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퀸즐랜드大, 금융수학 활용해 100년 진화논쟁 잇다…아놀리스 도마뱀 유전 데이터로 미시·거시 진화모델 개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10월 8일(현지시간) 공개된 최신 연구에서 퀸즐랜드대학교 환경학부의 시몬 블롬버그 박사는 금융 분야에서 사용되는 수학 공식을 도마뱀 유전학에 접목해 미시진화와 거시진화를 아우르는 최초의 통합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이 연구는 《Evolution Letters》에 게재됐으며, 약 100년간 지속돼온 진화 생물학계의 핵심 논쟁인 '미시진화가 거시진화를 완전히 설명할 수 있는가' 문제에 중요한 해결책을 제시했다.

 

Bioengineer.org, Blomberg, Evolution Letters, The University of Queensland News에 따르면, 연구진은 중앙아메리카에 서식하는 다채로운 아놀리스(Anolis) 도마뱀 7종의 유전 및 형질 데이터(다리 뼈 길이, 턱 크기, 머리 너비 등 8가지 특성)를 기반으로 금융 수학에서 포트폴리오 내 여러 자산의 가격 변동을 분석하는 다변량 통계기법을 도입했다.

 

이 기법은 종 간 및 종 내 형질들 간 유전적 상관관계를 수학적·기하학적으로 해석하여, 시간에 따른 미시 및 거시적 진화 과정을 동시에 모델링할 수 있다.

 

블롬버그 박사는 "기존 진화모델이 주로 개별 형질을 독립적으로 다뤘지만, 이번 모델은 여러 형질이 상호 연관되며 진화하는 복합적인 양상을 처음으로 수학적으로 묘사했다"며 "이번 연구는 미시진화와 거시진화를 수학적으로 잇는 다리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이 모델은 진화생물학에서 널리 알려지지 않은 고급 기하학 영역을 활용해 유전적 다양성과 진화적 경로를 정확히 추적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시진화와 거시진화 간의 '연속성' 문제에 새로운 해석을 제공하며, 자연선택과 유전자 변이가 여러 세대를 거쳐 거대한 진화 패턴으로 어떻게 확대되는지를 정량적으로 설명하는 데 신뢰할 만한 수학적 기초를 마련했다. 이는 지난 수십 년간 부분적으로 이론적·경험적으로만 접근되던 문제를 데이터와 수학적 엄밀성으로 보완하는 중요한 돌파구로 평가받는다.

 

버지니아텍 연구진이 제공한 아놀리스 유전 데이터셋과 함께 출판된 이 모델은 향후 더 다양한 종에 적용이 기대되며, 생물 종의 형질 수렴 현상과 자연선택이 진화 역사를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관한 이론 검증에 획기적인 도구가 될 전망이다. 블롬버그 박사는 "다른 연구자들이 이 모델을 활용해 추가 종들을 분석함으로써 진화 과정의 복잡성을 밝히는 데 크게 기여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경제학과 진화생물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이번 연구는 다윈 시대부터 이어진 두 학문의 상호 영감을 재확인하며, 진화생물학 분야에 새로운 정량적 모델링 패러다임을 제시했다. 이로써 자연의 다양성이 형성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가 한층 심화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빅테크칼럼] 기후위기 대응 혁신 이끈 新분자구조, 2025년 노벨화학상 3인…"금속-유기 골격체(MOF)의 탄생과 미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노벨화학상은 인류가 직면한 환경문제, 특히 기후위기 대응에 획기적 기여를 한 금속-유기 골격체(Metal-Organic Frameworks, MOF)를 연구해온 세 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일본의 기타가와 스스무 교토대 교수, 영국 출신으로 호주 멜버른대의 리처드 롭슨 교수, 미국 UC버클리의 오마르 M. 야기 교수다. 노벨위원회, 교토대, UC버클리, 멜버른대, UN환경계획, IDTechEx에 따르면, 이들은 금속 이온과 유기 분자가 결합해 크고 복잡한 공간을 가진 구조체를 만드는 MOF라는 새로운 분자 건축학을 창안했고, 이 구조체가 기체의 저장, 분리, 촉매 반응에 탁월한 성능을 보이며 기후문제 해결에 기여할 가능성을 제시했다. 롭슨 교수는 1989년 구리 이온과 사면체 모양의 긴 유기 리간드를 결합해 다이아몬드처럼 공간이 많은 최초의 MOF 구조를 창안하며 MOF 연구의 계기를 마련했다. 하지만 당시의 MOF는 불안정해 쉽게 무너졌고, 그 후 연이어 연구한 기타가와 교수는 MOF가 유연하며 기체를 교환할 수 있음을 증명했고, 야기 교수는 MOF를 더욱 튼튼하고 안정적으로 만들고 설계와 합성, 대중화에 크게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