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내궁내정] 보라색 바나나가 실제로 있다고?…신비로운 과일색깔의 실체와 맛의 비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최근 글로벌 미디어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보라색 바나나’가 현실에서 존재하는지에 대한 호기심과 논쟁이 뜨겁다.

 

정답은 ‘보라색 바나나’라는 이름의 품종은 존재하지만, 우리가 상상하는 ‘강렬한 보라색’의 식용 바나나는 자연계에서 확인된 바 없다. 일반적인 노란색 바나나와는 다른 독특한 품종으로, 보라색 바나나와 함께 빨간색 바나나도 있는데, 이들은 모두 먹어도 안전하며 각각 독특한 맛과 영양적 이점을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Musa ornata 등 품종 분류 및 색소 연구: Oxford Academic(2024), 위키피디아, 레드 바나나의 국가별 영양 데이터: Healthline, Times of India, IFLScience, Gardenia, ABC15, Harvard Nutrition Source를 기초로 다양한 국내외 과학 논문 및 기사를 종합해 보라색 바나나의 실체, 유사 품종의 생태와 영양, 그리고 미디어에 나타나는 왜곡까지 알아봤다.

 

진짜 보라색 바나나의 실체와 식물학적 기록


대표적으로 알려진 ‘보라색 바나나’는 학명 Musa ornata로, 주로 인도와 동남아시아에서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식물학적으로 꽃과 포(苞)는 분홍~보라색 계열이지만, 실제 열매는 짙은 보라색이 아니라 ‘분홍’ 또는 ‘자주’빛에 가깝고 씨가 많아 식용으로는 부적합하다.

 

Musa ornata에 관한 2024년 논문에 따르면, 이 품종은 색소 안토시아닌(anthocyanin)이 풍부해 전체적으로 분홍이나 연보라 계열 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식물체는 1.5~3m의 소형이고, 꽃차례와 열매 껍질이 장식적으로 아름답게 피어난다.

 

 

유사 품종: 레드·블루 바나나의 현황과 영양


보라색 바나나의 근연종으로 레드 바나나(Red Banana)와 파란 바나나(Blue Java Banana)가 있다. 레드 바나나는 과피(껍질)가 빨간색 또는 자줏빛을 띠며, 안토시아닌, 베타카로틴, 비타민 C, B6, 칼륨이 풍부하다. 100g당 열량은 90kcal, 칼륨은 9% RDI, 비타민 B6는 28% RDI, 비타민 C 9% RDI, 식이섬유 3g을 제공한다.

 

파란 바나나(블루 자바)는 성숙 전에는 푸른빛, 익으면 은색~흰색으로 바뀌며 바닐라 아이스크림 맛 비슷한 식감이 특징이다. 역시 칼륨, 비타민 B6, C, 식이섬유가 풍부하며, 100g당 평균 칼로리는 110kcal 전후다.

 

미디어와 SNS 상의 ‘보라색 바나나’ 허구


국내외 사진 커뮤니티, 유튜브, SNS에 올라오는 ‘강렬한 보라색 바나나’ 이미지는 대부분 AI 이미지 합성 또는 포토샵 등 편집물임이 전문가들에 의해 확인된 바 있다. 상품설명이나 정보 제공 사이트의 실물 사진은 연한 보라색, 분홍, 레드 계열이 다수지만, 실제 ‘진한 보라색’ 열매는 식용 목적으로 존재하지 않거나 관상용 소과(小果)에 한정돼 있다.

 

영양학적 가치 및 건강 정보


일반 바나나(황색)는 100g당 평균 89kcal, 탄수화물 22.8g, 칼륨 358mg, 비타민 B6 0.4mg, 비타민 C 8.7mg, 식이섬유 2.6g을 포함한다. 레드 바나나는 이 수치보다 미량 높거나 비슷하지만, 안토시아닌 등 항산화물질의 함량이 비교적 많다. 블루 자바 바나나 역시 비슷한 수치를 보인다. 심혈관 건강, 소화기계 건강 증진,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는 세 품종 모두 긍정적인 평가가 나온다.

 

전문가 의견


즉, 보라색 바나나는 식물학적으로 실재하는 품종(특히 Musa ornata)이 있지만, 상업적 식용 바나나는 아니고 ‘강렬한 보라색’은 인위적 이미지에 가깝다는 것이 다수 국외 학계와 미디어의 평가다. 식용으로는 레드 바나나, 블루 자바 바나나가 존재하며, 영양 및 건강 측면에서 일반 바나나 대비 우수한 일부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9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신간] 삼국지는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삼국지 명문장 30개로 배우는 '삼국지 인생 공부' 출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역사와 문화의 정수이며, 지식인의 교양을 구성하는 핵심 고전 중의 하나인 삼국지가 새로운 버전으로 돌아왔다. <삼국지 인생 공부-천하를 움직인 심리전략>(나관중 원저, 김태현 지음)은 진수의 『삼국지』와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인간 군상의 다양한 얼굴과 지혜를 담아냈다. 이 책은 삼국지 속 절체절명의 순간에 나온 명문장 30개를 선정했다. 그 문장이 어떤 배경에서 탄생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전쟁과 정치의 흐름을 바꾸었는지를 살펴봤다. 관도대전, 적벽대전, 이릉전투 등 삼국지의 명장면을 통해 기만, 연합, 기회 포착 같은 전략을 분석한다. 이 전술들은 오늘날 리더십과 인간 관계에도 깊은 통찰을 준다. 삼국지는 단순한 전쟁사가 아니라 인간의 심리를 해부한 책이다. 혹자는 “삼국지를 읽지 않은 사람과는 친구가 되지 말고, 세 번 이상 읽은 사람과는 싸우지 말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 작가는 "오늘을 사는 우리도 각자의 ‘인생 삼국지’를 치르고 있다. 조조처럼 결단하고, 유비처럼 사람을 모으며, 제갈량처럼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사마의처럼 인내하며 흐름을 읽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어 "삼국지를

[랭킹연구소] 5년간 국립대 성비위 징계 대학 순위…서울대>경상국립대>전북대>강원대 順 ‘솜방망이 처벌’ 빈축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5년간 전국 39개 국립대에서 성비위 징계 161건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서울대가 18건(11.1%)으로 가장 많은 징계 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전국 39개 국립대(4년제·교대·산업대 포함)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교수, 학생, 직원 포함 총 161건의 성비위 징계가 확정됐다. 교수 64명 중 36.7%가 정직, 감봉 등의 경징계를 받고 복귀했으며, 평균 정직 기간은 2개월 수준에 불과해 신속한 복귀가 가능했다. 특히 중징계인 해임과 파면 비율은 낮고, 상당수가 경징계인 점에서 교육기관으로서 윤리기준 강화와 실효성 있는 재발 방지 대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학교 성비위 징계 현황 교수에게 내려진 징계가 68건으로 가장 많았고, 학생 징계는 67건이었다. 성비위 징계가 많은 대학은 서울대, 경상국립대, 전북대, 강원대 순이다. 서울대는 전체 징계의 11.1%를 차지했다.​ 경징계 비중 및 문제점 64명의 징계 대상 교수 중 36.7%가 정직(16건), 감봉(5건), 견책(4건) 등 경징계를 받고 복귀한 것으로 확

[랭킹연구소] 타임스 고등교육 2026 세계 대학 순위, 옥스퍼드·MIT·프린스턴·캠브리지·하버드·스탠포드 順…서울대(58위)·카이스트(70위)·연세대(86위)·성균관대(87위) 100위권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우리나라 대학 4곳이 사상 처음으로 세계 상위 100위권에 진입했다. 서울대(58위)를 비롯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70위), 연세대(86위), 성균관대(87위) 등이 랭크됐다. 서울대는 2023년판 이후 처음으로 상위 60위권 안에 들었다. 10월 9일 영국 대학평가기관 타임스 고등교육(Times Higher Education, THE)이 발표한 ‘2026 세계대학평가’에서 서울대학교가 세계 58위로 국내 대학 1위의 자리를 지켰다. KAIST는 2016 발표 이후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연세대와 성균관대는 지난해 공동 102위에서 각각 16·15계단 상승하며 100위권에 재진입했다. 이로써 세계 톱100에 서울대, KAIST, 연세대, 성균관대 등 총 4곳이 이름을 올리며 국내 ‘빅4’ 구도가 형성됐다. 특히 지난해 대비 15계단 상승한 성균관대학교는 국내외 주요 연구 중심대학으로서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 국내 사립대학 중 2위, 전체 국내 대학 중 4위를 차지했다. 산학협력 부문에서는 세계 64위에 올라 혁신적인 기업 연계와 실용 연구 역량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연세대와 성균관대학은 총점 0.2점차로 순위가 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