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애플, 8분짜리 '블루 스크린 오브 데스' 광고로 윈도우 PC 보안 '저격'…"2024년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장애 조롱"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애플이 10월 6일(현지시간), 지난해 전 세계를 강타한 역사적인 IT 장애인 크라우드스트라이크(CrowdStrike) 보안 업데이트 실패 사태를 겨냥한 8분짜리 광고 ‘언더독: BSOD(블루 스크린 오브 데스)’를 공개하며 윈도우 PC를 집중 공격했다. 이 광고는 수년 만에 마이크로소프트를 가장 직설적으로 겨냥한 애플의 마케팅이자 보안 우월성 홍보 전략으로 평가받는다.

 

MacRumors, WindowsLatest, MacDailyNews, TheVerge, TechRadar, Tufin, InventiveHQ에 따르면, 광고는 가상 스타트업 ‘언더독’ 팀이 미국 캘리포니아의 무역 박람회 ‘컨테이너 콘’에 참가하는 모습을 그리는데, 전시장 곳곳의 윈도우 PC들이 치명적인 블루 스크린(죽음의 파란 화면) 오류로 줄줄이 다운된다. 반면, 맥을 사용하는 언더독 팀은 아무 문제없이 업무를 계속 진행하며 결국 대형 계약을 성사시키는 내용이다.

 

이는 특히 2024년 7월 19일 전 세계 850만대 이상 윈도우 장치를 마비시킨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잘못된 보안 업데이트를 재현한 것으로, 항공, 금융, 방송 등 광범위한 산업 피해를 불러왔다.

 

기술적 설명도 광고 중간에 등장한다. 애플의 보안 전문가 캐릭터는 “엔드포인트 보안 API는 기본적으로 커널(운영체제 핵심)의 기능을 처리하지만, 커널에 직접 접근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다”며 “운영체제의 가장 깊은 부분은 서드파티 소프트웨어나 악성코드에 의해 수정되지 않도록 보호된다”고 강조한다.

 

이는 커널 레벨에서 무제한 권한으로 동작하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Falcon 플랫폼과 대비되며, 결함 있는 업데이트가 대규모 BSOD 사태를 초래했음을 암시한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장애는 전 세계 항공기 2만4000회 이상 결항·지연, 의료 시스템 마비, 금융 거래 지연 등으로 이어졌으며, 포춘 500대 기업들만 약 54억 달러(약 7조원) 손실을 입은 것으로 추산된다. 이 장애는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주가를 25% 하락시키고 시가총액 200억 달러 이상 증발시키는 등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한편 이번 애플 광고에 대해 업계의 평가와 반응은 엇갈린다. 일부 평론가는 광고의 타이밍과 제작 완성도를 높이 평가했으나, 윈도우 운영체제 자체가 아니라 크라우드스트라이크라는 제3자 보안 업체의 실수를 정조준한 점에 대해 공정성 논란을 제기했다.

 

TechRadar는 “애플의 BSOD 광고는 잘못된 윈도우 대상을 선정했다”고 비판하며, "마이크로소프트는 이후 안티바이러스 소프트웨어를 커널에서 분리하고 복구 기능을 개선했다"고 설명했다. WindowsLatest 또한 애플이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장애를 마이크로소프트 과실로 왜곡하며 윈도우 시스템 다운 빈도에 대해 시청자를 오도했다고 비판했다.

 

광고는 “Mac 보안만한 보안은 없다”는 애플의 공식 태그라인으로 마무리되며, 애플 기업 고객용 보안 서비스 소개 페이지로 시청자들을 유도한다. 크라우드스트라이크 장애를 겪은 기업 고객들의 마음을 공략하고, Mac의 보안 신뢰도를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스트라제네카, AI 접목 CRISPR 유전자 편집에 5억5500만 달러 투자…"면역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영국-스웨덴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 스타트업인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Algen Biotechnologies)와 5억5500만 달러(한화 7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로이터, 비즈니스와이어, 프리스탁, 마켓앤마켓,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알젠의 AI 기반 유전자 편집 플랫폼에서 도출되는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알젠은 초기 지급금과 개발·규제·상업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최대 5억5500만 달러를 수령한다.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도우드나(Jennifer Doudna)의 버클리 연구실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AI와 CRISPR 기술을 접목한 ‘알젠브레인(AlgenBrain)’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건의 RNA 변화를 모델링하며 질병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 치료 타깃 발굴을 가속화하고,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면역계 질환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며, 아스

[이슈&논란] 구글코리아, 법인세는 '찔끔' 유튜브 가격인상은 '왕창'…네이버와 형평성 문제·세원 잠식 '논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코리아가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법인세만 납부하면서,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은 최근 5년간 무려 71% 넘게 인상했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가 실제 납부한 법인세는 172억원(1720만 달러)으로, 네이버의 3902억원에 비해 4% 수준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한 해 최대 11조3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학계 추정과 달리, 공식 매출은 3869억원만 신고했다.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은 31.2%로 네이버(4.9%)의 6배가 넘는 반면, 매출과 세금 신고는 터무니없이 낮아 ‘세원 잠식’ 논란이 거세다. “최대 11조원 매출…실납부세액은 172억원, 네이버의 4%” 가천대 전성민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의 실질 매출은 최대 11조3000억원~최소 4조836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네이버의 평균 법인세율(5.9%)로 적용하면 납부세액은 6000억원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구글코리아의 실제 신고 매출은 3869억원, 법인세 납부액은 172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