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교촌치킨이 순살 메뉴 중량을 기존 700g에서 500g으로 약 28.6% 줄이고, 닭다리살에서 닭가슴살 혼합으로 원재료를 변경해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는 ‘슈링크플레이션’ 행태로 소비자 불신을 심화시키고 있다. 더 나아가 배달앱 주문 가격을 2000원 인상해 배달비와 이중 가격 정책으로 소비자 역차별 논란도 불거졌다.
이에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16일 “치킨 업계의 꼼수 가격 인상 행태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을 관계 부처가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업계와 소비자들은 교촌의 꼼수와 몰염치한 행태에 대해 "교촌한다"며 우회적인 비난을 쏟아내고 있다.
슈링크플레이션 논란과 치킨업계 현실
교촌치킨은 순살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줄였으나 가격은 2만3000원에서 유지하거나 배달앱 주문시 2만5000원으로 인상했다. 원재료를 저렴한 닭가슴살 혼합으로 변경하면서 제품의 질적 저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소비자에게 중량 및 원재료 변경 사실이 충분히 고지되지 않아 ‘기만적 가격 인상’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업계 내 다른 브랜드들도 배달비 인상과 가격 상승을 단행했으나 교촌의 경우 중량 축소와 배달가 인상이 겹쳐 ‘가성비 하락’ 논란이 특히 심각한 상황이다.
정부의 대응과 제재 방안
강훈식 비서실장은 치킨은 빵, 라면 등과 달리 중량 표시 의무 대상에 미포함돼 꼼수 가격 인상이 빈번하다며, 공정거래위원회, 식약처, 농림부 등과 협의해 슈링크플레이션을 원천 차단할 정책 마련을 지시했다.
맛과 서비스 개선 없는 꼼수 인상 행위를 엄단하며, 투명한 가격 정보 제공과 실질적 소비자 보호 방안 강구를 주문했다. 대통령실의 이번 조치에 대해 업계에서는 ‘교촌치킨 제재방안’으로 부르며, 치킨 프랜차이즈 시장에서 불공정한 가격 정책에 대대적 경종을 울릴 전망이다.
소비자 반응과 업계 충격
소비자들은 교촌의 부도덕한 가격 인상 행태에 “교촌이 또 교촌했다”며 강한 불만과 배신감을 표출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불매운동 움직임과 소비자 신뢰 저하로 이어져 교촌 브랜드의 시장 리더십이 심각히 흔들리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국정감사 등을 통해 교촌에프앤비 대표를 질타하며, 슈링크플레이션 고지를 강화하고 중량 축소 등 꼼수 행태를 법적, 행정적으로 규제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다.
배경과 시장 동향
치킨 가격은 2020년대 들어 코로나19 팬데믹과 조류인플루엔자 등 영향으로 육계 공급 불안, 원부자재 가격 상승이 이어지며 큰 폭으로 상승했다. BBQ, bhc 등 주요 브랜드 역시 가격 인상과 배달 수수료 부담을 겪고 있지만, 특히 교촌치킨은 중량 축소후 가격 유지라는 이중잣대 전략으로 특히 소비자로부터 뭇매를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