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4 (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지구칼럼] 프랭클린 실험후 273년 만에 풀린 '번개' 미스터리…"번개의 시작, 우주에서 지구까지 연쇄반응의 과학"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수세기 동안 인류를 매혹시킨 자연현상인 번개의 기원에 대한 과학적 미스터리가 마침내 풀렸다.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빅터 파스코 교수팀은 1752년 벤자민 프랭클린의 연 실험 이래 273년 만에 번개가 실제로 구름 내부에서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2025년 7월 28일자)에 최초로 정량적·물리적으로 규명했다고 ScienceDaily, The Independent, Daily Galaxy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벤자민 프랭클린의 연 실험…전기와 번개의 본질을 밝힌 역사적 순간

 

1752년, 벤자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아들 윌리엄과 함께 역사상 가장 유명한 과학 실험 중 하나인 '연과 열쇠 실험'을 직접 실시했다. 이 실험은 번개와 전기가 동일한 현상임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프랭클린은 전도성을 높이기 위해 연의 꼭대기에 금속(철)선을 달고, 연줄은 젖은 삼(hemp)끈을 사용했다. 삼끈의 끝에는 금속 열쇠(key)를 묶었고, 실험자는 안전을 위해 실크끈을 추가로 연결해 절연(전기 흐름 차단) 역할을 하게 했다. 실험은 뇌우가 몰아치던 날, 아들 윌리엄이 연을 날리고 프랭클린 본인은 헛간 혹은 문간에서 연줄(삼끈)의 끝을 잡았다. 이때 삼끈은 비에 젖어 전기가 잘 흐르고, 실크끈은 젖지 않아 프랭클린을 감전 위험에서 보호했다.

 

이 실험을 통해 번개와 '정전기'가 동일한 전기적 현상임을 최초로 입증했다. 프랭클린은 이후 피뢰침(lightning rod) 발명에 착수, 건축물과 생명을 보호하는 획기적 안전장치를 세상에 내놓았다. 실험 성공 사실은 1752년 10월 <펜실베이니아 가제트(Pennsylvania Gazette)>에 실렸고, 유럽 과학계에서도 널리 회자됐다. 특히 토마스 에디슨에게 엄청난 영향을 주며, 실험적 방법론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미국 물리학회는 “프랭클린은 번개가 전기의 한 형태임을 세계에 증명했고, 이로써 현대 대기물리와 전기공학의 문을 열었다”면서 "프랭클린의 연 실험은 과학적 혁신의 아이콘이자 번개-전기 연관성에 대한 첫 결정적 증명이다. 인류는 '자연철학'이 실험과 논증에 의해 근대 과학으로 탈바꿈하는 핵심 전환점을 경험했다"고 기록했다.

 

 

번개, 우주로부터 시작되는 연쇄반응


연구에 따르면 번개의 시작은 지구 밖에서 온 '우주선(cosmic ray)'에서 비롯된다. 이 우주선이 지구 대기로 유입되면 초고에너지 전자를 생성하고, 번개 구름(뇌운) 내부의 강력한 전기장(최대 수백~수천kV/m)이 이 전자들을 거의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한다.

 

가속된 전자가 공기 중 질소·산소 분자와 충돌할 때 X선이 방출되고, 동시에 추가적인 전자 및 고에너지 광자의 '전자 눈사태(electron avalanche)'를 일으키며, 이 피드백이 순식간에 폭발적 전자 증식을 일으켜 최종적으로 번개가 발화한다.

 

파스코 교수는 이 연결고리를 "X선, 전기장, 전자 눈사태가 맞물린 물리학적 핀볼게임"에 비유한다.

 

실제로 연구진은 '광전자 피드백 방전(Photoelectric Feedback Discharge)'이라는 고도 수학적 모델을 개발해, 위성·지상 센서·고고도 비행체 등에서 수집된 실측 데이터에 근거하여 이 현상을 정량적으로 검증했다.

 

모형에 따르면 번개 발생에는 낙뢰 기록의 300~400만분의 1 수준에서 감지되는 '지상 감마선 섬광(TGF, Terrestrial Gamma-ray Flash)'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일반 번개에 비해 현격히 짧은 수 마이크로초(millionths of a second) 단위로, 극히 제한된 구역에서 X선을 동반해 일어난다.

 

 

구름 속 '어둠의 번개'도 규명


연구팀의 모델은 특히,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은 '감마선 섬광(TGF)'의 비밀도 풀어냈다. 번개 없이 X선 폭발만 관찰되는 이 현상은, 대기 중 극소영역에서 일어나는 전자 눈사태가 광학(눈에 보이는 빛)과 무선 신호를 거의 동반하지 않고, 매우 높은 에너지의 X선과 감마선을 일으키는 과정임이 밝혀졌다.

 

즉, 구름의 '어두운 번개(dark lightning)'라 불리는 이 미스터리도 실은 번개 발화 연쇄반응의 일부라는 설명이다.

 

2025년 일본 오사카대 연구진의 현장 관측에 따르면, 감마선 섬광은 실제 번개가 치기 약 31마이크로초 직전에 발생하며(과거 NASA·RHESSI 연구 기준 TGF 발생 빈도는 하루 약 500회로 추정), 거대한 방전 전류는 감마선 플래시의 직후에 형성된다. 이 값들은 최신 센서와 고속 영상 분석으로 최초 정량 측정에 성공한 결과다.

 

 

번개 예측과 대기과학 획기적 진전 기대

 

이번 연구에는 미국, 프랑스, 덴마크, 체코공화국, NASA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등 국제연구진이 대거 참여했고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등 기관 지원하에 이뤄졌다. 파스코 교수팀은 “강한 전기장, 우주선 유입, X선 및 무선 신호의 상관성을 최초로 정량적 모델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대기과학과 낙뢰 예측, 나아가 항공·우주분야 안전기술에 핵심적 진보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현재 지구에서는 연간 14억회, 1초당 44회가 넘는 번개가 칠 것으로 추정되며, 번개로 인한 직접 피해(사망·화재·산불 등)는 연간 2만여명에 달한다는 국제기상기구(WMO) 자료도 있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미래 기상관측 및 재해예방 전략에 적용돼, 전세계 수십억 인구의 일상과 산업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펜실베이니아 주립대학교 빅터 파스코 교수는 “이번 연구는 프랭클린의 실험 이후 273년 만에 번개 형성의 첫 물리적 공식 해석을 제공했다"면서 "우주에서 시작된 에너지가 구름 내부의 카오스(chaos)를 거쳐, 지상 낙뢰로 이어지는 연쇄 반응의 전모가 드디어 밝혀졌다”고 평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이슈&논란] 기업결합 조건 묵살한 아시아나, 운임 폭리로 역대 최대 과징금…티켓값 28% 올리고 ‘121억 철퇴’ 맞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아시아나항공이 대한항공과의 기업결합(합병) 승인 조건으로 내건 '항공권 운임 인상 한도'를 정면으로 위반해,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사상 최대 규모의 이행강제금 121억원을 부과받고, 법인도 검찰에 고발됐다. 이번 조치는 2000년 기업결합 이행강제금 제도 도입 이래 ‘역대 최대’ 금액이자, 항공산업 내 시장규율을 바로잡는 중대 이정표로 평가된다. ‘운임 인상 금지’ 조건 어겼다…기업결합 후 첫 이행점검부터 ‘발각’ 공정위는 2024년 12월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기업결합을 최종 승인하며, ‘시장 독점에 따른 폭리’ 방지를 위해 주요 노선(국제 26개, 국내 8개)에 대해 2019년 코로나 이전 평균운임 대비 물가상승률 만큼만 운임을 인상하도록 ‘운임 인상 한도’ 시정조치를 부과했다. 나아가 공급좌석 축소 금지, 서비스 품질 유지 등 소비자 보호장치도 병렬적으로 내걸었다. 시정조치 준수기간은 무려 10년(2034년 말까지)이다. 하지만 올해 1분기 공정위 이행점검 결과, 아시아나항공은 ▲인천-바르셀로나(비즈니스석) 28.2% ▲인천-프랑크푸르트(비즈니스석) 12.5% ▲인천-로마(비즈니스·일반석) 8.4~2.9% ▲광주-제주(일반석)

인천공항, 화물운송 전용 ‘에어제타’ 운항 개시…에어인천-아시아나 화물사업부 통합 항공사 출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8월 1일 에어인천과 아시아나 화물사업부가 통합하여 신설된 화물항공사 ‘에어제타’가 인천공항에서 첫 항공편 운항을 시작했다고 3일 밝혔다. 인천공항 화물기 주기장에서 진행된 ‘에어제타 첫 항공편 운항행사’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 김창규 운영본부장을 비롯해 에어제타 김관식 대표 등 약 30여명이 참석해 에어제타의 출범을 기념했다. 이번 통합 화물항공사는 지난해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 과정에서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 등이 제안한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분리매각’ 조건에 따라 출범하게 됐다. 에어제타는 기존 에어인천이 소형화물기로 운항 중이던 중국, 베트남 등 단거리 노선과 더불어 아시아나항공이 보유한 유럽, 미주 등 중장거리 노선까지 흡수하며 화물 네트워크 부문에서 높은 경쟁력을 확보한다. 이와 더불어 2026년부터 대형기 도입과 노선 재편을 통해 안정적인 운송 체계를 구축해, 인천공항 전체 항공화물 처리량의 약 17%에 해당하는 50만톤 이상의 물동량을 처리하는 등 대한항공(49%)에 이어 국내 2위 수준의 화물항공사로 거듭날 것으로 전망된다. 공사는 에어제타가 시장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국

알래스카항공 승무원 ‘트라우마 소송’으로 번진 보잉 쇼크…“볼트 4개 누락의 대가, 수천억 손배 청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알래스카항공 1282편 사건의 후폭풍이 거세다. 2024년 1월, 미국 오리건 주 포틀랜드 상공 1만6000피트(약 4900m)에서 알래스카항공의 도어 플러그가 폭발적으로 이탈한 사고 당시 기내에 있었던 승무원 4명(애덤 피셔, 미셸 휴즈, 스티븐 말러, 크리스틴 바스콘셀로스)이 보잉을 상대로 미국 시애틀 킹카운티 상급법원에 별도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고 ABC News, CBS News, Hindustan Times가 보도했다. 이들은 사고로 인한 신체적·정신적 트라우마와 경제적 피해에 대한 보상을 요구했다. 승무원 “고의가 아닌 제조 과정 총체적 과실”… “인생을 뒤바꾼 상처” 원고들은 소장에서 “보잉의 제조 및 품질관리 과정상 중대한 과실로 인해 인생을 뒤바꿀 만큼의 트라우마를 겪었고, 신체적·정신적 상해를 입었다”고 주장한다. 승무원 미셸 휴즈는 “이 과실로 인해 개인적·직업적 삶에 심각한 손상이 발생했다”며 “꿈의 직업에 복귀하는 데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동료 크리스틴 바스콘셀로스 역시 “이런 일은 결코 일어나서는 안 될 참사였다. 진정한 정의와 하늘의 안전 확보를 위해 싸울 것”이라고 했다. 이번 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