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엔비디아가 기업가치 4조2000억~4조4500억달러(약 6200조원)로 세계 1위 자리를 굳히는 가운데, 창업자 젠슨 황(62) CEO의 자녀인 매디슨 황(34)과 스펜서 황(35)이 회사 핵심 신사업에서 빠른 부상세를 보이며 ‘2세 경영’ 가능성까지 화제가 되고 있다.
대만 출신 아버지를 따라 초등학생 시절 미국으로 이민을 온 젠슨 황은 대학원 동료였던 로리 밀스와 결혼해 아들과 딸을 1명씩 두었다. 젠슨 황은 1963년생이며, 아들 스펜서 황은 1990년생, 딸 매디슨 황은 1991년생이다.

MD 출신 ‘올라운더’ 딸, 테크MBA 거친 아들…각각 옴니버스·로보틱스 총괄
실리콘밸리 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 The Information>과 <Futunn News> 등에 따르면, 딸 매디슨 황은 2020년, 아들 스펜서 황은 2022년 각각 입사해 엔비디아가 추구하는 미래 사업을 실질적으로 이끄는 위치에 올랐다.
매디슨은 미국 명문 요리학교(CIA), LVMH(명품 그룹) 글로벌 경력을 바탕으로 런던비즈니스스쿨 MBA를 밟으며 엔비디아에 합류해 제품·테크니컬 마케팅 시니어 디렉터로 급성장했다. 물리 AI, 옴니버스(3D시뮬레이션·디지털트윈), 로보틱스 등 ‘산업 디지털화’ 사업의 마케팅 전략과 실행을 총괄한다. 실제 사내 임원진 가운데서도 젠슨 황 CEO의 프리젠테이션, 행사에 동행하는 소수 정예로 꼽힌다.
오빠 스펜서 황은 시카고 소재 대학 졸업 후 8년간 대만에서 칵테일바를 운영하다 2021년 사업을 접고 NYU에서 테크MBA를 마쳤다. 2022년 엔비디아 입사 이후 로보틱스·AI perception 소프트웨어 부서에서 프로젝트 매니저, 시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 기술 기반 핵심 직무를 소화 중이다. 실리콘밸리 테크 기업에서 창업자 자녀가 실무 핵심에 투입된 사례는 전례가 드물다는 평가다.

네포티즘 논란?…엔비디아 2세가 부모보다 뛰어나다는 직원 많아
창업자의 자녀 입사 후 빠른 승진에 ‘네포티즘(연고주의)’ 논란에 대한 질문이 이어지자, 젠슨 황 CEO는 “임직원의 자녀가 많이 입사하는 문화이며, 부모가 자녀를 부끄럽게 하지 않겠다는 확신 없이 추천하지 않는다”면서 “오히려 2세 중에선 부모보다 더 뛰어난 인재도 많다”고 강조했다.
경영승계는 불확실…10년 더 직접 이끌고, 지분구조상 상속 한계
두 자녀 모두 엔비디아의 반도체·데이터센터 등 ‘전통적 코어’ 사업보다는 AI‧로보틱스‧옴니버스 등 장기 전략 신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젠슨 황 본인은 “아직 후계자는 없다”며, 현재 엔비디아의 조직 구조상 CEO 아래 60여명이 직접 보고하는 구조라고 밝혔다. 최근 이사회 차원에서도 승계 플랜을 물었지만 황은 “아직 계획이 없다”고 답한 바 있다. 젠슨 황이 보유한 지분(3.5%)도 경영권 승계의 실질적 영향력을 확보하기엔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많다.
젠슨 황 2세들 승진·보상도 수직상승…2024년 매디슨 113만달러, 스펜서 53만달러
엔비디아의 기업가치와 동시에 황가(家)의 위상도 수직 상승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공시에 따르면 2024년 매디슨 황은 113만달러(약 15억7000만원), 스펜서 황은 53만달러(약 7억4000만원)의 연봉‧스톡옵션 등의 보상을 받았다. 이들의 빠른 인정은 엔비디아 글로벌 혁신 이미지를 강화하는 데도 한몫한다.

실리콘밸리의 ‘패밀리 비즈니스’와 아시아 색채·대만 내 인기
엔비디아엔 젠슨 황 자녀 외에도 공동창업자 크리스 말라초우스키의 아들, 이사회 멤버 아르티 샤의 아들, 매디슨 황의 파트너까지 사내에서 근무해 독특한 ‘엔비디아 패밀리 DNA’를 보인다는 평가도 있다. 대만 현지에선 황 CEO와 가족이 국민적 ‘스타’로 자리잡았으며, 컴퓨텍스 등 관련행사에선 매디슨을 알아보는 이들도 적잖다.
전문가 및 시장 평가와 전망
엔비디아의 2세 경영 승계 가능성은 현재로선 불확실하다. 젠슨 황의 헬스와 의지가 견고하며, 실질적 경영 승계 관례가 미미한 실리콘밸리의 문화를 감안하면 직접적 대물림보다는 핵심 신사업을 통한 ‘핵심 영향력 행사’ 구도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현업 내에서 매디슨과 스펜서의 급부상 및 중책 담당 흐름은 앞으로 엔비디아의 혁신 지속성과 전략적 확장 국면에 변수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