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본 정부 지진조사위원회가 추석 연휴를 앞둔 9월 26일, 난카이 해곡 대지진의 30년 내 발생 확률을 기존 '80% 정도'에서 최대 '60∼90% 정도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산법 재검토로 한국인들의 최대 여행지인 일본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Japan Times, NHK World, The Mainichi, Asia Economy, Sankei Shimbun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12년 만에 계산 방법을 재검토한 결과로, 과거 고치현 무로쓰 지역의 지각 융기 데이터 불확실성과 판 내부 응력 누적의 비정상성 등이 반영됐다. 지진조사위원회는 또한 20~50%라는 이례적인 두 번째 확률도 함께 제시했는데, 이는 지각 변동을 무시하고 지진 간격만 활용한 통상적인 계산법에서 도출된 수치다. 전문가들은 두 확률 간 과학적 우위 판단이 어렵다고 설명하면서도 방재 차원에서는 높은 확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도쿄대 명예교수이자 위원회장 히라타 나오시는 "지진 발생 확률은 해마다 높아져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상태"라며 "30년 이상 멀리 있을 수도, 1년 이내에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난카이 대지진은 역사적으로 90~150년 간격으로 발생했으며, 마지막은 1946년에 일어났다.
일본 정부는 난카이 대지진이 발생할 경우 최대 29만8000명의 사망자와 20m를 넘는 초대형 쓰나미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한다. 피해 규모는 건물 붕괴, 화재, 쓰나미로 인한 인명 피해를 포함하며, 지진 대비 인구 대피율에 따라 사망자 수는 크게 감소할 수 있다. 이번 확률 상향에도 피해 예상 수치는 변동이 없으며, 정부는 재난 대비와 사회적 인프라 구축 강화의 필요성을 거듭 강조한다.
초대형 쓰나미는 간토 지역부터 규슈까지 13개 도도부현에 걸쳐 10m 이상으로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최대 31m에 달하는 쓰나미가 예측되는 특정부 지역도 존재한다. 대규모 정전, 이재민 발생 등 사회기반시설 피해도 심각하며, 실시간 대응과 대피 시스템 고도화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번 발표는 한국인의 일본 추석 여행 등 대규모 인구 이동 시점에 맞물려 불안감을 증폭시키며, 한일 양국의 시민들은 지진 방재 준비에 한층 더 신경을 기울여야 하는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