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5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내궁내정] 2025년 FOMC 美기준금리·韓금통위 금리, 1년에 몇번? 일정은 어떻게?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라 불리는 FOMC(Federal Open Market Committee)는 우리나라 한국은행과 유사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 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회의다.

 

이 회의는 미국 경제 뿐만아니라 글로벌 금융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전세계 투자자들에게 매우 중요한 이벤트로 기억된다.

과연 FOMC가 무엇인지, 그리고 2025년 FOMC 회의 일정은 1년동안 몇번열리고 언제인지등을 정리해보겠다.

 

FOMC는 미국의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기구로,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돼 있다.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7명 이사와 12개 연방준비은행 총재 중 5명이 포함돼 총 12명이다. 

 

현재 의장은 제롬 파월 총재다. 연임을 한 상태이며 임기는 2026년 5월 15일까지다. 지난 8년 동안 이 사람의 말 한마디와 제스처 하나에 미국경제는 물론 지구촌 글로벌 경제가 출렁거린 적인 한두번이 아니다.

 

FOMC의 목표는 최대 고용과 물가 안정을 통한 미국 경제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다. 그래서 FOMC의 결정은 금융시장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단기 금리, 환율, 장기금리, 고용, 물가 등 다양한 경제 변수에 영향을 준다.


FOMC에서 결정하는 대표적인 사항은 우선 물가 안정과 고용 증대를 목표로 기준금리를 인상하거나 인하하는 기준금리 결정이다.

 

또 경제전망요약(SEP)과 점도표(Dot Plot)를 통해 향후 금리 전망과 경제전망을 발표한다. 세번째는 통화정책과 금리 조정을 통해 미국 및 글로벌 경제의 균형을 유지하는 이른바 시장 안정화 정책을 담당한다.

 

FOMC에서 발표되는 금리 결정과 경제 전망은 주식시장, 채권시장, 외환시장 등 다양한 자산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FOMC는 매년 총 8회 열린다. 해당 회의에서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그리고 8회 회의 중 4차례는 경제전망요약(Summary of Economic Projections)을 함께 진행한다. FOMC 회의는 2일간 진행되며, 기준금리는 2번째날 미국 동부 시간 오후 1시경(우리나라 시간으로 새벽 3~4시 가량)에 발표된다.

 

2025년 FOMC 회의 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월 29일(수) ~ 30일(목), 3월 19일(수) ~ 20일(목), 5월 7일(수) ~ 8일(목), 6월 18일(수) ~ 19일(목), 7월 30일(수) ~ 31일(목), 9월 17일(수) ~ 18일(목), 10월 29일(수) ~ 30일(목), 12월 10일(수) ~ 11일(목) 이렇게 8번이다.

 

경제전망요약 3월, 6월, 9월, 12월 회의에서는 점도표(Dot Plot)가 함께 발표된다. 점도표는 연준 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FOMC 참석자들의 금리 전망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표로 볼 수 있다.

 

그만큼 FOMC 회의와 기준금리 발표는 세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이벤트다. 투자자라면 2025년 회의 일정을 미리 체크해두고, 투자에 꼭 참고하기를 바란다.

 

 

아울러 2025년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일정도 알아보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는 대한민국의 기준금리 등 통화정책을 결정하는 중요한 회의다. 금융통화위원회는 2025년 정기회의를 총 24회 개최할 예정이다.

 

가장 중요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는 8회(1월, 2월, 4월, 5월, 7월, 8월, 10월 및 11월), 금융안정회의는 4회(3월, 6월, 9월 및 12월) 열린다.

 

현재 우리나라 기준금리는 3.00%이고, 미국 기준금리는 4.50%로 두 나라간 금리차이는 1.50%다. 

 

최근 우리나라의 고환율과 비상계엄사태, 내년 미국 트럼프 정부의 출현 등 다양한 대내외 경제 요인에 의해 기준금리의 방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다음 기준금리 결정은 2025년 1월 16일로 예정되어 있는데, 발표전까지 금융통화위원회의 고심이 깊어질 것으로 보여진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전국민 90% 10만원 소비쿠폰 "잠실주공5단지 주민도 받는다"…아파트 공시가 25억 받고, 30억은 못받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오는 9월 22일부터 대한민국 국민 90%를 대상으로 1인당 10만원씩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급된다. 단,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 12억원 초과 또는 금융소득 합계액 2000만원 초과 가구는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이번 소비쿠폰은 내수 활성화와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정부의 민생 회복 정책의 일환으로, 1차 때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지급했으나 2차는 고소득·고자산 가구를 걸러내어 혜택을 집중한다. 정부와 여당은 1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2차 소비쿠폰 지급 계획을 발표하며, 가구 단위 선정 기준을 세워 ‘2025년 6월 18일 기준 주민등록표에 등재된 가구원’을 대상으로 한다고 밝혔다. 배우자와 자녀가 주소지가 달라도 건강보험 피부양자로 등록돼 있으면 동일 가구로 간주되며, 부모는 별도의 가구로 본다. 맞벌이 등 다소득원 가구는 가구원 수+1명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 합산액 기준이 완화된다. 재산세 과세표준은 공시가격에 공정시장가액비율(주택 60%)을 곱해 산정하는데, 예컨대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전용 82.61㎡ 아파트 공시가격 19억7200만원 기준으로 과세표준은 약 11억8300만원으로 기준선 12억원 미만이어서 2

[랭킹연구소] 이재용 주식재산 18조 돌파 ‘상속 이후 최고치’…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SDS·삼성E&A·삼성화재·삼성전자우 총 7개 보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주식부자 1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주식재산이 이재명 대통령 취임 100일 만에 18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재용 회장이 부친인 고(故) 이건희 회장에게서 주식을 물려받은 이후 가장 높은 평가액이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이재용 회장의 주식가치는 9월 11일 기준 18조1086억원으로 평가됐다고 12일 밝혔다. 한국CXO연구소에 따르면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이달 11일 기준 ▲삼성전자 ▲삼성물산 ▲삼성생명 ▲삼성SDS ▲삼성E&A ▲삼성화재 ▲삼성전자 우선주 이렇게 총 7개의 주식종목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7개 종목에 대한 올해 연초 기준 주식재산 가치는 11조9099억원 수준이었고, 1분기 때인 지난 3월 말에는 12조2312억원으로 12조원대 수준을 보여왔다. 이후 이재명 대통령이 공식적으로 취임한 지난 6월 4일 기준 이재용 회장의 주식평가액은 14조2852억원으로 높아졌고, 2분기 때인 6월 말에는 15조2537억원으로 높았다. 대통령 취임 50일 시점인 지난 7월 23일에는 16조2648억원으로 16조원대로 증가했다. 그러다 지난 11일에는 18조5157억원의 가치를

[랭킹연구소] 세계 최고 암 병원 TOP10에 한국 병원 3곳 포함…삼성서울병원·서울아산병원·서울대병원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가 2026년 세계 최고 전문 병원 순위를 발표한 결과, 암 분야 세계 톱10 병원 중 한국 병원 3곳이 이름을 올려 주목받았다. 삼성서울병원은 미국의 메모리얼 슬론 케터링 암센터, MD앤더슨 암센터에 이어 3위를 기록했고, 서울아산병원이 4위, 서울대병원이 8위에 올랐다. 이 같은 성과는 한국 의료진의 높은 임상 역량과 첨단 의료기술 도입, 환자 중심 의료 서비스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있음을 반영한다. 이번 순위는 암을 포함해 내분비, 소화기, 신경, 비뇨기, 정형외과 등 12개 임상 분야별로 30여 개국 의료 전문가 수만 명의 평가를 토대로 글로벌 마케팅업체 스타티스타와 뉴스위크가 공동으로 집계했다. 암 분야 상위 10곳 병원 중 미국 병원이 4곳으로 가장 많았고, 한국 병원이 3곳, 프랑스·영국·캐나다 병원이 각각 1곳씩 포함됐다. 서울아산병원은 암 이외에도 내분비와 소화기 분야 각각 4위를 차지했으며, 신경·비뇨기·정형외과 등 6개 분야에서 톱10 안에 들며 다방면에서 강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서울병원은 암 분야에서 3위를 차지하는 동시에 소화기 5위, 비뇨기 10위권에 올랐으며, 2022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