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3 (일)

  • 구름조금동두천 13.4℃
  • 구름많음강릉 15.4℃
  • 구름많음서울 14.1℃
  • 구름많음대전 14.5℃
  • 맑음대구 15.4℃
  • 맑음울산 17.2℃
  • 맑음광주 15.3℃
  • 맑음부산 16.2℃
  • 구름조금고창 14.9℃
  • 맑음제주 18.6℃
  • 구름많음강화 13.7℃
  • 구름많음보은 13.7℃
  • 구름조금금산 14.4℃
  • 맑음강진군 15.5℃
  • 구름조금경주시 16.5℃
  • 맑음거제 13.0℃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랭킹연구소] 국내기업 시총 TOP20…삼성전자·SK하닉·LG엔솔·삼성바이오·한화에어로·HD현대중·KB금융·현대차·네이버·두산에너빌리티 順

3분기 상장사 시총 330조 증가…삼성전자, 3개월 새 시총 142조↑
CXO연구소, 2025년 6월말 대비 9월말 3분기 기준 2765곳 주식종목 시가총액 변동 조사
전체 시총, 2856兆(6월말)→3187兆(9월말)…시총 증가율 11.6%↑·개별종목 中 53% 시총↓
시총 1조 클럽, 284곳(6월말)→297곳(9월말)…한화에어로스페이스, 시총 톱5에 이름 올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3분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시총) 외형은 330조원 넘게 늘었지만, 개별 주식종목별로 살펴보면 절반 이상은 시총이 하락해 희비가 교차했다.

 

2700곳이 넘는 주식종목 중 삼성전자는 최근 3개월 새 시총 외형만 140조원 넘게 가장 많이 불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 3분기에 시총 순위 톱5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올 3분기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종목은 297곳으로 2분기 때보다 10곳 이상 많아졌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0월 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년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코스피+코스닥+코넥스)은 우선주를 제외한 2765곳이고, 올해 6월말(6월30일)과 9월말(9월30일) 시총 변동 금액과 순위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시총은 한국거래소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9월말 기준 국내 시총 규모는 3187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1분기)에는 2324조원 수준이었고, 올 6월말(2분기)에는 2856조원으로 1분기 대비 2분기 시총은 532조원(22.9%) 정도 증가했다. 이후 6월말 대비 9월말에는 330조원 정도 시총 덩치가 커졌는데, 시총 증가율은 11.6% 수준이다.

 

2분기 때 국내 주식시장 시총 상승률이 20% 이상 오른 것에 비하면 3분기 때는 10%대로 상승 속도는 다소 더뎌졌다. 2분기에 시총 외형이 가파르게 높아지다 보니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3분기에는 오름세가 다소 완만해진 모양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장주들의 상승에 힘입어 올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총 덩치는 눈에 띄게 불었지만, 개별종목별로 살펴보면 하락세를 보인 곳이 절반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2760곳이 넘는 주식종목 중 53.5%(1478곳)나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시총이 하락한 것으로 확인됐다. 반면 41.8%(1156곳)는 상승했고, 4.7%(131곳)는 시총 변동이 없거나 신규 상장된 것으로 파악됐다. 전체적으로 올 3분기 주식시장에서 10곳 중 4곳 정도만 시총 상승으로 미소를 지은 셈이다.

 

 

시총이 1조원 넘는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주식 종목 숫자는 올 3분기에 297곳으로 나타났다. 시총 1조 클럽은 지난 3월말(1분기) 242곳에서 6월말(2분기) 284곳으로 많아졌는데, 올 9월말에는 6월말 때보다 13곳 더 늘었다. 시총 10조원이 넘는 ‘시총 10조 클럽’에 가입한 종목도 3월말 43곳→6월말 55곳→9월말 57곳으로 지속적으로 많아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올 3분기(6월말 대비 9월말) 기준으로 시총 증가액이 1조원 넘게 상승한 곳은 52곳으로 파악됐다. 이 중에서도 4곳은 시총 외형이 10조원 이상 불어났다. 단일 주식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142조원 이상으로 가장 많이 증가해 주식시장 성장을 이끄는 견인차 역학을 했다. 삼성전자 종목의 올해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시총은 353조9943억원에서 496조6576억원으로, 3개월 새 142조6632억원(40.3%) 넘게 상승했다.

 

SK하이닉스는 같은 기간 212조5766억원에서 252조9808억원으로 3분기에만 40조4041억원으로 40조원 이상 시총 체격이 커졌다. 이외 ▲한화에어로스페이스(16조9735억원↑) ▲LG에너지솔루션(11조8170억원↑) 종목도 올 3분기에 시총 외형이 10조원 이상 높아졌다. 이외 ▲한화오션(9조4681억원↑) ▲HD현대중공업(7조6788억원↑) ▲삼성생명(5조8400억원↑)도 5조원 넘게 시총이 불었다.

 

반면 두산에너빌리티는 지난 6월말 43조8143억원이던 것이 9월말에는 40조1631억원으로 3분기 시총 외형만 3조6511억원 이상 감소해 다소 저조한 시총 성적표를 받았다. 두산에너빌리티를 제외하고 최근 3개월 새 시총이 2조원 넘게 내려앉은 곳은 6곳 더 있었다.

 

이들 종목군에는 ▲크래프톤(3조3402억원↓) ▲카카오페이(3조616억원↓) ▲카카오뱅크(2조9811억원↓) ▲현대건설(2조6836억원↓) ▲HMM(2조5113억원↓) ▲한국전력(2조863억원↓) 종목이 포함됐다.

 

 

◆ 3분기 시총 TOP 20에 한화오션·SK스퀘어 신규 진입…HD현대중공업 시총 TOP 10에 입성


올 3분기 시총 TOP 100 순위도 요동쳤다. 5개 주식 종목은 지난 6월말에는 시총 100위 안에 이름을 올리지 못했는데, 9월말에는 상위 100곳 명단에 신규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중 에이비엘바이오는 2분기 때인 6월말 시총 순위가 125위였는데 9월말에는 97위로 3개월 새 28계단 전진하며 시총 TOP 100에 입성했다.

 

같은 기간 ▲삼천당제약(122위→96위) ▲리가켐바이오(104위→95위) ▲이수페타시스(114위→94위) ▲삼성E&A(101위→93위)도 올 3분기에 시총 100위에 신규 진입했다.

 

국내 주식시장을 선두에서 이끄는 시총 상위 TOP 20 순위도 출렁거렸다. 특히 상위 20곳 중 2곳은 2분기 때와 달리 3분기 때 시총 TOP 20에 신규 진입하거나 탈락해 명암이 엇갈렸다. 지난 6월말과 9월말에 동일한 시총 순위를 지킨 곳은 4곳밖에 되지 않았다. 여기에는 ▲삼성전자(1위) ▲SK하이닉스(2위) ▲신한지주(13위) ▲HD한국조선해양(17위)이 명단에 포함됐다.

 

올 2분기에 시총 TOP 20에 새로 진입한 곳 중에서는 한화오션과 SK스퀘어가 이름을 올렸다. 이중 한화오션은 지난 6월말 시총 순위가 21위였는데, 9월말에는 14위에 진입해 눈길을 끌었다. SK스퀘어도 22위에서 19위로 앞서며 시총 TOP 20에 새로 입성했다.

 

반대로 지난 6월말까지만 해도 시총 20위 명단에 포함됐던 곳 중 2곳은 9월말에는 탈락하는 아픔을 맛봤다. 한국전력(19위→24위)과 하나금융지주(20위→22위) 종목은 지난 6월말과 달리 9월말 시총 TOP 20 명단에서 제외됐다.

 

올 9월말 기준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297개 주식종목 중 올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시총 증가율이 가장 크게 오른 곳은 ‘HJ중공업’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종목의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시총은 6620억 원에서 2조 3316억 원 수준으로 시총 상승률만 해도 252.2%나 퀀텀점프했다.

 

HJ중공업을 제외하고 최근 3개월 새 시총 증가율이 100%를 넘긴 곳은 3곳 더 있었다. 이들 그룹군에는 ▲올릭스(177.3%) ▲원익홀딩스(167.8%) ▲로보티즈(120.2%)가 포함됐다. 이중 올릭스는 지난 6월말 시총 덩치가 6890억원 수준이었는데 지난 9월말에는 1조9109억원으로 달라졌다. 원익홀딩스는 4224억원에서 1조1315억원으로, 로보티즈는 9646억원에서 2조1245억원으로 시총이 높아졌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올 3분기 국내 주식시장은 (제)약과 (조)선중공업, (이)차전지 분야를 비롯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중심으로 하는 (전)자 및 반도체 산업을 아우르는 이른바 ‘제·조·이·전’ 종목에서 강세를 보였다”면서도 “(건)설, (정)보통신, 유(통) 관련 종목 등이 포함된 이른바 ‘건·정·통’ 종목군에는 시총 하락으로 울상을 지은 곳이 다수 나왔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전세도 스펙 경쟁" 임대인·임차인 모두 검증받는 시대…임차인 면접·6개월 인턴·변호사 세입자 사양 등 ‘뉴 노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파트 전세 품귀와 전세의 월세화 흐름 속에서 ‘임차인 면접제’가 한국 임대차 시장의 신(新)풍속도로 부상하고 있다. 전세사기·역전세 사태 이후 임대인에 대한 정보공개가 제도화된 데 이어, 이번에는 임대인이 임차인의 신용·범죄 이력과 ‘생활 태도’까지 검증하겠다는 역(逆)요구가 맞붙으면서 전월세 계약을 둘러싼 힘의 균형이 근본적으로 재편되는 양상이다.​ 국회로 올라간 ‘임차인 면접제’…서류–면접–6개월 인턴까지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11월 12일 ‘악성 임차인으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한 임차인 면접제 도입’ 청원이 올라와 동의 절차를 밟고 있다. 이 청원은 요건 심사 통과 뒤 공개 하루 만에 100명의 사전 동의를 채웠고, 이후 동의자가 1000명을 넘기며 임대인 불만과 불안 심리가 적지 않음을 보여줬다. 국회법상 30일 안에 5만명 이상 동의를 확보하면 소관 상임위원회가 150일 이내에 공식 심사에 착수해야 한다.​ 청원인이 요구하는 ‘임차인 면접제’는 사실상 채용 절차에 준하는 3단계를 상정한다. 1차 서류전형에서는 ▲신용정보조회서(대출 연체 여부) ▲범죄기록회보서 ▲소득금액증명원(월세 납부 능력) ▲세금완납증명서(국세

[이슈&논란] 오세훈 서울시장 "토허구역 해제, 고려해볼 만한 시점…금융규제 완화 방안 논의중"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은 2025년 11월 20일 서울시의회 시정질문 답변에서 서울 전역으로 확대 지정된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구역) 해제 여부에 대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지만, 현재는 해제 검토가 가능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오 시장은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을 처음부터 최소화했어야 했다"고 평가하며, "규제 확대가 오히려 일부 지역 집값 상승과 금융 규제로 인한 서민 피해를 부추겼다"고 지적했다. 그는 10·15 부동산대책과 관련해 "금융 대출규제가 서민 주거 사다리를 무너뜨리는 부작용을 낳았으며, 이에 대해 국토교통부와 금융·경제 부서의 태스크포스에서 금융 규제 완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지난해 일부 강남권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후 집값과 거래량이 급증하는 현상이 나타나자 39일 만에 규제를 대폭 확대하는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이런 정책의 오락가락에 대해 오세훈 시장은 당시 상황에서 주택시장 위축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결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15억원 초과 주택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대출 한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고가 아파트 중심으로 거래 절벽과 집값 불균형 현상이 심화됐으며, 실수요자와 중산층

[랭킹연구소] 매출 상위 500대 기업, 기부금 순위…삼성전자>한전>현대차>SK하이닉스>기아>포스코>LG생활건강>HD현대중>한국수력원자력>강원랜드 順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국내 500대 기업의 영업이익이 올 3분기까지 약 13% 증가한 반면, 이들 기업의 기부금은 약 3% 늘어나는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이 갈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강조되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주요 기업들이 기부금을 줄인 것으로 조사됐다. 11월 1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3분기 보고서에 기부금 내역을 공시한 218개 기업(금융업 제외)을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올 3분기 누적 기부금 총액은 1조165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 1조1244억원 대비 3.6%(408억원) 증가한 수치다. 반면,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누적 영업이익은 125조8429억원에서 142조2897억원으로 16조4468억원(13.1%) 급증했다. 글로벌 경기호조로 기업의 수익성은 두 자릿수 성장을 기록했지만, 기부금 증가율은 이에 한참 못 미치는 3%대에 그친 것이다. 조사 대상 기업 중 올 3분기 누적 기부금이 가장 많은 곳은 삼성전자로, 총 1104억원을 기부했다. 하지만 이는 전년 동기(1412억원) 대비 308억원 감소한 수치다. 2위인 한국전력공

[내궁내정] 블루오션·레드오션 그리고 퍼플오션이 뭐길래?…"경쟁·창조 넘나드는 전략의 진화" 바다별 성공비즈니스 사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현대 경영과 마케팅 담론에서 ‘오션 전략’은 시장에서 기업 경쟁과 창조의 양상을 이해하는 중요한 키워드다. 대표적인 블루오션과 레드오션에서 출발해 최근에는 이 두 개념의 중간지대이자 융합형 전략인 퍼플오션이 주목받고 있다. 각 전략은 시장 경쟁구조, 성장 가능성, 혁신 방식에 차이가 있으며, 이들에 대한 객관적 수치와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적 해석을 더하기도 한다. 경쟁과 혁신의 경계에서 기업들은 블루오션, 레드오션, 퍼플오션 전략을 통해 각기 다른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 오션 전략에 따른 대표 비즈니스와 브랜드 사례를 통해 현황과 미래 방향을 알아봤다. 블루오션: 경쟁 없는 미개척 시장의 혁신 블루오션은 IN

'양성평등의 시대 여성이 함께' 주제로 1200명 여성지도자 한자리에…한국여성단체協, 전국여성대회 '성황'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한국여성단체협의회(회장 허명)는 11월 18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코엑스 3층 오디토리움에서 ‘양성평등의 시대, 여성이 함께’를 주제로 제60회 전국여성대회를 개최했다. 올해로 60회를 맞은 전국여성대회는 1962년 제1회 대회를 시작으로 대한민국 여성의 사회참여와 권익 신장의 역사와 함께해온 대표적인 전국 여성 행사이다. 특히 올해는 전국여성대회 60회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며, 여성독립운동가의 정신을 계승하고 양성평등 시대를 향한 비전을 선포했다. 이번 전국여성대회에는 한국여성단체협의회 54개 회원단체 회원, 전국 17개 시‧도여성단체협의회 회원, 내외귀빈, 주한 외국 대사, 전국 여성 지도자 등 1200여명이 참석해 대회의 의미를 더했다. 이날 행사에는 원민경 성평등가족부 장관, 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최고위원, 서명옥 국민의힘 중앙여성위원장, 임이자 국회 기획재정위원장, 주용중 TV조선 대표이사, 정정옥 대통령비서실 성평등가족비서관 등 각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해 전국 여성지도자들을 격려했다. 특히 미쉘 윈트럽 주한 아일랜드 대사, 던 베넷 주한 뉴질랜드 대사, 게오르크 빌프리트 슈미트 주한 독일

[공간혁신] 삼성물산, 래미안 원페를라에 'AI 주차장' 첫 적용…"AI 주차 유도, AI 전기차 충전, AI 주차관리 서비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래미안 원페를라(방배6 재건축)에 '래미안 AI 주차장'을 최초로 도입해 미래형 주거 단지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했다. 오는 26일 입주가 시작되는 래미안 원페를라는 총 1097세대, 지하 4층 ~ 지상 최고 22층 16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주차장은 지하 1층 ~ 지하 4층이다. 일반 주차 1902면, 전기차 충전 구역 101면으로 세대 당 1.8대 주차 가능하며, '래미안 AI 주차장'을 통해 더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래미안 AI 주차장'은 일반적인 아파트 주차장에 구축되는 주차 관제, 주차 유도, 전기차 충전 시스템을 통합 연동해 최첨단 AI 기술과 결합, 입주자에게 차원이 다른 주차 경험을 제공한다. 삼성물산이 적용한 최첨단 AI 기술은 ▲AI 주차 서비스 ▲AI 전기차 충전 서비스 ▲AI 주차 관리 서비스로 나뉘어져 제공되며, 입주민 생활 편의와 안전성을 높이고 운영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먼저 'AI 주차 서비스'는 입주민의 평소 주차 데이터를 분석해 선호하는 주차 위치나 거주동과 가까운 곳으로 추천·안내한다. 방문차량의 경우 사전 예약된 정보를 바탕으로 방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