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9.3℃
  • 구름조금강릉 16.3℃
  • 맑음서울 19.9℃
  • 맑음대전 20.7℃
  • 맑음대구 19.8℃
  • 구름조금울산 17.9℃
  • 맑음광주 21.2℃
  • 맑음부산 20.5℃
  • 맑음고창 21.2℃
  • 구름많음제주 22.5℃
  • 맑음강화 18.1℃
  • 맑음보은 18.8℃
  • 맑음금산 20.7℃
  • 맑음강진군 21.9℃
  • 구름많음경주시 19.6℃
  • 맑음거제 19.0℃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금성 인근 숨어있는 도시 파괴급 소행성들, 지구에 장기적 위협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국제 연구진이 금성 근처에 있는 ‘공동궤도’ 소행성들 가운데 현재의 탐지 시스템으로는 거의 포착되지 않는 수십 개의 대형 소행성이 존재하며, 일부는 TNT 410메가톤에 상응하는 에너지를 가졌다고 밝혔다.

 

phys.org, Earth.com, Live Science, usatoday, SciTechDaily, NASA Jet Propulsion Laboratory (JPL)에 따르면, 이들 소행성은 태양에 가까워 가시광선 망원경으로 탐지하기 매우 어렵고, 궤도 변화 시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어 대도시 파괴 규모의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상파울루 주립대학교 발레리오 카루바 교수가 이끌었으며, 컴퓨터 시뮬레이션 결과 이들 미발견 소행성들은 수천 년에 걸쳐 궤도 전이를 겪으며 일부가 지구 궤도를 교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이론은 9월 18일 Physical Review Letters에 발표됐다.

 

지구 방위 위한 최첨단 탐지 임무 가속


그간 미국 의회는 지름 140미터 이상의 근지구천체(NEO)를 90% 이상 탐지하라는 미션을 NASA에 부여했으나, 20년이 지난 현재까지 44% 정도만 탐지되었다. 이러한 탐지 한계는 금성 인근 소행성 문제로 더 뚜렷해지면서 NASA는 NEO 서베이어(NEO Surveyor) 임무를 2027년 9월로 발사 시기를 조기 앞당겨 금성 궤도 내 위험천체 탐지를 강화할 계획이다.

 

이 임무는 태양-지구 L1 라그랑주 포인트에 위치한 적외선 망원경을 통해 태양 빛에 가려 보이지 않는 소행성의 열 신호를 감지한다.

 

아울러 칠레의 베라 루빈 천문대는 고성능 광학 관측 시스템으로 남반구 하늘 전체를 매 3~4일마다 스캔하며 연초 10시간 관측만으로도 2104개의 미발견 소행성을 새로 찾아내는 등 탐지 효율을 혁신하고 있다. 그러나 금성 근처 소행성은 태양 근처 배경광 때문에 잠깐 걸쳐 보이거나 거의 보이지 않아 지상망원경만으로는 한계가 크다.


중국의 우주 방위 전략과 CROWN 미션


중국은 행성방위 체계 구축을 가속하며 CROWN 임무를 제안해 금성 인근에 6~8기의 소형 위성을 배치, 5년 내에 지름 10미터급 근지구 소행성의 90% 탐지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미션은 태양-금성 삼체계 내 라그랑주 포인트를 중심으로 3단계의 에너지 효율적 전개 경로를 채택해 저비용으로 다수 위성을 운영할 예정이다. 2035년 금성 대기 샘플 반환 계획도 포함된 중국의 2050년 우주 과학 로드맵의 핵심 임무다.

 

장기적 충격 가능성과 탐지 과제

 

이번 연구는 금성 공동궤도 소행성들이 약 1만2000년 주기로 궤도 전이를 하며 이 때 일부가 지구 궤도와 교차해 심각한 충돌 위험을 낳는다고 분석했다. 문제는 이들이 수개월에서 수년간 거의 보이지 않고 충돌 가능성이 있는 짧은 기간에만 포착 가능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지구 지상 및 현재 궤도 관측 범위를 뛰어넘는 금성 인근 전용 탐지임무가 필수적이다. 미국과 중국 등 주요 우주 강국들은 이러한 장기적 행성 방위 위협에 공동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다.

 

금성 인근 대형 소행성 미탐지 사각지대는 우리 행성의 도시와 인류 생존에 잠재적 위협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최신 우주 관측 기술과 국제 협력이 앞으로의 핵심 방어 전략임이 이번 연구를 통해 분명해졌다.

배너
배너
배너



[우주AtoZ] 우주 쓰레기에 막힌 지구 귀환 길…중국 선저우-20 우주인, 전례 없는 임무지연이 쓰레기 때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 유인우주선 선저우-20호가 우주 쓰레기 충돌 의심으로 지구 귀환 임무가 연기됐다. 이로 인해 임무를 수행한 세 명의 우주비행사(임무사령관 천둥, 천중루이, 왕제)는 톈궁 우주정거장에서 예정된 6개월 체류를 연장해야 했다. 신화통신, BBC, 뉴스위크, 비즈니스인사이더,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중국유인우주사업판공실(CMSA)은 11월 5일 귀환 예정이던 선저우-20호가 우주 파편에 의해 충돌을 입은 것으로 추정돼 충돌 분석 및 위험 평가를 진행 중이라며, 승무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귀환을 지연한다고 밝혔다.​ 지난 10월 31일 도착한 후임 선저우-21호 승무원과의 공식 인계 절차도 마친 상태였다. CMSA는 피해 정도에 따른 귀환 일정 수정안을 아직 발표하지 않았다. 이번 지연은 중국 우주선 귀환 임무에서 최초로 우주 쓰레기 충돌이 직접적인 지연 원인이 된 경우다.​ 우주 쓰레기는 사용이 종료된 로켓 잔해, 위성 파편, 인공위성 충돌 잔해 등 수백만 조각으로 지구 저궤도 등 우주 공간을 돌고 있으며, 시속 약 1만7000마일의 속도로 이동해 작은 크기여도 높은 운동 에너지를 갖는다. 예컨대 1cm 크기 소립자가 초고속

[우주AtoZ] 일론 머스크 절친 아이잭먼, NASA 수장으로 재지명…트럼프 대통령 우주 정책 새 국면 예고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국장으로 일론 머스크 스페이스X·테슬라 CEO의 측근인 억만장자 사업가 재러드 아이잭먼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재지명됐다. 지난해 12월 최초 지명 후 한 차례 철회됐다가 약 5개월 만에 재추진된 이번 지명은 트럼프 대통령과 머스크 간 갈등 해소 및 협력 복원 신호로 분석된다. CNN, 로이터, CBS, NPR, 베징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2025년 11월 4일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 트루스 소셜에 “재러드 아이잭먼은 탁월한 기업가이자 자선가, 파일럿, 우주비행사로서 우주에 대한 열정과 탐험 확장 의지를 가진 이상적인 NASA 국장 후보”라며 “새로운 우주 경제를 개척할 헌신과 경험을 갖춘 인물”이라고 평가하며 재지명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아이잭먼은 1983년생으로 결제 처리 회사 시프트4 페이먼트(Shift4 Payments)를 창업해 억만장자 반열에 올랐으며, 2021년과 2024년에 각각 스페이스X 민간 우주 비행 임무에 참여해 우주 유영을 포함한 민간 최초 기록들을 달성했다. 그는 스페이스X 투자자로도 알려져 있으나 상원 인준시 이해충돌 문제를 해소하겠다는 입장이다. 올해 5월

[우주AtoZ] 우주에서 스테이크·닭날개 구워먹다 "우주식탁의 진화"…중국, 톈궁에 에어프라이어 설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중국이 자국 우주정거장 ‘톈궁(天宮)’에서 세계 최초로 에어프라이어(열풍 오븐)를 활용해 스테이크와 닭날개를 직접 구워 먹는 데 성공하며, 우주 비행사 식단의 혁신적 변화를 선보였다. 이는 단순한 기술 과시를 넘어 우주 식생활의 패러다임 전환을 상징, 미·러를 중심으로 형성된 양대 우주 강국의 우주 의식주 경쟁을 재점화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닭·스테이크까지…우주정거장에 등장한 에어프라이어 관영 중국중앙TV(CCTV)는 2025년 11월 중국 유인 우주선 ‘선저우(神舟) 21호’가 톈궁에 도킹한 뒤, 우주비행사들은 지상으로 송신한 영상에서 6개의 닭날개와 두꺼운 스테이크를 에어프라이기에 넣고 직접 조리하는 모습을 공개했다. 약 28~30분 만에 노릇하게 구워낸 닭날개와 스테이크는 곧 우주비행사들의 식사가 됐다. 기존 우주에서는 중력, 화재 위험, 밀폐된 공간의 배기 문제 등으로 튜브에 담긴 고기 페이스트 같은 가공식만 먹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특히 조리 중 발생하는 기름 연기는 안전상의 한계였다.​ 중국 우주비행사 과학연구훈련센터는 고온 촉매·다중필터 기술을 통해 ‘우주 전용 에어프라이어’를 개발, 기름 연기 문제를 효율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