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기업들의 배당 풍경이 달라지고 있다. 올 상반기 중간배당 기업이 전년 동기 대비 26.2% 늘고 금액은 17.0% 많아지며 두 자릿수 증가세를 보였다. 연 1회 결산 배당에만 치중하던 모습에서 벗어나 정부의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정책과 상법 개정 흐름에 맞춰 중간배당을 확대하는 추세가 뚜렷해진 것. 다만 여전히 상장사 전체 중 5% 가량만 중간배당에 참여하는 것이어서 개선 여지는 크다.
개인 배당금에선 전년과 마찬가지로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1·2위를 차지하며 삼성가의 존재감이 컸다. 여기에 올해는 현대자동차그룹 정몽구·정의선 부자 등 중간배당 확대의 수혜를 입은 총수들도 눈에 띄었다.
30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2688개 상장사(스팩·우선주 제외)를 대상으로 올해 상반기(1·2분기) 배당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135개사가 12조6763억원을 배당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107개사 10조8379억원 대비 기업 수는 26.2%(28곳), 금액은 17.0%(1조8384억원) 증가했다. 보통주 평균 시가배당률 역시 1.29%에서 1.44%로 0.15%포인트 상승했다.
분기배당 기업도 확대됐다. 2025년 1·2분기 연속 배당한 기업은 26개사로 전년(21개사)보다 5곳 늘었으며, 이 중 2년 연속 분기배당을 이어간 곳은 18개사다. 삼성전자, 현대차, KB금융, 신한지주, SK하이닉스, 포스코홀딩스, SK텔레콤,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KT, HD현대, JB금융지주, CJ제일제당, 케이카, 씨젠, 아이마켓코리아, 효성ITX,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이 이에 해당한다.
올해 새롭게 중간배당에 나선 기업은 48개사였고, 지난해 배당했던 20개사가 빠지면서 전체적으로는 28개사가 순증했다. HD현대 계열 4곳(HD한국조선해양·HD현대중공업·HD현대일렉트릭·HD현대미포)을 비롯해 ㈜LG, 포스코인터내셔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롯데쇼핑 등이 새롭게 배당 대열에 들었다. 특히 ㈜LG와 동서, 동원산업은 창사 이래 첫 중간배당을 결정하며 상징성을 더했다.
상반기 배당금 규모 상위 10개사는 2년 연속 1·2분기 모두 배당을 실시했으며, 금융지주 4곳과 포스코홀딩스를 포함해 절반이 지주사였다. 조 단위 배당은 삼성전자와 현대차 두 곳뿐이었고, 이들을 제외하고 1000억원 이상 배당한 기업이 총 17곳이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가 단연 1위였다. 상반기에만 총 4조9011억원을 배당했다. 이는 지난해 상반기(4조9043억)와 비슷한 규모다.
현대자동차는 1조3015억으로 2위에 올랐다. 전년 동기 대비 23.8%(약 2500억원) 늘어난 수치로, 증감액 기준 전체 상장사 중 최대였다. 3·4위는 금융지주였다. KB금융은 총 6700억원(11.6%↑)으로 3위, 신한지주는 5552억원(1.2%↑)으로 4위였다.
SK하이닉스는 5178억원(25.3%↑)으로 5위를 기록했으며, 하나금융지주는 5003억원(46.5%↑)으로 상위 10개사 중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6위에 올랐다. 7위 포스코홀딩스는 3781억원으로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8위 SK텔레콤도 큰 변동 없이 3535억원을 기록했다.
우리금융지주는 2942억원(10.1%↑)으로 9위, KT는 2916억원(18.7%↑)으로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올해 새롭게 중간배당에 나선 기업 중에서는 HD한국조선해양이 2263억원으로 최대 규모였다. 이어 ㈜LG(1542억원), HD현대중공업(1483억원), 포스코인터내셔널(1449억원), 에이피알(1344억원)을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에이피알을 비롯해 전진건설로봇(100억원), 셀로맥스사이언스(11억원), 더즌(7억원) 등 최근 2년새 증시에 입성한 기업들이 중간배당에 참여한 점도 주목된다.
개인 배당금 순위에서는 삼성·현대차·SK 등 주요 그룹 총수 일가의 존재감이 여전히 확고했다. 1위는 홍라희 리움미술관 명예관장으로 719억원을 배당받았다. 아들인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714억원으로 2위를 차지했다.
3위는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으로, 현대차 배당 확대 영향으로 전년보다 148억 늘어난 671억원을 수령했다. HD현대의 최대주주 정몽준 아산사회복지재단 이사장은 378억원을 받아 4위에 자리했다.
5·6위는 다시 삼성가가 차지했다.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이 351억원,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이 347억원을 받았다. 7위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으로 56억원 증가한 285억원을 수령했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LG의 첫 중간배당으로 258억원을 받아 8위로 새롭게 10위권에 진입했다.
이어 조현범 한국앤컴퍼니그룹 회장이 196억원으로 9위,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195억원으로 10위에 올랐다. 10위권은 아니지만 김남정 동원그룹 회장도 131억원(11위)으로 상위에 급부상했다. 지주사 동원산업이 창사 이래 처음으로 243억원 규모의 중간배당을 결정한 결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