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9 (일)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빅테크칼럼] 피규어 AI CEO "은하계 식민지화를 위한 자가 복제 로봇 구상…우리 생애 내 벌어질 것"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피규어 AI(Figure AI)의 브렛 애드콕(Brett Adcock) CEO는 2025년 10월 세일즈포스 드림포스(Salesforce Dreamforce) 컨퍼런스에서 "새로운 종(species)"이라 부를 만한 자가 복제 휴머노이드 로봇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 로봇들이 자기 복제하는 폰 노이만 탐사선(von Neumann probes) 개념을 활용해 우주를 자유롭게 탐사하고, 메탄 채굴 같은 행성 자원 활용을 통해 은하계를 식민지화할 것"이라며, “우리 생애 내에 이 모든 일이 벌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Business Insider, Hyper.ai, MarkesAndMarkets, TeslaRati, Reuters,TechFundingNews, HumanoidsDaily에 따르면, 이 같은 비전은 단순한 상상을 넘어선 혁신적 로봇공학의 출발점으로, 오픈AI가 500만 달러 규모의 투자를 한 회사답게 AI와 자율학습 기술을 결합해 로봇 스스로가 지식을 공유하고 진화하는 생태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샘 올트먼 CEO도 “수년 내에 공공장소에서 여러 대의 로봇이 자연스럽게 활동하는 모습을 볼 것”이라며 같은 전망을 내놓았다.​

 

한편, 피규어AI가 개발한 3세대 휴머노이드 ‘피규어03’은 세탁물 개기와 식기세척기 적재 같은 가정 내 가사 업무에 특화된 로봇으로, 이 모델은 2025년 타임지 ‘최고의 발명품’에 선정되는 등 주목받고 있다. 아울러 피규어 AI는 2025년 9월 시리즈 C에서 10억 달러 이상의 투자 유치와 함께 기업가치를 390억 달러로 평가받으며 대량 생산 및 시장 선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은 Tesla(테슬라)의 ‘Optimus(옵티머스)’ 로봇과 같은 글로벌 기업들의 강력한 도전이 이어지고 있다. 테슬라는 2022년 프로토타입을 공개했고, 2025년부터 최대 1만대 생산을 목표로 하는 등 대규모 양산 체제를 준비 중이다.

 

머스크는 옵티머스를 “로마 군단(legion)”이라 칭하며 2026년에는 약 5만대 생산 계획을 공개해 경쟁 구도가 한층 치열해졌다.​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규모는 2024년 약 20억2000만 달러에서 2030년에는 152억6000만 달러(한화 약 19조원)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되며, 연평균 성장률은 39.2%에 달한다. 주요 성장 동력은 AI와 머신러닝 기술 발전, 고령화 사회의 개인 맞춤형 돌봄, 교육 및 소매 분야의 확산 등이 꼽힌다.​

 

또한, 피규어 AI는 오픈AI와 협력하며 내부 AI 개발 역량을 강화하고 자체 지능형 로봇을 통해 업무 자동화, 가사 도우미, 공장 노동자 등 다방면 적용을 노리는 반면, 테슬라, 보스턴다이나믹스, 에질리티 로보틱스 등 경쟁사도 각각 물류, 산업, 보안 등 특화된 영역을 공략 중이다. 이와 함께 AI 업계의 샘 올트만과 일론 머스크 간 기술 및 인력 경쟁, 법적 분쟁도 로봇 산업의 판도를 좌우하는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자율복제와 지능 공유 기술을 품은 휴머노이드 로봇의 은하계 식민지화라는 과감한 비전을 내세운 피규어 AI는, 급성장하는 글로벌 로봇 시장에서 테슬라 등 쟁쟁한 경쟁자와 치열한 경쟁을 벌이며 산업의 판도를 새로 쓰고 있다. 2020년대 중후반은 공상과학에서 현실로 전환되는 로봇 혁명의 서막이라 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The Numbers] ‘중국 특수’에 항공사 희비…대한항공·아시아나 ‘훨훨’ vs 에어부산 ‘추락’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3분기 항공사 실적이 ‘중국 특수’에 따라 극명하게 엇갈렸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중국 노선 회복에 힘입어 여객수와 수익성이 모두 개선된 반면, 지방 기점 노선 중심의 에어부산은 정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17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대한항공의 3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5.8% 증가한 6조3,506억원, 영업이익은 6,160억원으로 7.5% 감소했다. 이는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인한 외화손실과 국제선 운임 하락 탓이다. iM증권은 대한항공의 영업이익을 4,687억원으로 추정하며, 환율 10원 상승 때마다 약 300억원의 손실이 발생한다고 분석했다.​ 대형 항공사들의 중국 노선은 급격한 회복세를 보였다. 인천공항의 3분기 여객 수송 실적에서 중국 노선 여객은 17% 증가했으며, 대한항공은 같은 기간 약 7%의 여객 증가를 기록했다. 특히 9월에는 부산~베이징 노선 운항을 전년 대비 2배로 확대해 승객 수가 136%(1만4809명) 급증했다. 아시아나항공 역시 3분기 총 여객 57만명 증가라는 성과를 올렸다.​ 반면 에어부산은 중국 노선 경쟁에서 밀리며 승객이 64만명 급감했다. 부산 등 지방공항

[우주AtoZ] 인류가 외계인과 접촉할 수 없는 이유…NASA, ‘급진적 평범함’ 이론으로 '페르미 역설' 새롭게 해석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NASA 천체물리학자가 인류가 외계 문명과 접촉한 적이 없는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도발적인 새로운 이론을 제안했다. 외계 문명이 우리에게 도달하려는 시도에 단순히 지루함을 느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른바 "급진적 평범함" 가설은 외계 문명이 인류보다 훨씬 더 발전하지 않았으며, 거의 응답을 받지 못한 후 비용이 많이 드는 장기적인 우주 탐사 프로젝트에 대한 관심을 잃었을 수 있다고 제안한다. NASA의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소속 메릴랜드대학 볼티모어 카운티 박사인 로빈 코벳(Robin Corbet) 연구진이 발표한 이른바 '급진적 평범함(radical mundanity)' 이론은 외계 문명의 침묵, 소위 '페르미 역설'에 대해 신선하면서도 도발적인 해석을 내놓았다. 코벳 박사는 "외계 문명들이 우리보다 약간 상위의 기술력을 갖췄지만 그 이상의 극단적 진보는 이루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즉, 외계 문명들이 인류와 크게 다르지 않은 기술 수준에 머물러 있어 우주 탐사와 타 문명 접촉에 드는 막대한 시간과 자원 대비 즉각적인 보상이 없자 '지루함'으로 인해 연락 시도를 중단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코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