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빅테크

[지구칼럼] 코뿔소 뿔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과학자들이 주입한 까닭…밀렵에 맞선 남아공의 ‘개체 보호 작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남아프리카공화국 과학자들이 코뿔소 보전의 새 지평을 열었다.

 

목오파네 보호구역에서 5마리의 코뿔소 뿔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하며, 6년의 연구 끝에 ‘Rhisotope 프로젝트’가 공식 출범한 것이다.

 

위트워터스란드 대학교 발표, Rhisotope Project 공식 웹사이트, 국제원자력기구(IAEA), 남아프리카 정부 DFFE, Save the Rhino International, 2oceansvibe, Helping Rhinos의 공식 발표와 NPR, ABC뉴스 등의 매체를 취합해 현재 프로젝트의 현황과 의미를 알아봤다.

 

위트워터스란드 대학교가 주도한 이 혁신적 캠페인은 코뿔소 뿔을 국제 국경 탐지 시스템에 공식적으로 노출시키고 인간 섭취시 위험물로 만들어, 밀렵과 그에 따른 불법 거래를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전략이 숨겨져 있다.

 

핵심 기술과 안전성 검증


방사성 동위원소 주입은 철저한 과학적 검증 과정을 거쳤다. 2024~2025년 약 20마리의 코뿔소를 대상으로 한 파일럿 테스트에서 프로젝트팀은 뿔에 소량의 방사성 물질 주입이 동물 건강에 해가 없음을 입증했다.

 

Rhisotope Project 최고 과학 책임자 제임스 라킨 교수는 “과학적으로 의심의 여지 없이 이 과정이 완전히 안전하며, 국제 세관의 원자력 보안 시스템을 통해 뿔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고 밝혔다.


특히, 실험단계에서 3D 프린팅된 코뿔소 뿔을 40피트 운송 컨테이너에 넣어 테스트한 결과에도 방사선 모니터링 장비가 뿔을 성공적으로 탐지했다. 이 동위원소의 효과는 5년간 지속돼, 18개월~2년마다 반복적으로 진행해야 하는 기존 뿔 절단(dehorning) 방식보다 비용 대 효과 측면에서도 우위에 있다.

 

 

급증하는 밀렵, 사라져 가는 코뿔소

 

남아프리카는 전 세계 코뿔소의 80%에 해당하는 약 1만6000마리가 서식하는 최대 서식지다. 하지만 밀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2023년 남아공에서는 무려 499마리의 코뿔소가 밀렵으로 희생됐다.

 

특히 콰줄루나탈(KZN) 주의 흘룰루웨이-임폴로지 공원에서만 307마리가 죽임을 당했다. 이는 2022년 대비 11% 증가한 수치로, 밀렵 방지 노력이 쉽지 않음을 보여준다.

 

10년 새 남아공에서만 1만마리가 밀렵으로 사라졌다는 통계도 있다. 20세기 초 50만 마리에 달하던 전 세계 코뿔소 개체수는 현재 2만7000마리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주요 원인은 아시아권의 전통약재용 수요와 암시장 거래 때문이다. 코뿔소 뿔 1킬로그램은 암시장에서 금, 코카인에 맞먹는 가격으로 거래된다.

 

기존 방식의 한계와 새로운 패러다임

 

그동안 뿔에 독극물 주입, 뿔 절단 등 다양한 밀렵 차단 시도가 있었지만, 근본 해법은 되지 못했다. 뿔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주입함으로써, 코뿔소 뿔은 전 세계 1만여개의 원자력 테러 방지용 경계 장비에 포착되고, 나아가 불법 거래 적발 시 국제적 테러 및 방사성 물질 밀수 혐의로 강도 높은 법적 처벌도 가능해졌다.


동시에 방사성 뿔은 최종적으로 인체에 해롭다는 점이 알려지며 아시아권 약재시장 수요도 억제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협력과 확장, 미래 전망


이 프로젝트는 국제원자력기구(IAEA)를 비롯해 남아공 정부, 각국 연구기관의 협력으로 진행되고 있다. 2025년 8월 대규모 확대 시행이 예정돼 있으며, 민간 및 공공 부문 코뿔소 보유주들의 적극적 참여도 기대된다. 연구진은 이 모델이 성공하면 코끼리, 천산갑 등 타 멸종위기 동물로 기술을 확대 적용할 계획임을 밝혔다.

 

위트워터스란드 대학 라킨 교수는 “핵심은 인류가 만든 기술로 자연을 지키는 길을 찾자는 것"이라며 "기존 시스템을 혁신적으로 활용하면 코뿔소 뿐 아니라 지구의 또 다른 보석도 지켜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트럼프-시진핑 회담 이후 '중국, 희토류 규제 중단'…미·중 역사적 무역 휴전 '눈앞'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에 타결된 획기적인 무역 합의에 따라 새로운 희토류 수출 통제 시행을 사실상 중단하고 미국 반도체 기업을 대상으로 한 조사를 종료할 것이라고 백악관이 11월 1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로이터, 포춘, CNBC, AP, NY Times에 따르면, 중국과 미국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2025년 10월 부산 정상회담에서 1년간의 무역 휴전에 합의하며, 중국은 희토류 수출 통제를 사실상 중단하고 미국에 대한 반도체 기업 조사를 종료하는 한편, 미국은 일부 관세를 인하하는 등 양국 간 무역 긴장 완화를 위한 실질적 조치들을 발표했다. 이번 합의는 희토류,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흑연 등 핵심 광물의 수출에 대한 중국의 통제 조치를 1년간 유예하는 내용으로, 백악관은 이를 2025년 4월과 2022년 10월 시행된 제한 조치의 사실상의 철회로 평가했다. 중국은 해당 희토류를 미국 최종 사용자 및 글로벌 공급망에 이익이 되도록 일반 수출 허가서를 발급하게 되며, 이는 글로벌 첨단산업과 군사용 장비에 필수적인 핵심 자원 공급망 안정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빅테크칼럼] 머스크 “연말 ‘비행 로드스터’ 시연” 약속…7.5년 지연·환불 논란 속 ‘언빌리버블’ 승부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가 조 로건 팟캐스트에서 연말 이전 ‘비행 기능’을 포함한 차세대 로드스터 시연을 예고하며 “좋든 나쁘든 잊을 수 없는 데모”를 장담했다는 발언이 확인됐다. 발표 직후 시장 반응과 별개로, 2017년 공개 이후 7.5년에 달하는 지연과 예약금 환불 난항이 겹치며 회의론도 한층 커지고 있다.​ 무엇이 발표됐나 Electrek,Teslarati, Gizmodo,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머스크는 로건에게 “프로토타입 시연이 임박”했고 “올해 말 전 공개” 가능성을 언급하며, 피터 틸의 ‘우리는 아직 비행차가 없다’는 지적을 거론해 ‘플라잉 카’ 콘셉트를 정면으로 시사했다.​ 그는 “제임스 본드 영화의 모든 차를 합친 것보다 더 미쳤다”는 수사로 기술적 파격을 예고했고, “데모는 잊지 못할 것”이라는 표현을 두 차례 반복했다.​ 주가·여론의 1차 반응 관련 발언은 10월 31일(현지) 공개된 ‘조 로건 익스피리언스’ 에피소드에서 나왔고, 이후 여러 매체가 ‘연내 시연’ 가능성을 헤드라인으로 보도했다.​ 비즈니스 인사이더는 이 대담이 사전 공개된 샘 알트만의 ‘예약 취소’ 공개와 맞물려 다층적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