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0 (목)

  • 맑음동두천 -1.0℃
  • 맑음강릉 6.1℃
  • 맑음서울 2.4℃
  • 맑음대전 1.8℃
  • 맑음대구 5.1℃
  • 맑음울산 3.7℃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6.1℃
  • 맑음고창 3.1℃
  • 구름많음제주 11.0℃
  • 맑음강화 0.0℃
  • 맑음보은 -1.4℃
  • 맑음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6.3℃
  • 맑음경주시 -0.7℃
  • 맑음거제 3.7℃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테슬라 지금 429달러인데…JP모건, 목표주가 150달러로 상향·투자의견 ‘비중축소’ 고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최대 투자은행 JP모건이 2025년 3분기 역대 최고의 실적을 올린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TSLA)에 대해 목표주가를 기존 115달러에서 1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JP모건은 테슬라의 주가가 여전히 과대평가돼 있다며 투자의견은 ‘비중축소(Underweight)’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Teslarati, Techi.com, Stocktwits, Electrek, MarketBeat, FactSet에 따르면, 이는 테슬라의 주가가 현 시세(약 430~440달러) 대비 66% 가까이 하락할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여타 월가 주요 증권사의 긍정적 전망과는 극명하게 대조된다. 10월 3일 429.83달러로 마감했다.

 

3분기 차량 인도 50만대 육박, “세액공제 종료 전 몰린 수요 덕”


테슬라는 2025년 3분기에 49만7099대의 차량을 인도하며 시장 컨센서스(약 44만3000대)를 12%나 상회했다. 전체 인도량 중 모델3와 모델Y가 48만1166대, 프리미엄 모델군(사이버트럭·모델S·모델X)이 1만5933대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 성장한 수치다.

 

이러한 기록적 실적의 주 요인으로는 미국 연방정부의 친환경차 구매자 대상 7500달러 세액공제가 9월 말 종료된 것이 꼽히고 있다. JP모건은 ‘업계 전반에 걸친 일시적 수요 선매수(temporary industry-wide pull-forward)’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진단했다.

 

전기차 구매 희망자들이 기존 세금혜택 만료를 앞두고 차량 구매를 대거 앞당기면서, 단기적으로 테슬라를 비롯해 포드와 GM 등 미국 내 다른 완성차 업체들도 동반 호조를 보인 것으로 집계됐다.

 

“지속가능한 성장 확신 이르다”…JP모건은 왜 신중한가

 

JP모건은 테슬라의 분기 실적 급등에도 불구하고, 정작 장기 성장성에는 신중한 전망을 고수한다. JP모건 측은 “현재의 수치는 세액공제 만료에 따른 일시적 특수가 작용한 결과로, 테슬라가 본업에서 지속적으로 성장세로 복귀했다고 단언하기엔 시기상조”라고 지적했다. 향후 분기 실적 전망치도 추가로 긍정적 조정될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실제 테슬라의 3분기 주당순이익(EPS)은 0.59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8% 감소했으나 월가 전망치(0.50달러)는 웃돌았다. 테슬라의 올해 누적 주가 상승률은 약 8%, 전년 동기 대비 83% 급등했으나, 세액공제 종료 후 수요 하락 우려와 이익 성장 둔화가 동반되며 최근 주가는 실적 발표 이후 반락세를 보이고 있다.

 

목표주가와 평가는 ‘극과 극’…AI·로보틱스 기대 여전


JP모건이 내놓은 150달러 목표가는 동종업계 다른 투자은행들과 확연히 대조된다. 웨드부시(Wedbush)는 최근 테슬라의 인공지능(AI)·로보틱스 잠재력을 강조하며 목표가를 600달러로 대폭 상향했고, 로버트 W. 베어드 등도 548달러로 상향 조정하며 ‘아웃퍼폼’ 등급을 부여했다.

 

아웃퍼폼(outperform)이란 특정 주식의 상승률이 시장 평균보다 더 클것이라고 예측하기 때문에 해당 주식을 매입하라는 의견이다. "중립(neutral)"보다는 강하지만 "매수(buy)"나 "강력매수(strong buy)"보다는 약한 매수의견으로 보면 된다.

한편 팩트셋 기준 테슬라에 대한 애널리스트 평균 목표가는 343~348달러 수준에 형성돼 있으며, 투자 의견 분포는 ‘중립’에 머무르고 있다.

 

테슬라, 본업 너머 미래 성장 동력은?


JP모건 보고서가 자율주행, 에너지 저장장치, 로보틱스 등 테슬라 미래사업의 확장성에 대한 평가는 언급하지 않았다는 점도 눈길을 끈다. 최근 Wedbush 등은 이 분야에서 테슬라의 잠재력이 AI 드라이브 시대의 혁신동력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테슬라가 저가형 모델 발표와 함께 에너지·자율주행 등 신사업의 본격 출시에 따라 향후 실적 및 주가 흐름이 재차 탄력 받을 수도 있다는 시각도 공존한다.

 

테슬라는 2025년 10월 22일 3분기 전체 실적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어서, 미래 기대감과 펀더멘털 간의 힘겨루기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6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엔비디아와 전세계 의료기관, AI로 인간 유전체 98% '암흑물질' 해독에 도전…"질병 예방과 치료 신기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이스라엘 셰바 메디컬 센터의 ARC 이노베이션과 미국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과대학은 글로벌 AI 기업 엔비디아와 손잡고 인간 유전체의 98%에 달하는 비단백질 코딩 DNA를 해독하는 3년간의 대규모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대형 언어 모델(LLM) AI 기술을 활용, 이전에 연구가 미흡했던 유전체의 '암흑물질' 영역을 파헤쳐 암, 심장질환, 자폐증 등 다양한 질환의 예방과 진단, 치료법 개발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총 수천만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기관은 5~7명의 전담 인력을 투입하여 협업할 예정이다. 엔비디아는 컴퓨팅 인프라와 AI 알고리즘을 제공하며, 셰바 메디컬 센터는 풍부한 임상 데이터를, 마운트 시나이는 1만1,000명의 유전체 정보를 포함하는 대규모 'Million Health Discoveries Program' 데이터를 지원한다. 이 프로그램은 앞으로 100만명을 대상으로 한 인종 및 민족 다양성을 확보한 유전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목표로 한다. 비단백질 코딩 DNA는 과거 ‘쓰레기 DNA’로 불렸으나, 현재는 유전자 발현 조절과 질병 메커니즘에 핵심적인 역할을

[빅테크칼럼] 구글 피차이 “AI 버블 붕괴시 어느 기업도 안전하지 않다” 경고에 글로벌 시장 '출렁'…증시 4일 연속 급락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알파벳(Alphabet) 순다르 피차이 CEO가 최근 AI 투자 붐에 내재된 ‘비합리성’을 인정하며, 인공지능(AI) 투자 버블이 붕괴될 경우 어느 기업도 면역될 수 없다고 강력히 경고했다. 2025년 11월 18일(현지시간) BBC와의 인터뷰에서 피차이는 이 같은 AI 투자가 닷컴 버블과 유사한 점이 있으나, 이번 AI 붐은 “특별한 순간”이라며 산업 전반에 미칠 영향이 크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를 포함해 어떤 회사도 면역되지 않을 것”이라면서도, 알파벳은 기술 스택의 다양성과 폭넓은 사업 구조 덕분에 잠재적인 혼란에도 견딜 준비가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BBC, 로이터, 비즈니스스탠다드, 채널뉴스아시아, 블룸버그에 따르면, 피차이는 AI 시스템의 완전한 신뢰를 경계하며, 아직 오류 가능성이 큰 AI 도구를 “정보의 한 소스”로 취급할 것을 당부했다. ‘풍부한 정보 생태계’ 구축이 필요하며, AI뿐 아니라 구글 검색 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다른 수단과 함께 활용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시장, AI 버블 우려에 4일 연속 하락세 AI 분야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투자 과열에 대한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면서 글로벌 증시는

[이슈&논란] 밤 10시쯤부터 챗GPT·퍼플렉시티 '장애'…클라우드플레어 글로벌 인프라 마비로 전세계 AI '먹통'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챗GPT와 퍼플렉시티 등 AI 서비스가 18일 오후 10시 20분쯤부터 거의 동시에 서비스 중단 상태에 빠졌다. 클라우드플레어 서버 다운 영향으로 풀이된다. 현재 챗GPT와 퍼플렉시티 페이지 접속을 시도하면 '계속하려면 challenges.cloudflare.com 차단을 해제하십시오'라는 메시지가 뜬다. 오픈AI는 공식 상태 페이지를 통해 "일부 사용자는 챗GPT와 플랫폼 웹사이트가 다운되고 있다"며 "API, 챗GPT, 소라(Sora) 서비스의 문제를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로이터·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접속 장애 현상은 글로벌 인터넷 인프라를 담당하는 클라우드플레어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웹 인프라 기업 클라우드플레어 장애 발생으로 챗GPT와 퍼플렉시티 뿐만 아니라 X(구 트위터), 온라인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 스포티파이 등의 서비스도 다수 중단됐다. 올해 9월에도 클라우드플레어 서버에서 장애가 발생, 제미나이·챗GPT 등 서비스가 일시적으로 중단 사태를 겪은 바 있다. 클라우드플레어는 미 동부 기준 오전 7시쯤 상태 업데이트를 통해 "다수 고객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며 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