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2025년 10월 현재, 국내 쌀 소매가격이 한 가마(80kg)당 27만원을 넘어서며 지난해 대비 30% 가까이 급등해 가계 물가 부담이 크게 늘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10월 2일 기준 소매가격 조사에 따르면, 20kg당 평균 가격은 6만8435원에 달해 한 가마 기준으로 환산 시 27만3740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달 22일 6만3991원에서 불과 열흘 만에 4000원이 넘게 오른 것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5만2980원 대비 29.2%, 평년 5만4747원보다는 25% 상승한 수치로, 9월 소비자물가지수 조사에서도 쌀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15.9% 가파르게 올라갔다.
소비자 부담과 정책 과제
급등한 쌀값은 가계 부담 증가뿐 아니라 가공업체 등 쌀 수요자에게도 영향을 미쳐 업계 전반에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 소비자들은 20kg당 6만원을 넘는 가격대를 심리적 저항선으로 인식해 왔으나, 현재 시장에서는 이 저항선이 무너져 물가 불안 요소로 작용 중이다.
쌀값 급등의 배경와 이유
2025년 쌀값 급등 현상은 겉으로 보면 쌀이 남아도는 상황임에도 가격이 크게 오르는 '역설적' 현상이다. 이번 쌀값 급등은 다음과 같은 복합적 수급·정책 배경에서 비롯됐다.
첫째, 올해 쌀 생산량은 재배면적 감소에도 불구하고 기상 여건 호조로 단위 면적당 수확량이 늘어 357만4000톤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 대비 0.3% 감소한 수치이나, 예상 수요량보다는 약 16만5000톤 초과한 공급량이다. 즉, 쌀은 구조적으로 남아도는 상황이다.
둘째, 문제의 핵심은 정부의 시장격리 정책이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지난해 쌀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총 26만톤 규모의 쌀을 시장격리 매입해 유통을 제한했다. 시장격리로 시중과 산지 유통업체의 재고가 부족해져, 쌀 공급이 일시적으로 감소하고 가격이 상승했다. 더구나 정부가 방출 시기를 늦추면서 시장 부족 현상은 더욱 심화됐다.
셋째, 정부 창고에는 111만5000톤의 쌀이 비축 중이나, 산지 유통재고는 급감해 지난 7월 말 기준 시장재고가 전년 대비 46.2% 급감하는 등 유통 경로상의 재고 부족이 가격 급등을 촉발했다.
민간 연구기관 GS&J 인스티튜트는 "시장재고 감소로 9월 초 시장에 남은 쌀이 거의 바닥났다고 분석하며, 가을 수확 전까지 쌀값 상승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넷째, 산지에서 조생종 햅쌀 출하가 지연된 점도 수급 불균형을 심화시켰다. 통상 7~9월 단경기에도 쌀값이 오르지만, 올해 상승폭이 지나치게 크고 빠른 배경에는 조생종 출하 지연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된다.
즉 쌀이 남아돌 정도로 초과 생산량이 존재함에도 가격이 급등한 것은 정부의 시장격리 정책과 시기 적절하지 못한 비축물량 공급, 산지 재고 부족이라는 인위적 수급 장애 때문으로 해석된다. 이로 인해 실제 시장에서는 공급 부족 현상이 발생해 가격이 오르는 모순적 상황이 벌어졌다.

전문가 진단과 분석
전문가들은 "정부의 과도한 시장 개입과 과거 시장격리 정책이 현재 쌀값을 급등시키는 부메랑 효과를 불러왔다"고 지적했다.
서강대 경영학과 김용진 교수는 "쌀값 상승이 공급 부족에서 비롯된 구조적 문제이며, 생산량 감소와 기후변화, 제한적인 수입 구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분석했다. 또한 쌀 수요는 감소하는 추세지만 공급 부족이 더 큰 폭으로 나타나 가격 불안을 확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10월 중순 이후 가격 안정 기대
2025년산 쌀 예상 생산량은 357만4000톤으로, 전년 대비 0.3% 감소한 수준이다. 하지만 예상 수요량보다 16만5000톤 정도 초과 공급이 전망되어 단기적으로 수확기 이후 쌀값은 점차 안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월 13일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개최해 정부, 생산자, 산지 유통업체, 전문가와 함께 쌀 수확기 대책을 논의해 쌀값 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다. 햅쌀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풀리면서 소비자 가격이 점진적으로 연착륙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쌀값 급등 사태는 정부의 수급 정책과 시장 상황이 맞물려 복합적인 영향으로 발생했으며, 10월 중순 이후 생산량 증가와 정책 조정으로 가격 안정이 기대된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정부는 향후 시장격리 규모를 조정하며 자율적인 생산량 조절과 구조적 수급 방안 마련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