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8 (일)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아마존, 27기 위성 추가 발사로 ‘프로젝트 쿠이퍼’ 129기 운영위성 돌파... 2026년 초 상업서비스 개시 본격화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아마존의 위성 인터넷 프로젝트 ‘프로젝트 쿠이퍼’가 2025년 9월 25일(현지시간), 27기의 위성을 추가로 발사하며 전체 운영 위성 수를 129기로 확대했다.

 

아마존 공식발표, ULA, Spaceflight Now, CNBC, Satellite Today, EO Portal, Capacity Media, Techtarget, Space.com 에 따르면, 이번 발사는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유나이티드 론치 얼라이언스(ULA)의 Atlas V 551 로켓을 통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는 쿠이퍼 프로젝트의 다섯 번째 위성 발사 임무이자 ULA가 담당한 세 번째 배치에 해당한다.

 

위성들은 초기 280마일(약 450km) 고도에서 배치된 후 운용 고도인 392마일(약 631km) 궤도로 위치를 옮겼다. 위성 제어권은 레드몬드에 위치한 아마존의 24시간 임무 통제 센터로 이관됐다. 프로젝트 쿠이퍼는 총 3236기의 위성을 저지구 궤도(LEO)에 배치할 계획이며,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는 2026년 7월 30일까지 최소 절반인 1618기의 위성을 궤도에 올려야 한다는 조건을 부과했다.

 

프로젝트 쿠이퍼는 2025년 말까지 200기 이상의 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글로벌 상업 서비스를 2026년 1분기 말까지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영국 등 5개 주요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이에 따라 아마존은 2027년부터는 제트블루 항공과 최초 항공사 파트너십을 맺고, 운항하는 항공기 약 25%에 위성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전망이다.

 

발사 운용은 ULA의 Atlas V 로켓과 차세대 Vulcan 로켓, 스페이스X의 Falcon 9, 아리안스페이스의 Ariane 6, 그리고 제프 베조스 소유의 블루 오리진의 New Glenn이 총동원된다. ULA는 47회의 발사를 담당하며, 아마존은 이와 별개로 스페이스X에서 3회의 발사를 계약했다. 특히 벌컨 로켓은 한 번에 최대 45기의 위성을 쏘아 올릴 수 있어, 고빈도 발사를 통한 대량 위성 배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술적으로 쿠이퍼는 위성 간 100Gbps 속도의 광학 링크를 사용해 데이터를 고속으로 주고받으며, 최종 소비자에게는 100Mbps에서 1Gbps까지 다양한 속도의 단말기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는 이미 6,000개 이상의 위성을 운영 중인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와 정면 경쟁하는 구도다. 스타링크가 상용화와 글로벌 커버리지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나, 쿠이퍼는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와 연계한 고성능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으로 차별화를 시도 중이다.

 

한편, 발사 및 위성 배치 일정은 매우 촉박하다. FCC의 위성 반 이상 배치 마감기한까지 약 10개월밖에 남지 않아, 아마존은 평균 매월 약 100기의 위성을 쏘아 올려야 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 우려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으나, 아마존은 로켓 제작사들과의 대규모 계약과 위성 생산 속도를 지속적으로 높이며 목표 달성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프로젝트 쿠이퍼의 단계적 서비스 확대 계획에 따르면, 2026년 말까지 26개국으로 서비스 지역을 넓히고 2027년에는 적도 인근 지역을 포함해 100여 개국에 글로벌 인터넷망을 제공할 예정이다. 2028년에는 극지방까지 포함한 전 세계 대부분 지역에서 서비스 가능하도록 위성망을 확장한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번 프로젝트 쿠이퍼 위성 추가 발사는 아마존의 저지구 궤도 위성 인터넷 시장 진입을 가시화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전 세계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 시장의 경쟁을 새롭게 촉진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74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NASA 출신 존 리 우주항공본부장, 10월 말 사직…과학계 ‘예고된 인사 참사’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존 리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이 개인 사유로 10월 24일 자로 사직 의사를 공식 표명했다. 2024년 5월 제1대 우주항공임무본부장으로 취임한 지 약 1년 4개월 만이다. 우주청은 후임자가 임명될 때까지 NASA 출신 김현대 항공혁신부문장이 중심이 되어 업무 공백 최소화에 나설 계획이다. 존 리 본부장은 NASA에서 29년간 근무하며 헬리오피직스 프로젝트 관리자, 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 위성통합본부장 등의 요직을 역임했다. 미국계 한국인으로 백악관 행정예산국에서도 예산 관리 경력을 쌓았다. 지난해 우주항공청 출범과 함께 R&D를 총괄하는 임무본부장에 임명돼 우주항공청 안착에 기여했다는 평가가 있다. 그러나 그의 리더십은 내부에서 소통 부재와 조직 내 이견, ‘왕따’ 논란에 휩싸이며 논란을 빚었다. R&D 방향성 문제를 두고 내부 직원과 갈등을 빚었고, L4 탐사 프로젝트 등 주요 사업에서 의견 대립이 있었다는 전언이다. 이에 더해, 존 리 본부장은 미국 법무부의 외국대리인등록법(FARA)에 따라 외국 정부를 위해 활동하는 자로 등록돼 활동 내역을 정기적으로 보고하는 등 복잡한 법적·정치적 문제도 안고 있

[이슈&논란] 총기실험실서 총상 사망…부산 SNT모티브 참변에 방산업체 안전관리 '도마위'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부산 기장군에 위치한 국내 대표 방산기업 SNT모티브에서 25일 오전 8시 35분, 총기 개발 담당 30대 남성 직원이 실험실에서 머리에 총상을 입고 숨진 채 발견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동료 직원의 신고로 구급대와 경찰이 출동했으나 A씨는 현장에서 사망 확인됐다. 해당 실험실은 K2 소총 등 군용 화기를 개발·시험하는 핵심 시설로, 사건 당시 여러 종류의 총기 및 실탄이 비치돼 있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경찰 조사 결과, 사망한 직원은 전날 퇴근하지 않고 회사에 남아 있던 것으로 밝혀졌으며, 잔업과 연구목적으로 늦게까지 남는 직원들이 많아 그의 미퇴근을 특별히 문제 삼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동료들 증언에 따르면 A씨는 평소 쾌활하고 성실하던 인물로, 따돌림 등 특이점은 확인되지 않았다. 경찰은 휴대전화에서 가족에게 보낸 유서 취지의 이메일을 발견하고, 출입 기록 및 CCTV 분석 결과 외부인 출입 흔적이 없어, 타살 가능성은 일축한 상태다. SNT모티브는 K2 소총 및 각종 군용 화기 생산에서 국내 시장 점유율 1위 기업으로, 방산업계의 안전관리 및 관리의무 이행에 대한 신뢰도 점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SNT모티브는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