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8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랭킹연구소] "세계에서 가장 높은 다리" 9월말 개통…중국, 높이 625m ‘화쟝 대협곡 대교’ 안전시험 통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구이저우성에 위치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현수교인 ‘화쟝 대협곡 대교’가 2025년 8월 21일부터 5일간 진행된 최종 하중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했다.

 

개통 전 마지막 시험을 통과했다

 

엔지니어들이 ‘교량 구조적 안전성의 궁극적 신체검사’라고 부른 이번 안정성 통과로 예정대로 9월 말 개통을 앞두고 마지막 관문을 넘었다. 

 

China Daily, NDTV, Xinhua News, Times of India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시험은 베이판강 위 총 2890m 길이에 주경간 1420m, 해발 625m 높이에 달하는 이 대교가 96대의 대형 트럭, 총 3360톤의 하중을 견뎌내며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625m의 높이가 감이 안온다면 국내외 초고층 건물들의 높이와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다.

 

국내 최고층 빌딩인 잠실 롯데월드타워(123층, 555m)보다 70m 더 높으며, 상하이타워 보다는 7m낮은 수준이다.

 

현재 세계 최고층 빌딩은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의 부르즈 칼리파로 높이 828m에 163층이다. 부르즈 할리파와 함께 중국 상하이의 상하이타워(632m), 사우디아라비아 메카의 아브라즈 알 바이트(601m), 대만 타이베이금융센터(508m) 등이 있다.

 

사우디아라비아가 홍해에 인접한 휴양도시 제다에 건설중인 제다 타워가 무려 157층, 1000m 높이로 건립중인데, 2028년 완공되면 세계 최고층 빌딩으로 등극한다.

 

최첨단 센서로 미세 변위까지 감지하는 정밀 검사


교량 전 구간에는 400여개 이상의 센서가 부착되어 교량의 주경간, 타워, 케이블, 행거 등 주요 부위의 변위와 응력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했으며, 시험 과정 중 미세한 움직임까지도 완벽히 감지해 안전 기준 충족 여부를 확인했다.

 

구이저우 교통투자그룹의 수석 엔지니어 한홍쥐는 “모든 측정 지표가 정상적으로 반응했고, 교량의 강도와 강성, 동적 성능이 모두 요구 기준을 충족했다”고 밝혔다.

 

교통 혁신, 협곡 횡단 시간 2시간에서 2분으로 대폭 단축

 

화쟝 대협곡 대교는 구이저우의 험준한 산악 지형을 횡단하는 교통 시간을 극적으로 단축시키는 혁신적 인프라 프로젝트다. 기존에는 구불구불한 도로로 최대 2시간 이상 걸렸던 협곡 횡단이 다리 개통 이후 단 2분으로 줄어들 예정이다.

 

이는 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교육·의료 등 사회 서비스 접근성을 대폭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중국 해안과 내륙을 잇는 고속도로의 핵심 연결고리로 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전망이다.

 

‘세계의 다리 박물관’ 구이저우의 교량 혁신

 

구이저우성은 ‘세계의 다리 박물관’이라 불릴 만큼 3만여개의 교량이 밀집해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높은 100개 교량 중 거의 절반이 이곳에 위치한다.

 

화쟝 대협곡 대교는 산악 지형에 건설된 가장 긴 주경간과 동시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다리라는 두 가지 신기록을 세우게 된다. 2022년 1월 착공 이후 가파른 협곡 경사면 안정화 및 강한 바람 등 극한 조건 속에서도 첨단 기술과 정밀 시공으로 예정보다 앞당겨 완공됐다.

 

인프라 투자가 불러온 지역 경제와 복지의 대변혁


네이처(Nature) 등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구이저우의 대규모 교량 및 도로 인프라 투자는 여행 접근성뿐 아니라 경제 잠재력도 크게 향상시키며, 2000년 48개에 달했던 빈곤 현이 2020년 현재 0개로 감소하는 데 핵심적인 기여를 했다.

 

교량 건설로 물류 효율성이 높아지고 관광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이 가속화되면서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이 개선되는 등 경제사회적 통합 효과도 뚜렷하다는 분석이다.

 

이번 ‘화쟝 대협곡 대교’의 최종 시험 통과는 단순한 인프라 완공 그 이상으로, 중국의 척박한 산악 지역에 대한 도전과 현대 건설기술의 결실을 상징한다. 또한 이 다리는 지역 경제를 일신시키고, 국가 내륙과 해안 간 연계를 강화하는 교통망 혁신의 전범 사례로 평가받는다.

 

9월 개통 이후 화쟝 대협곡 대교가 불러올 변화는 동북아 경제 지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공간혁신] "국내 최대 규모" 태평염전, 소금 장인 위한 ‘쉼터 휴게실’ 열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제적 환경 보호 지역에서 염전을 운영하는 태평염전이 임차 생산자인 소금 장인과 생산 근로자들을 위한 ‘쉼터 휴게실’을 신규 개소하며, 염전 근로자의 휴식권 보장과 복지환경 확대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번 쉼터 개소는 태평염전이 수년간 이어온 복지 인프라 확대 노력의 일환이다. 쉼터 휴게실은 총 3개소로 작업장 인근에 위치해 누구나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주로 여름철(6월~9월) 시기에 집중되는 계절성 작업의 특성을 고려해 내부 시설을 조성했다. 쉼터 내부는 에어컨, 냉장고, 휴게용 의자를 비롯해 비상용 전화기와 관내 연락처 안내문, 혹서기 건강관리 요령 안내문 등을 비치하여 작업 환경의 안전과 편의성을 강화했다. 이번 쉼터 조성은 기존에 무상 제공되던 사택이 이전되면서 확보된 공간을 적극 활용한 사례이다. 태평염전은 다년간 함께해온 염전 장인들이 안정적으로 소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지속해왔으며, 사택 무상 지원을 통해 주거 편의성과 작업 접근성을 높여왔다. 매년 사택 개보수는 물론 22년에는 약 10억원을 투입해 총 9동 규모의 사택 신축 공사를 진행하여 보다 쾌적하고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제공했다. 아울

[공간사회학] 꿀벌, 안정적 벌집 짓는 기발한 건축 전략 3가지…"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숙련된 건축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꿀벌이 불규칙한 건축 기반 위에서도 안정적인 벌집을 짓기 위해 최소 세 가지 독창적 건축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꿀벌이 단순히 ‘본능에 의한 건축 기계’가 아니라 복잡한 문제해결 능력을 가진 숙련된 건축가임을 재조명하는 성과로, 공학 분야에서 생체모방 설계에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한다. The Scientist, EurekAlert의 보도와 콜로라도 대학교 볼더 캠퍼스 연구팀이 8월 26일 과학 저널 PLOS Biology를 통해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꿀벌들에게 꿀벌이 선호하는 크기와 차이가 나는 3D 프린트 플라스틱 기반판을 제공하고, X선 현미경 영상으로 벌집 속 건축 과정을 실시간 관찰했다. 그 결과, 꿀벌들은 ▲너무 작은 셀은 다수의 셀을 합쳐 적절한 크기로 조정하고 ▲너무 큰 셀은 벌집 벽을 경사지게 지어 개구부를 축소하면서 저장 깊이를 유지하며 ▲매우 큰 셀에는 기존 크기의 벌집을 새로운 층으로 쌓아 올리는 ‘겹층 쌓기’ 전략을 펼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꿀벌들은 3차원적 배열까지 구현하며 놀라운 적응력을 보였다. 공동 교신 저자인 프란시스코 로페즈 히메네즈는 "우리가 제공한 3D 프린팅 기반

[랭킹연구소] Z세대가 가장 살고 싶은 도시 TOP10, 1위는 ‘방콕’…2~5위, 멜버른·케이프타운·뉴욕·코펜하겐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전세계 Z세대(1997~2012년 출생자)들이 가장 살고 싶어 하는 도시 1위로 태국의 수도 방콕이 선정됐다. CNBC, CNN, 인디언익스프레스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여행잡지 타임아웃(Time Out)이 지난 2025년 8월 전세계 1만8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세계 최고 도시’ 설문조사에서 방콕은 행복도와 저렴한 물가 부문에서 압도적인 점수를 받으면서 1위를 차지했다. 84%의 응답자들이 방콕에서의 생활에 행복감을 표했고, 71%는 생활비 부담이 적은 ‘가성비 좋은 도시’로 꼽았다. 1인당 월 생활비(주거비 제외)는 약 617달러(태국 바트 약 2만141바트선)로 다른 글로벌 대도시에 비해 훨씬 낮은 수준이다. 2위는 호주의 멜버른으로, 77%가 다양성과 포용성을 높게 평가하며, 96%는 예술과 문화 수준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이 도시는 삶의 질에서도 91%가 ‘좋거나 훌륭하다’고 평가했다. 3위는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으로, 82%의 행복 지수와 저렴한 야간 외출 비용(76%) 등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케이프타운은 아름다운 자연환경과 풍부한 음식 문화, 활기찬 밤문화로 Z세대의 큰 호응을 얻었다. 4위는 미국 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