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6 (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로켓랩, 70번째 일렉트론 미션 발사 '임박'…우주 발사 시장 선도 '가속'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로켓랩 코퍼레이션(Rocket Lab Corporation)이 2025년 8월 23일 자사의 역사적인 70번째 일렉트론(Electron) 미션을 수행할 예정이다.

 

Marketscreener, BusinessWire, SatNews의 보도에 따르면, 이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발사 빈도가 높은 민간 우주 발사체 공급업체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는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이번 미션은 "Live, Laugh, Launch"라는 이름으로, 5기의 위성을 655km 고도 원형 궤도에 배치할 예정이며, 발사 장소는 뉴질랜드 마히아 반도에 위치한 로켓랩 전용 발사 단지 1 이다.

 

이번 발사는 지난 8월 5일 일본 지구관측업체 iQPS를 위한 "Harvest Goddess Thrives" 위성 성공 발사 후 단 3주 만에 이루어지며, 로켓랩은 올해에만 11차례의 발사를 완료해 100%의 임무 성공률을 자랑하고 있다. 이는 소형 위성 전용 발사체인 일렉트론이 세계에서 가장 빈번히 발사되는 궤도 로켓으로 자리매김했음을 입증하는 수치다.

 

로켓랩 CEO 피터 벡 경은 “일렉트론이 반복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우주 접근의 기준을 세우며 업계 내 빠른 발사 주기로 선도적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고 평가하며, 전 세계 소형 위성 시장에서의 리더십을 강조했다.

 

더불어 이번 70번째 임무는 중형 재사용 발사체 ‘뉴트론(Neutron)’ 로켓의 첫 공식 발사를 위한 버지니아주 월롭스 섬 발사 단지 3의 개방 직전에 이루어지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뉴트론은 로켓랩이 중형 발사체 시장으로 확장하는 핵심 전략으로, 첫 발사는 2025년 내로 예정되어 있다. 이로써 로켓랩은 일렉트론의 소형 위성 시장 성공에 더해 중형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 다변화와 성장의 두 축을 동시에 강화하고 있다.

 

2018년 1월 첫 궤도 발사 이래, 일렉트론은 민간·공공 부문에서 200기 이상의 위성을 성공적으로 궤도에 올리며 국가 안보, 과학 연구, 우주 쓰레기 완화, 지구 관측, 기후 모니터링,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 인프라로 자리 잡았다. 2025년 상반기에도 ‘Symphony In The Stars’ 미션과 더불어 BlackSky, iQPS 등 주요 위성 콘스텔레이션 운용업체들을 위한 다수 발사를 성공시켰다.

 

이번 70번째 일렉트론 미션은 로켓랩의 업계 내 독보적인 발사 빈도와 임무 성공률, 그리고 기술적·운영적 통합 역량을 검증하는 핵심 사건이 될 것으로 기대되며, 글로벌 우주 산업에서의 입지를 한층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베이조스 “수십년 내 수백만명 우주 거주…AI와 로봇이 우주경제 선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가 향후 수십년 안에 수백만명이 우주에 거주하게 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 로이터, 테크버즈, 타임스오브인디아, CNBC에 따르면, 2025년 10월 4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이탈리안 테크 위크’에서 베이조스는 “수백만명이 우주에 살게 될 것”이라며 대부분 이들이 자발적으로 우주 거주지를 선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의 발언은 인류의 생활공간이 지구를 넘어 우주로 확장되며 그 중심에는 인공지능(AI)과 로봇 기술이 자리잡을 것이라는 비전을 제시했다. 베이조스는 자신이 설립한 우주개발 기업 블루오리진의 비전을 소개하며, "로봇이 대부분의 노동을 담당하고, 지구 궤도 위에 거대한 AI 데이터센터들이 떠 있는 세상이 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 데이터센터들은 풍부하고 끊김 없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해 지구 기반 데이터센터보다 효율적이고 비용 면에서 더 우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AI와 클라우드 컴퓨팅의 급격한 성장으로 막대한 전력과 냉각용 물이 필요해지면서, 우주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계획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들 거대 데이터센터는 향후 10~20년 내 우주에 세워질 것으로 예상된다. 베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