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지구칼럼] 시베리아 폭발성 분화구 미스터리…심층열과 메탄가스가 북극 툰드라 위협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14년 시베리아 야말 반도에서 갑작스러운 지하 폭발로 얼음과 흙이 사방으로 퍼져나갔던 분화구 현상은 당시 지질학적 호기심을 강하게 불러일으켰다. 그리고 11년이 흐른 현재, 과학자들은 이와 유사한 20여개 이상의 분화구 현상 뒤에 숨겨진 물리학적 메커니즘을 규명했다. 즉 북극 온난화가 이 지역 툰드라를 더욱 불안정하게 만들어 그 위험성을 경고한 것이다.

 

The New York Times, AGU Press Release, Nature Climate Change, Gizmodo, 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따르면, 오슬로대 헬게 헬레방 교수팀은 러시아와 영국의 현장 자료를 종합하고 고해상도 컴퓨터 모델링을 통해 발견한 자료만으로는 깊이가 45미터에 달하는 대형 분화구들이 분출한 막대한 잔해량을 설명할 수 없었다.

 

대신, 지하 단층을 따라 상승하는 심층 열과 메탄 가스가 ‘크리오펙(cryopegs)’이라 불리는 영하에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염수층 아래에 집중되며, 계절별 융해수가 침투하면서 압력 역전과 함께 영구동토가 균열되고 터져 나가는 ‘터진 샴페인 뚜껑’ 현상이 발생한다고 결론지었다.

 

북극은 전 세계 평균보다 약 4배 빠른 속도로 온난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고대 탄소 저장고인 영구동토가 녹으면서 메탄과 이산화탄소가 다량 배출되고 있다. 2025년 1월 Nature Climate Change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이미 북극-보레알 지역의 30~40%가 성장기 동안 순 탄소 배출원으로 전환됐고, 특히 메탄 배출은 20년 동안 이산화탄소보다 약 80배 강력한 온실효과를 지녀 지역 해빙의 피드백 루프를 가속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형 폭발 현상은 야말과 가까운 기다 반도에도 확대되고 있으며, 폭발 전 10여년간 서서히 진행되는 압력 변화가 심층 메탄 하이드레이트를 분해시키면서 궁극적으로 폭발적인 메탄 방출로 이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 과정이 삼투압에 의해 크리오펙 내 압력이 증가하면서 지하 균열이 표면까지 연결되고, 갑작스런 압력 강하가 폭발을 촉발한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아직도 단층에서 발생하는 심층열과 가스만으로 모든 폭발 현상을 설명할 수 없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일부 과학자들은 표면 가까이에서의 가스 축적 혹은 크리오펙 내 삼투압 작용이 보다 중대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고 있으며, 관측 센서가 부족한 외딴 지역 특성상 실시간 모니터링과 예측 체계 구축이 미흡한 상황이다.

 

헬레방 교수는 “폭발은 드문 현상이지만, 점차 더 많은 구역에서 깊은 빙결이 사라지고 있다는 경고 신호”라며 “이 툰드라 지대의 지반과 생태계 변화는 한 분화구씩 시작돼 전체 북극 환경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기후 변화가 불러온 심각한 지질·생태학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보여주며, 북극 영구동토 해빙과 메탄 방출 증가가 전 지구적 기후 위기에 미칠 영향을 경고하는 중요한 경종으로 평가받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샤워공간의 사회학·심리학적 의미 "은밀·사색·창의적 공간"…외로울수록 더 자주, 더 오래,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샤워공간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가장 잘 보장되는 은밀한 공간일 뿐 아니라, 사색과 감정적 공감을 위한 심리적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한 사회학적·심리학적 연구와 매체 보도, 커뮤니티 논의를 근거로 관련 분석 내용을 정리했다. 샤워공간은 현대인에게 단순한 위생 행위를 넘어 신체적·심리적 안정을 추구하는 장소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 UCLA 연구진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고립감이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따뜻한 물로 샤워나 목욕하는 빈도와 시간, 더 높은 수온 선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일대 심리학자 John Bargh 등의 연구(The Substitutability of Physical and Social Warmth in Daily Life, 2011년)에서도 "만성적 외로움이 높은 사람들이 더 자주, 더 오래, 그리고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하거나 목욕하는 경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에서 외로움 정도와 샤워 빈도, 지속 시간, 선호 수온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외로움이 클수록 따뜻한 물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내며 물리적 온기를 통해 사회적 차가움을 보상하려는 심

[공간사회학] 칠레 학교의 스마트폰 신호 차단 “디지털 디톡스, 교실을 바꾸다"…집중력 상승과 ‘실생활’ 회복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칠레 산티아고에 위치한 한 학교가 수업 시간 동안 스마트폰 신호를 차단하는 선구적인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는 학교 내 휴대폰 사용을 제한하려는 전 세계적 움직임의 일환으로, 칠레 최초의 시도다. 산티아고의 로 바르네체아 비센테나리오(Bicentenario) 학교의 이 프로그램 덕분에 학생들은 소셜 미디어를 스크롤하는 대신 스포츠를 하거나 친구들과 교류하고 전통적인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즉 스마트폰 사용을 못하자 자연스럽게 학생들이 실생활 교류와 전통적 활동에 눈을 돌리는 현상이 뚜렷이 관찰되고 있는 것. BBC News, 인디아투데이, Houston Chronicle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2025년 8월부터 시행됐으며, 13~14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신호차단 자석 케이스에 스마트폰을 보관해 직접 소지하지만 전화, 문자, 인터넷 등 모든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케이스는 교직원만 수업 끝에 열어준다. 학교 측은 "쉬는 시간이 매우 활기차다"고 평가하며, 학생들은 배구·농구·탁구·도서관·카페 공간에서 교류하는 모습이 늘었다고 밝혔다. 도서관 보드게임, 운동장 전통놀이, 스포츠 토너먼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