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올 상반기 국내 대기업 오너일가의 자산가치가 33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월 2일 리더스인덱스가 50대 그룹 오너 일가 중 계열사 지분을 보유한 623명의 자산가치 증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이들의 총자산은 올해 초 대비 32조9391억원 증가한 144조4857억원으로 집계됐다.
자산 증가 1위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으로 조사됐다. 이 회장은 이 기간 4조7167억원 늘어 8월 29일 종가 16조6267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보유 상장사 6곳(삼성물산·생명·전자·SDS·E&A·화재)의 주가 상승이 주된 요인으로, 삼성물산 주가는 올 초 대비 48% 넘게 뛰며 이 회장이 보유한 19.9% 지분 가치를 1조8465억원가량 끌어올렸다.
삼성가(家)는 또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1조9444억원↑, 3위),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1조6982억원↑, 5위), 이서현 삼성물산 전략기획담당 사장(1조5865억원↑, 6위) 등이 상위권에 오르며 이들의 자산은 올해에만 총 10조446억원 불었다.
개인 자산 증가 2위는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으로, 1조9873억원 증가한 2조9964억원을 기록했다. 조 회장은 부친 조석래 명예회장 별세 이후 지분 증여와 계열분리 과정에서 형제간 지분 맞교환 등을 거치며 자산이 급증했다.
4위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으로 조사 기간 중 1조8348억원 늘어난 5조5780억원이었다. 정 회장은 현대글로비스 무상증자 효과로 보유 지분 20%의 가치가 두 배 이상 뛰며 1조7000억원 넘게 증가했다.
반면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은 보유 지분의 평가액이 25.2%(약 8301억원) 줄어 가장 많이 축소됐다. 신 회장 개인 자산은 3조2980억원에서 2조4680억원으로 감소했다.
이번 조사는 상장사와 비상장사를 모두 포함했다. 상장사는 올해 1월 2일과 8월 29일 종가를 비교했으며, 비상장사는 결산자료 및 반기보고서를 참고해 순자산가치를 계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