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란이 남동부 차바하르에 건설한 신우주항에서 첫 고체연료 로켓 발사를 앞두고 있어 우주 개발 역사에 중대한 이정표를 세울 전망이다.
presstv.ir, tasnimnews.com, defencesecurityasia.com, iranintl.com, iranwatch.org, sipri.org에 따르면, 이란우주국장 하산 살라리에(Hassan Salarieh)는 2025년 세계우주주간 행사에서 “차바하르 우주항 1단계가 거의 완공됐으며, 첫 발사 준비가 끝나가고 있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와 함께 이란은 자국 위성 발사를 위한 고체연료 로켓 운용능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다.
차바하르 우주센터는 북위 약 25도에 위치해 기존의 이맘 호메이니, 샤흐루드 우주센터 대비 위성 발사에 전략적으로 뛰어난 이점을 제공한다. 지구 자전 속도의 도움을 받아 연료 효율이 높아지고 더 무거운 위성을 궤도에 투입할 수 있다.
특히 이 공간항에서 40도에서 100도 사이 궤도 경사각 진입이 가능해 다양한 위성군 집합체 운용에 적합하다. 또 인근에 바다가 있어 발사 후 로켓 단계별 낙하 구역이 안전한 해역이라 사람과 시설 피해를 최소화하는 이점도 있다.
한편, 이 우주항의 고체연료 추진 기술은 이중 용도성이 높아 국제 사회의 안보 우려도 증폭시키고 있다. 고체연료 로켓 기술은 저장과 즉각 발사 준비 가능성이 뛰어나지만, 탄도미사일 기술과 상당 부분 겹친다.
미국 전략사령부장 안토니 코튼 장군은 “이란이 우주발사체 기술을 통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 시기를 앞당길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란의 잇단 고체연료 로켓 시험과 연계해 서방국가들은 우주항 신설을 군사적 목적과의 연관성을 의심하고 있다.
이란은 차바하르 우주항을 통해 20기의 협대역 나노 위성으로 구성된 ‘샤히드 솔레이마니’ 위성군 발사를 준비 중이다. 이 위성군은 사물인터넷 등 데이터 통신에 최적화된 경량 위성으로 이란의 국내 자립도를 한층 높일 계획이다.
추가로 자파르-2, 파야 등 원격 감시용 위성도 국내 발사를 고려 중이며, 나히드-2는 기존 심오르그 로켓으로 발사될 예정이다. 이번 우주항 1단계 완공은 국제 제재 여파 속에서도 이란 우주 인프라 확장과 지역 우주 강국 도약의 신호탄으로 평가된다.
또 차바하르 우주센터는 인도양과 페르시아만 사이 전략적 해상 교통로 인근에 자리해, 러시아·중국 투자와 협력을 기반으로 우주 인프라와 해양 전략을 결합하는 핵심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미사일 방어, 해상 감시, 우주 연구가 통합된 다목적 안보군사 인프라로서의 역할도 커질 전망이다.
이처럼 이란은 우주기술을 민간 통신, 데이터 서비스 확대뿐 아니라 전략적 군사 역량 강화 수단으로 적극 활용할 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다. 세계는 차바하르 우주항을 발판으로 한 이란의 우주 야망이 실질적인 평화 활용 목표로 귀결될지, 아니면 중동 및 국제 안보 구도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