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엔비디아 대항마 급부상" AMD의 돌풍…오라클·오픈AI 1000억달러 계약에 올들어 주가 97% 폭등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AMD(어드밴스트 마이크로 디바이시스)가 불과 열흘 사이 오라클(Oracle)과 오픈AI(OpenAI)를 연이어 고객 리스트에 올리며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의 ‘제2의 엔비디아’로 급부상하고 있다.

 

월가에서는 AMD가 엔비디아의 독점 구도를 흔드는 “新 AI 슈퍼파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오라클, AMD AI칩 5만개 도입…‘脫엔비디아’ 선언

 

Yahoofinance, Investopedia, TechCrunch, cnbc,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오라클은 2026년 하반기부터 자사 클라우드 인프라(OIC)에 AMD의 차세대 MI450 인스팅트(Instinct) GPU 5만개를 도입한다고 14일(현지시각)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약은 다년 계약으로, 오라클은 2027년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물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 담당 수석 부사장 카란 바타(Karan Batta)는 CNBC 인터뷰에서 “AI 추론용 GPU 수요에서 AMD의 개방형 솔루션이 폭넓게 채택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다.​

 

AMD는 이번 협약을 자사의 헬리오스(Helios) 랙 서버에 기반한 에픽(EPYC) 프로세서와 ‘펜스 벌케이노(Pens Vulcano)’ 네트워킹 기술을 접목해 추진할 계획이다. 실제 오라클-AMD 협력은 AI 인프라를 엔비디아(GPU) 단일 공급체제에서 다원화하려는 빅테크 업계의 움직임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오픈AI, 1000억달러 규모 AMD칩 구매 계약


AMD는 불과 열흘 전인 10월 6일 오픈AI와 수년간 총 6기가와트(GW)에 이르는 연산용량을 제공하는 GPU 장기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가치는 1000억달러(약 137조원) 규모로 추산되며, 오픈AI는 AMD 지분 최대 10%를 확보할 수 있는 옵션도 받았다. AMD는 2026년 하반기부터 MI450 GPU를 오픈AI의 스테이트게이트(Stargate) 슈퍼데이터센터에 순차 공급할 예정이다.​

 

AMD의 CEO 리사 수(Lisa Su)는 “이번 제휴는 세계에서 가장 야심찬 AI 인프라를 구현하는 승-승(WIN-WIN)의 모델”이라며 “AI 산업 생태계 전반의 혁신적 도약을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 아성 흔드는 AMD의 폭주

 

오라클·오픈AI 두 건의 메가딜이 잇따라 발표되자 AMD 주가는 6일 하루 24% 폭등한 데 이어 15일 또다시 9.4% 급등하며 238.6달러로 마감했다. 올 들어서만 AMD는 97% 상승해 엔비디아(34%)를 크게 앞질렀다. 반면 엔비디아는 최근 일주일 사이 4.4% 하락세를 보였다.​

 

시장조사업체 애큐멘그룹에 따르면 AMD 주가는 52주 최고가 232.89달러를 돌파했으며, 기술적 지지선은 200~205달러, 저항선은 225~230달러 수준이다. 주요 증권사들도 잇따라 목표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HSBC는 310달러, 웨드부시는 270달러, 바클레이즈는 300달러를 제시했다.​

 

“AI 황금십년, 새로운 챔피언 탄생”


전문가들은 AMD의 최근 상승세를 단기 반등이 아닌 구조적 전환의 신호로 보고 있다. 나스닥 분석가들은 “AMD가 AI 칩 시장 점유율 80%를 차지한 엔비디아의 독점 구조를 허무는 첫 번째 유효 경쟁자로 부상했다”며 “개방형 연산 솔루션과 가격 경쟁력이 결합된 AMD의 MI450은 AI 인프라 시장의 게임체인저로 작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CNBC는 “AI 인프라를 지탱하는 GPU 수요가 폭증하고 있으며, 빅테크들이 ‘脫엔비디아’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오픈AI가 AMD와 계약을 체결한 것은 AI 인프라를 다원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며, 이는 글로벌 AI 경쟁의 새로운 국면을 상징한다”고 분석했다.​

 

결국, 2025년 10월은 “AI 반도체 시장의 전환점”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크다. AMD의 폭등은 단순한 주가 이슈가 아니라, 기술 패권의 균형추가 흔들리고 있음을 보여주는 신호탄이다.

배너
배너
배너



[지구칼럼] "움직이는 예술품·미래 품은 아르데코의 귀환"…벤츠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 태양광 전기차 혁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메르세데스-벤츠가 2025년 10월 14일 상하이 디자인 하우스에서 공개한 콘셉트카 ‘비전 아이코닉(Vision Iconic)’은 자동차를 넘어 ‘움직이는 예술 조각품’이다. 1930년대 아르데코 시대의 고전적 우아함과 인공지능·태양광 등 미래 기술이 절묘하게 융합된 이번 모델은, 단순한 쇼카를 넘어 메르세데스의 차세대 디자인·기술 철학을 응축한 미래 비전으로 평가된다.​ 메르세데스 그룹의 디자인 총괄 고든 바게너(Gorden Wagener)는 디자인붐과의 인터뷰에서 “비전 아이코닉은 단순한 자동차가 아니라 브랜드의 정체성을 새 시대에 맞게 재해석한 상징물”이라며 “이 차는 전통과 첨단의 융합을 통해 ‘아이코닉 DNA’를 되살린 결과물”이라고 밝혔다.​ 태양광이 구동하는 차체…주행거리 연 1만2000km ‘햇빛의 힘’ 비전 아이코닉의 핵심 혁신은 희토류나 실리콘을 사용하지 않는 나노 입자 기반 솔라 페인트(Solar Paint) 기술이다. 메르세데스는 이 코팅이 20%의 광전 효율을 달성해, 이상적인 조건에서 연간 최대 1만2000km(약 7450마일)의 추가 주행 거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밝혔다. 이 코팅은 차량이 정지 상태일

[이슈&논란] "12월부터 챗GPT, 성인용 대화 허용"…오픈AI, 정신건강 제한 완화로 사용자경험 강화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가 오는 12월부터 챗GPT에서 연령 인증을 거친 성인 이용자에 한해 성적인 대화 및 성인용 콘텐츠 이용을 허용하는 정책 전환을 예고했다. 로이터, CNBC, BBC, TechCrunch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10월 14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 엑스(X)를 통해 새로운 챗GPT 버전을 출시할 계획을 밝히며, “성인 이용자는 성인답게 대할 것”이라는 원칙하에 "성애 콘텐츠(erotica) 등 훨씬 더 다양한 내용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그간 챗GPT는 정신건강 문제 우려로 인해 상당히 제한적으로 설계돼 정신건강 문제가 없는 많은 이용자들에게 덜 유용하고 재미없게 느껴지는 측면이 있었다”고 설명하며, “최근 정신건강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도구들을 확보해 대부분의 경우에서 이러한 제한을 안전하게 완화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이번 정책 변화는 신규 도구와 연령 인증 시스템 도입에 힘입어 이뤄지며, 미성년자에게는 여전히 엄격한 콘텐츠 필터링과 별도의 아동용 챗GPT 환경이 적용된다. 오픈AI는 9월부터 이미 미성년자용 챗GPT를 별도로 구현해 자동으로 연령별 적합한 환경을 안내

[빅테크칼럼] 글로벌자산 토큰화 혁명, 5년 내 전통금융·암호화폐 경계 붕괴…로빈후드·월가 ‘블록체인 미래’ 가세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온라인 증권 플랫폼 로빈후드의 블라드 테네프 CEO가 “토큰화는 멈출 수 없는 화물열차처럼 전 세계 금융시스템을 삼키게 될 것”이라고 단언했다. 지난 10월 2일 싱가포르 암호화폐 콘퍼런스 패널 토론에서 그는 “앞으로 5년 이내 주요 금융시장이 디지털 자산 거래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완전한 100% 전환까지는 10년 이상 소요될 수도 있으나, 미국은 기존 인프라의 고착성 때문에 마지막에 전면 도입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토큰화: 실물자산의 블록체인 전환 가속화 자산 토큰화란 주식, 채권,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블록체인이나 분산원장에 기록해 디지털 증권 형태로 투자, 거래하는 기술이다. 최근 들어 월가의 대형 금융기관,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실물자산 토큰화 도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모건스탠리, 블랙록 등도 관련 사업을 강화하며 “디지털 실물자산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고, KPMG가 올해 발표한 ‘2025 글로벌 자산 토큰화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토큰화 자산 시장 규모는 3500억 달러에 달한다. 2030년에는 16조 달러로, 글로벌 시가총액의 10%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했다.​ 로빈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