성장과 기술 혁신을 지속하는 가운데, 엔비디아 내에서의 의사결정 신속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보인다. 2024년 3월, 미국 스탠포드대학교 인터뷰에서 처음 언급된 55명에서 36명으로의 조정은 엔비디아의 조직 문화 변화를 암시하면서, 더 수평적이고 유연한 구조로의 전환을 예고한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구조조정이 AI와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선도적 위치를 더욱 공고히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업계 내부에서는 "이 같은 조직 개편은 재무적 효율성과 첨단 기술 경쟁력 강화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이처럼 젠슨 황의 대대적 리더십 구조 개편은 글로벌 첨단 기술 기업의 조직 혁신 사례로서, 앞으로 엔비디아의 기술 경쟁력과 시장 주도권 강화에 핵심 역할을 할 전망이다. 향후 엔비디아의 조직 변화와 성장 전략은 세계 IT 산업의 주목을 받으며, 첨단기술 경쟁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