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이탈리아 최대 야당인 민주당(PD)이 정부의 차세대 국방위성(SICRAL 3) 발사에 미국 스페이스X가 관여하는 방안에 대해 강력히 제동을 걸고 나섰다. 야당은 “국가 안보는 외국, 특히 머스크와 같은 강력한 영향력을 가진 개인 기업에 맡길 수 없다”며, 이탈리아 혹은 유럽 기업에 한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8월 1일(현지시간) 공식적으로 밝혔다고 로이터, 이코노믹타임스, DW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야당의 경고는 최근 유럽 내 스페이스X 의존 논란, 머스크의 스타링크와 국가 안보에 대한 영향 우려까지 겹치면서 주요 현안으로 부상했다. SICRAL 3, 2027년 상반기 발사 예정…7억6700만 유로 투입 이탈리아 하원 국방위원회는 이번 주 노후화된 시크랄(SICRAL) 위성 시스템을 2027년 상반기 발사 예정인 SICRAL 3로 교체하는 정부 제안을 승인했다. 계획에 따르면 2028년까지 사업비 7억6700만 유로(약 8억7800만 달러)가 투입된다. 현재 SICRAL 위성은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Leonardo)와 프랑스 탈레스(Thales) 합작사인 텔레스파지오(Telespazio)와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Thales Al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 과학계가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위성 네트워크를 겨냥한 대응 전략에 본격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스타링크가 전장에서 결정적 역할을 하는 모습을 목격한 베이징은, “미국 군사 우위의 신흥축”으로 스타링크를 규정하며 국가안보 차원의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AI·레이저·공급망 교란… 수십편 논문 쏟아진 ‘대스타링크 작전’ AP 통신은 최근 중국 연구자들이 64편 이상의 관련 논문을 발표했으며, 이 대부분이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집중적으로 쏟아졌다고 보도했다. 난징항공항천대학교는 단 99기의 중국 위성만으로 12시간 내 1400개의 스타링크 위성을 추적할 수 있는 AI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 방식은 ‘고래 사냥’의 포위 작전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위성 간 신속한 협업과 에너지 최적화, 정밀 타겟팅을 동시에 구현한다. 실제 실시간 표적화 시뮬레이션에서 중국 위성군은 2분 만에 작전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으며, 고출력 레이저·마이크로파(RKA)·광학망원경 등 첨단 장비 활용이 검토됐다. 스타링크의 지상·우주 통신 인프라를 단일 위성 파괴로 무력화하는 것이 비효율적이라고 보고, 동시다발적 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나사(NASA)와 인도 우주연구기구(ISRO)가 2025년 7월 30일(현지시간) 15억 달러(약 2조800억원) 규모의 합작 위성 ‘NISAR(NASA-ISRO Synthetic Aperture Radar)’를 인도 남부 스리하리코타의 새티시 다완 우주센터에서 GSLV-F16 로켓으로 성공적으로 쏘아올렸다. 이는 전 세계 재해 대응과 기후 모니터링 체계에 변혁을 불러올 글로벌 파트너십의 쾌거로 평가받는다. 결코 뒤로 갈 수 없는 신기술…듀얼 레이더 최초 탑재 NASA, ISRO, PIB 인도 정부 등의 공식발표와 Hindustan Times, Economic Times, Science NASA 등의 보도에 따르면, NISAR 위성은 세계 최초로 두 가지 주파수(나사 제공 L-밴드, 인도 제공 S-밴드) 합성 개구 레이더(SAR)를 장착했다. 지름 12m(39피트) 금도금 메시형 안테나를 펼쳐 지상 747km 궤도에서 12일마다 지구 전체의 육지와 빙하를 1cm 이하 정밀도로 관측한다. 이는 기존 지상관측 위성의 한계를 뛰어넘는 감도와 반복률이다. 특히 L-밴드는 울창한 수림과 숲 내부까지 관측이 가능하고, S-밴드는 지표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호주의 우주 개발사에 한 획을 긋는 동시에 쓰라린 교훈을 남긴 사건이 2025년 7월 30일(현지시간), 북퀸즐랜드의 보웬 궤도 우주항(Bowen Orbital Spaceport)에서 발생했다. 호주 퀸즐랜드 기반 우주 스타트업인 길모어 스페이스 테크놀로지스(Gilmour Space Technologies)가 자국 최초로 순수 국내 개발한 궤도 로켓 '에리스(Eris)'의 발사가 이륙 14초 만에 추락과 폭발로 마무리됐다고 Aviation Week, 7NEWS, Australian Government, Satnews 등의 매체들이 전했다. 이로써 호주는 50여 년 만에 처음 시도된 자국발 궤도 발사에서 동시에 이정표와 한계를 경험하게 됐다. 14초의 드라마, 그리고 엄격한 기술적 분석 발사 당일 오전 8시 34분(현지시각), 높이 23미터, 무게 30톤에 달하는 에리스 로켓은 최초 상업 우주항 시설을 떠올랐다. Space.gov.au, Gilmour Space Technologies 등의 호주 우주항공 관계기관들의 초기 데이터에 따르면 4기의 하이브리드 시리우스(Sirius) 엔진이 모두 정상 점화돼 23초간 엔진 연소가 이어졌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영화 스타워즈의 스피더 바이크를 떠올리게 하는 1인 탑승용 개인용 비행체가 현실이 될 전망이다. 폴란드 스타트업 볼로넛(Volonaut)은 ‘에어바이크(Airbike)’의 실제 비행 영상을 공개하고, 오는 7월 31일(현지시간)부터 사전 주문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해당 비행 영상은 올해 초 CG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나, 이번 공개된 영상에 원본 오디오가 포함된 완전한 실제 기기 모습이 확인되면서 논란을 종식시켰다. 에어바이크는 약 10m 상공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인 비행과 제자리비행이 가능하며, 강력한 공기 분사로 인근 모래와 나무가 실제로 흔들리는 모습이 영상에 포착됐다. 이 비행체는 전통적인 회전식 프로펠러 대신 제트 추진 방식을 채택해 최고 시속 200km까지 비행할 수 있다. 자동 안정화 시스템을 탑재해 좁은 도시 환경이나 제한된 공간에서도 이·착륙이 가능하며, 회전익 방식 대비 사고 위험이 적은 점이 특징이다. 개발을 주도한 볼로넛 연구원 토마시 파탄(Tomasz Patan) 박사는 “SF 영화 속 미래형 개인용 비행체의 구현을 목표로 설계했으며, 현실에서 그 모습을 완성했다”고 말했다. 가격은 약 1억4000만원 수준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화성의 빙하 80%가 얼음으로 이루어져있다는 우주 과학계에 충격을 안긴 새로운 연구 결과가 잇따라 발표됐다. Daily Galaxy(2025.7.25), Phys.org(2025.7.24), NASA Science, MNRAS(2024.11.26), arXiv(2025.7.18), Universe Magazine(2025.7.25)의 최신 논문과 보도에 따르면 화성의 빙하 대부분이 80%가 넘는 순수 물 얼음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동시에 별 탄생지인 원시행성 원반에서 생명의 전구체가 될 수 있는 복잡한 유기분자가 대거 검출됐다. 이번 연구는 “생명체 씨앗”의 보편성과 태양계 및 외계행성계의 물·유기분자 진화 메커니즘에 대한 관점을 바꾸고 있다. 화성빙하, 80% 순수 물 얼음으로 뒤덮여 이스라엘 와이즈만 과학 연구소와 미국 행성과학연구소 공동팀이 《이카루스(Icarus)》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화성 전역에 산재한 ‘먼지로 덮인 빙하’ 5곳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분석한 결과, 이 빙하의 내부는 80% 이상이 순수 물 얼음이고 상부에 얇은 먼지와 암석층만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존에는 이런 구조물이 암석이 주성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이 14년간 독자 개발한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KSLV-II)’의 전 주기 기술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 240억원에 이전하면서 국내 우주산업이 정부 주도 연구개발(R&D) 단계에서 민간 주도의 산업화 단계로 본격 전환하는 분수령을 맞았다. 누리호는 2010년부터 2023년까지 약 2조원이 투입되고 300여개 민간기업이 참여해 개발한 한국형 발사체로, 2023년 3차 발사에서 1톤 이상 실용위성을 자체 기술로 궤도에 성공적으로 안착시켜 세계 7번째 자력 위성 발사국 반열에 올랐다. 이번 기술 이전 대상에는 설계, 제작, 발사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누리호 기술과 방대한 기술문서 1만 6050건이 포함됐으며, 발사대와 추진·엔진 시험설비, 업체별 고유기술 등은 제외됐다. 기술료 산정은 누리호 개발에 투입된 연구개발비인 204억원을 기본으로 산업통상자원부 지정 전문기관의 엄정한 가치평가를 거쳐 최종 240억원으로 합의됐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까지 누리호 제작 및 발사 권한인 통상실시권을 확보, 누리호 시리즈의 상업적 양산과 발사, 유지보수를 전담하며 ‘한국판 스페이스X’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7월, 일본 국립천문대(NAOJ)가 주도하는 FOSSIL(외부 태양계의 형성: 얼어붙은 유산) 프로젝트가 명왕성 너머, 해왕성의 영향권 바깥에서 새로운 세드노이드 천체 ‘암모나이트(공식 명칭 2023 KQ14)’를 발견해 학계의 지대한 주목을 받고 있다. 암모나이트는 직경 220~380km에 달하는 소천체로, 2003년 발견된 세드나(Sedna), 2012 VP113, 레레아쿠호누아(Leleākūhonua)에 이어 네 번째로 보고된 초희귀 세드노이드 군에 속한다. 궤도와 물리적 특성: ‘q-gap’을 메운 조각 암모나이트는 근일점(태양과 가장 가까운 거리) 약 66AU(1AU=지구~태양 거리), 원일점 최대 438AU까지 도달하는 타원궤도(이심률 0.739, 경사 11°)를 돈다. 공전주기는 약 3998년으로 추정된다. 2023년 3·5·8월 스바루 망원경(HSC) 관측에서 포착, 2024년 7월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 후속관측으로 확인됐다. 아카이브 분석 결과 2005년 관측 자료에서도 존재 기록이 드러났다. 암모나이트는 멀리 떨어진 천체의 근일점 분포에 불연속적으로 비어 있던 ‘q-gap’(근일점 약 60~76A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7월, NASA와 국제 우주과학계는 장기 우주비행 임무에 참여한 우주인의 70% 이상이 '우주 유관 신경안구 증후군(SANS, Spaceflight-Associated Neuro-Ocular Syndrome)'을 경험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잇따라 발표하며 경고등을 켰다. NASA, Fluid Shifts 연구 보고서(2015~2020), Université de Montréal 연구(2025), ScienceAlert, ScienceBlog 등의 연구결과와 India Today, NDTV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 시력 장애는 무중력 상태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안구 변화로, 단순한 시력 저하를 넘어 미래 화성 탐사 미션의 수행 가능성 자체를 위협하는 핵심 리스크로 부상하고 있다. 첫날부터 시작되는 변화… 회복 불가능한 안질환 NASA 및 캐나다 몬트리올대학교(Université de Montréal)의 공동 연구에 따르면, 우주에서 6개월 이상 머무른 우주인들은 지구로 복귀한 이후까지 시력 저하를 포함한 다양한 안구 이상을 경험한다. 2025년 공개된 이 연구에서는 총 13명의 장기체류 우주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폴로 11호 달 착륙 56주년을 맞은 2025년 7월 20일(현지시간), 교황 레오 14세가 이탈리아 카스텔 간돌포에 위치한 바티칸 천문대를 방문했다. 이어 올해 95세를 맞은 우주비행사 버즈 올드린에게 전화를 걸었다. 이번 행보는 신앙과 과학, 인류의 도전이 교차하는 상징적 순간으로 ABC News, Indiatimes, Philstar.com,barrons.com 등 해외 주요 언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첫 팝 콘택트, 신앙과 과학의 만남 교황은 여름 별장에서의 삼종기도(Angelus) 이후, 천문학자와 학생들이 참여하는 전통 여름 프로그램 현장을 찾아 수십 년간 빛나는 연구를 이어온 망원경 등 주요 천문 장비를 직접 살펴봤다. 이 자리에서 교황은 “56년 전 인류의 달 착륙 성취는 인간 창의성의 증거이자, 창조의 신비·위대함을 되새기게 한다”는 소회를 자신의 X(구 트위터) 계정에 남겼다. 뒤이어 진행된 버즈 올드린과의 통화에서 교황은 “인류의 역사적 업적, 인간 정신의 한계를 넘고자 했던 순간”을 회상하고 그와 가족·협력자들에게 교황청의 축복을 전했다. 올드린 역시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오늘 교황 레오 14세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