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국내 대표 제련기업 영풍이 환경법 위반과 이에 따른 조업정지 여파로 상반기 역대 최저 실적을 기록하며 1504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와 업계에 따르면,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영업손실 약 430억원) 대비 3.5배에 달하는 충격적인 수치로, 매출 역시 1조1717억원으로 1년 전보다 22% 감소했다. 이러한 실적 악화는 영풍이 수년간 안고 있던 구조적 문제와 맞물려 시장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특히, 경북 봉화군 석포제련소에서 발생한 환경법 위반과 이에 따른 58일간의 조업정지 처분이 직격탄으로 작용했다. 석포제련소는 폐수 무단 배출 및 무허가 배관 설치 등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지난해 말부터 올해 2월 말에서 4월 말까지 조업을 멈춰야 했고, 이 기간 가동률은 34.9%까지 급감해 IMF 외환위기 당시 90% 이상의 가동률과 비교하면 역사상 최저 수준이다.
조업정지와 가동률 급감의 영향으로 아연괴 생산량도 전년보다 40% 이상 줄었다. 이로 인해 상반기 매출총이익은 322억원 흑자에서 무려 -872억원 적자로 대폭 악화됐으며, 제조원가가 제품가격을 초과하는 심각한 구조적 위기를 드러냈다.
업계 전문가들은 원자재 가격 상승, 판매가격 하락, 그리고 생산력 저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하고 있다. 영풍은 본업에서 이익 창출이 어려워지면서 배당수익과 부동산 임대수익에 의존하는 ‘기형적 사업구조’에 머무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환경 문제와 관련해 문제 해결이 더디고 제재가 잇따르면서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 석포제련소는 2015년부터 토양정화 명령을 받아왔으나, 올해 6월 기준 정화율은 1공장이 16.0%, 2공장이 4.3%에 불과해 당국의 명령 이행이 지지부진한 상태다.
이에 봉화군과 환경부는 추가 형사고발과 같은 엄정한 후속 조치를 추진 중이며, 지역 주민과 환경단체, 정치권에서도 영풍에 대한 폐쇄와 이전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영풍 경영진은 실적 회복과 환경 문제 해소 방안을 모색 중이나, 환경 법규 위반이 계속되면서 기업 신뢰 회복에 난항이 예상된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환경오염 방지와 토양·수질 정화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자 지역사회와의 신뢰 구축의 출발점”이라며 책임 있는 경영을 촉구했다.
이번 사태는 영풍이 단순한 일시적 경영 위기를 넘어, 심각한 제조 경쟁력 저하 및 환경관리 실패라는 복합적 위기에 직면해 있음을 상징한다. 향후 영풍의 대응 방향과 정부의 규제 강도에 따라 기업의 명운이 결정될 전망이다.
이 같은 경영환경 악화와 환경 이슈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영풍은 향후 전략 전환과 신속한 환경 개선책이 시급하다는 진단이 제기된다. 기업의 장기적 생존을 위해서는 과감한 구조조정과 함께 환경 규제 준수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