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랭킹연구소] AI 생성 검색결과 인용 순위 TOP10, 1위는 레딧…2~4위, 위키피디아·유튜브·구글 順

레딧 최강자 등극…구글 제치고 ‘빅3’ 진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인공지능(AI)이 생성하는 검색 결과(2025년 6월 기준)에서 레딧(Reddit)이 가장 많이 인용되는 출처로 등극했다.

 

Complete AI Training, Presss Gazette, Analytics Insight, Search Engine Land의 보도와 애널리틱스(analytics) 플랫폼Statista, Semrush의 보고서와 Reddit 공식 발표, 주요 검색 시장 통계 등의 자료에 따르면, AI 대형 언어 모델(LLM)이 참조하는 전체 출처 중 40.1%를 레딧이 차지하며, 전통적 지배자였던 구글과 위키피디아를 제쳤다.

 

위키피디아는 26.3%로 2위, 유튜브가 23.5% 3위, 구글은 23.3%로 4위에 머물렀다.

 

이는 커뮤니티 중심의 사용자 제작 콘텐츠가 AI 학습과 답변 생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확대됐음을 뜻한다. 레딧은 2024년 구글과 6000만 달러 규모 API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 방대한 커뮤니티 대화 기록을 AI 시스템에 제공하면서 AI 생태계 내에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2025년 1분기 기준 전 세계 일일 활성 사용자가 1억800만명에 달해, 실시간 토론과 다양한 관점이 AI 훈련에 활용되고 있다.

 

레딧의 스티븐 허프먼 CEO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우리 플랫폼은 이미 수백만명에게 사실상의 검색엔진 역할을 한다”며, “구글 검색 이용자도 결국 레딧에 도달한다”고 말했다. 그는 “사용자들이 진짜 사람들의 답변을 얻기 위해 ‘레딧’이라는 단어를 검색어에 덧붙이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덧붙였다.

 

레딧은 이같은 트렌드에 대응해 AI 기반 커뮤니티 토론 요약 서비스 ‘레딧 Answers’를 출시, 미국, 인도, 영국 등 12개국에서 운영 중이다.

 

경제적 성과도 눈에 띈다. 2025년 2분기 레딧 매출은 5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했다. 광고 매출은 4억6500만 달러로 84%나 뛰었다. 구글과의 데이터 라이선싱 협약에서도 3500만 달러 수익을 거두며, AI 중심 사업 전략이 성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구글은 글로벌 검색 시장 점유율이 2025년 들어 90% 아래로 하락하는 등 지배력이 약화되고 있다. 스탯카운터(Statcounter) 집계에 따르면 2025년 3월 글로벌 검색시장에서 구글의 점유율은 89.74%에 머물렀고, 미국 시장에서는 86.83%까지 내려갔다.

 

Bing과 DuckDuckGo 같은 대체 검색 엔진과 챗GPT, 퍼플렉시티 같은 AI 네이티브 검색 서비스가 점차 자리잡으면서 경쟁의 강도가 높아지고 있다.

 

특히 Semrush와 Profound의 분석에 따르면, 레딧의 강점은 ‘틈새 질문’에 대한 사용자들의 깊이 있는 토론에 있다. AI는 이런 토론을 통해 실생활 문제 해결과 다양한 인간 관점을 학습, 더 풍부하고 정교한 답변을 제공할 수 있다. 실사용자 1억1000만명의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AI 모델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자원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변화는 향후 AI 기반 검색과 콘텐츠 유통 흐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레딧과 같은 커뮤니티 플랫폼이 미디어 및 마케팅에서도 새로운 전략적 노드가 되리라 전망한다.

 

브랜드는 AI가 참고하는 신뢰도 높은 출처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온라인 토론 참여와 콘텐츠 품질 관리에 힘써야 한다. 동시에 AI가 급속도로 대체하는 기존 검색 생태계의 향방과 개인정보 보호 문제도 지속적인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현상은 향후 AI 시대 정보 소싱 패러다임의 근본 변화를 알리는 신호탄이다. 이제 사람들은 단순한 웹 문서보다 살아있는 커뮤니티 대화를 기반으로 한 AI 생성 답변에 점점 더 의존하게 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머스크 xAI, 매크로하드 AI 벤처로 MS 정조준…"소프트웨어 기업 해체 선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2025년 8월 22일(현지시간) 자사의 인공지능 회사 xAI가 '매크로하드(Macrohard)'라는 새로운 AI 기반 소프트웨어 벤처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매크로하드는 순수 AI만으로 운영되는 소프트웨어 회사”라며, 수백 개의 전문화된 AI 에이전트들이 협업하는 방식으로 기존 소프트웨어 기업, 특히 마이크로소프트에 직접 도전한다고 발표했다. 매크로하드라는 이름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의 ‘마이크로’를 ‘매크로’로, ‘소프트’를 ‘하드’로 바꾼 말장난이자 도발적인 네이밍으로, 빌 게이츠와의 과거 공개 불화가 엿보이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xAI는 이 명칭으로 2025년 8월 1일 미국 특허청에 상표를 출원했으며, 자연어 처리, 생성 미디어 소프트웨어, 자동화 및 의사결정 지원 AI 시스템 등 광범위한 분야를 포괄하는 기술 개발을 표방하고 있다. 머스크는 이 벤처의 핵심 경쟁력으로 ‘수백 개의 전문 코딩 및 이미지·비디오 생성·이해 AI 에이전트’가 함께 작동하는 멀티 에이전트 협업 시스템을 강조한다. 이들 AI가 가상 환경에서 인간

[빅테크칼럼] 머스크, 오픈AI 인수 위해 저커버그에 자금지원 요청…AI 지배권 놓고 벌이는 "적과 동지의 냉혹한 현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970억 달러 규모의 오픈AI 인수 자금 마련을 위해 메타의 CEO 마크 저커버그에게 재정적 지원을 요청했던 사실이 알려졌다. CNBC, 로이터, 테크크런치 등 주요 해외 언론과 법원 서류에 따르면, 이같은 사실이 법원 제출 서류를 통해 공개되면서 AI 산업의 권력 다툼이 한층 격화되고 있다. 이번 소송과 관련한 법원 기록에 따르면, 머스크는 저커버그와 “잠재적인 금융 협약이나 투자”에 관해 논의했으나, 최종적으로 메타나 저커버그는 머스크의 인수 의향서에 서명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머스크와 저커버그의 협력 가능성은 AI 업계 내 양대 거물 사이의 경합 구도를 극명히 보여준다. 메타는 자사 AI 역량 강화를 위해 140억 달러 규모로 스케일AI에 투자하고, 오픈AI 핵심 인재인 챗GPT 공동개발자 셩자오(Shengjia Zhao)를 수석 과학자로 영입하는 등 공격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셩자오는 메타의 최첨단 AI 연구소 ‘슈퍼인텔리전스 랩’의 책임자로서 저커버그와 직접 협업 중이며, 메타는 AI 인프라에 수백억 달러를 투입할 계획을 밝혔다. 머스크가 970억 달러 인수를 제안한 시점은 오픈AI가 소프트뱅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