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6.1℃
  • 구름많음강릉 11.6℃
  • 맑음서울 5.2℃
  • 구름조금대전 6.9℃
  • 구름많음대구 10.2℃
  • 구름많음울산 10.9℃
  • 흐림광주 8.2℃
  • 구름조금부산 13.4℃
  • 흐림고창 7.3℃
  • 흐림제주 11.5℃
  • 맑음강화 4.4℃
  • 구름조금보은 6.0℃
  • 구름조금금산 7.6℃
  • 흐림강진군 9.4℃
  • 구름많음경주시 10.5℃
  • 구름많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빅테크

[이슈&논란] ‘트랜스젠더 워크’ 논란에 머스크 “넷플릭스 구독 취소하라”…주가 4% 하락, 약 150억 달러 시총 증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대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 넷플릭스가 2025년 10월 초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워크(woke)’ 콘텐츠 비판과 이에 따른 구독 취소 독려로 인해 심각한 타격을 받고 있다.

 

CNBC, 포브스, 야후 파이낸스, 유로뉴스, 데드라인, 비즈니스 인사이더, CBS 크로니클에 따르면, 머스크는 애니메이션 시리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Dead End: Paranormal Park)’에서 트랜스젠더 주인공이 등장해 어린이들에게 친(親)트랜스젠더 사상을 심어준다고 주장하며 구독 취소 캠페인을 강하게 펼쳤다.

 

이에 따라 넷플릭스 주가는 1주당 4% 이상 하락했고, 시가총액은 150억 달러가량 증발하는 등 금융시장에서 큰 충격을 받은 상태다.

 

머스크의 구독 취소 독려와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 논란


머스크는 2025년 9월 30일부터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X(옛 트위터)를 통해 최소 26회 이상 넷플릭스 구독 취소를 촉구하는 글을 올렸다. 특히 ‘데드 엔드: 패러노멀 파크’라는 7세 이상 시청 가능 등급의 아동용 애니메이션에서 주인공 바니가 스스로 트랜스젠더임을 밝히는 장면을 문제 삼았다. 머스크는 이 작품이 ‘트랜스젠더 워크 어젠다(Transgender Woke Agenda)’라며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넷플릭스를 끊으라고 설득했다. 머스크는 이미 본인이 먼저 구독을 해지했다고도 밝혔다.

 

이 애니메이션은 2022년부터 2시즌, 총 20편이 제작됐고 2023년에 종영됐으나 현재도 넷플릭스에서 시청 가능하다. 제작자 해미시 스틸은 극도로 불쾌한 동성애 혐오 및 반유대주의 이메일을 다수 받았다고 밝히며, 상황이 무서워져 소셜미디어 활동을 잠정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넷플릭스 주가와 시가총액 영향


주가는 2025년 10월 첫 주 들어 4~5%가량 하락했으며, 하루 반 정도 만에 넷플릭스 시가총액은 4980억 달러에서 약 4830억 달러로 150억 달러 가까이 증발했다.

 

CNBC, 포브스, 야후 파이낸스 등 다수 매체가 넷플릭스의 주가 변동을 분석한 결과 하루 사이 4.3% 하락, 5일간 거래 기준으로는 약 5%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주요 기술주들이 상승세를 보인 것과 비교하면 넷플릭스에 미친 영향이 뚜렷하다. 다만 일부 자산운용 전문가들은 이번 해프닝이 장기적 주가 저하를 의미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견해도 내놓는다.

 

문화전쟁과 글로벌 미디어 기업에 미치는 영향


이번 논쟁은 미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워크’ 문제, 즉 과도한 정치적 올바름이 문화전쟁 이슈가 된 대표적인 사례다. 머스크뿐 아니라 일각의 보수 진영 인플루언서들이 이에 동조하며 넷플릭스 반대 운동에 가세했다. 이전에도 미국 내 유명 맥주 브랜드 버드 라이트, 대형 유통업체 타깃 등이 비슷한 이유로 보수층의 불매운동을 겪은 바 있다.

 

넷플릭스는 이번 사안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지 않고 있으나, 제작자 및 일부 관계자들이 사회적 압박과 혐오 메시지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머스크 개인적으로도 2022년 트랜스젠더로 커밍아웃하며 가족관계가 단절된 장남과 관련된 사연이 이번 ‘워크’ 공격에 영향 미쳤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일론 머스크 주도 아래 ‘넷플릭스 워크 논란’은 글로벌 OTT 시장과 미디어 산업 내에서 문화전쟁이 비즈니스와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넷플릭스는 2025년 3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어 이번 논란이 향후 구독자 확보와 재무 성과에 어떠한 파장을 몰고 올지 업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혈당을 넘어 당뇨병 합병증 근본 해결"…NYU 연구진, 염증 원천 표적하는 혁신 약물 RAGE406R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최근 미국 뉴욕대학(NYU) 랭곤 헬스 연구진이 혈당 조절과 무관하게 당뇨병 합병증의 근본 원인을 표적하는 혁신적 저분자 화합물 RAGE406R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이 약물은 당뇨병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염증과 조직 손상, 특히 상처 치유 지연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2025년 11월 14일 생화학 분야의 권위지 ‘Cell Chemical Biology’에 발표됐다.​ 현재 당뇨병 치료제는 주로 혈당 수치를 낮추는데 집중되어 있으나, 심혈관 질환, 신장 질환, 만성 염증과 같은 합병증에 직접 작용하는 치료법은 미비한 실정이다. 이번 연구에서 RAGE406R은 당뇨병 환자의 세포 내에서 염증 신호를 촉발하는 RAGE(최종당화산물 수용체)와 DIAPH1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기전으로 작동한다. 이 상호작용이 억제되면서 염증 매개물질 CCL2의 분비가 현저히 줄어들어 대식세포 내 염증 반응이 완화됐다.​ 특히, 비만형 제2형 당뇨병 생쥐에 국소 적용된 실험에서 RAGE406R은 상처 치유 속도를 대폭 높여, 치유 지연으로 고통받는 당뇨환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증명했다. 남녀 당

[빅테크칼럼] 테슬라, 美 전기차 생산서 중국산 부품 전면 배제…"미중갈등 지정학 리스크 대응차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전기차 선두주자 테슬라가 미국 내 생산 전기차에 사용되는 부품에서 중국산을 전면 배제하는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이는 미·중 간 고조된 지정학적 긴장과 무역 분쟁에 따른 공급망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관세 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로 평가받는다. 월스트리트저널, 로이터, CBS, 배터리테크온라인, 테슬라매그에 따르면, 테슬라와 주요 공급업체들은 이미 미국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들어가는 일부 중국산 부품을 현지 혹은 타지역에서 생산된 부품으로 대체했으며, 앞으로 1~2년 내에 모든 중국산 부품을 중국 외 지역에서 조달한 부품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같은 결정은 2025년 초 확정됐으며, 공급망 다변화의 일환으로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중국산 부품 수급 차질 경험과 올해 들어 미국 정부가 중국산 품목에 고율 관세를 부과한 영향이 컸다.​ 특히 테슬라가 대체에 가장 난항을 겪는 부문은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다. 기존에 중국 CATL이 주요 공급사였던 LFP 배터리는 미국 내 판매 차량의 세액공제 대상에서 중국산 배터리를 장착한 차량이 제외되면서 사용이 중단됐다. 이에 테슬라는 네바다주에 10GWh 규모의 자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