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메타플랫폼스(Meta Platforms Inc.)가 위험 관리 및 규정 준수 부서의 인간 직원을 대거 AI 기반 자동화 시스템으로 교체하며, 기술 업계의 ‘효율 우선’ 트렌드를 실증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CNBC, NYT, Business Insider, India Today, Techbuzz, AI Track, People Matters, Fox Business, McKinsey에 따르면, 이번 인력 구조조정은 2019년 페이스북이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에 50억 달러의 역대 최대벌금을 납부한 후 도입된 FTC 준수 부서까지 포함해, 연방규제기관이 의무화한 고위험 데이터 감독 체계의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는 움직임이다.
메타의 최고 규정 준수 및 개인정보보호 책임자인 미셸 프로티(Michel Protti)는 내부 메모에서 “수동 검토에서 자동화 프로세스로 이동해 일상적인 결정은 기술로 효율적으로 처리 가능하다”고 밝혔으며, 실제 감축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런던 오피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위험 관리팀 100여 명의 직책이 직접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메타는 이번 구조조정에서 AI 기반 위험 평가 시스템이 제품 업데이트, 알고리즘 변경, 안전 프로토콜 등 전방위적으로 리스크를 자동관리하며, 루틴 업무 대부분을 ‘저위험’으로 분류해 데이터 분석 및 보고까지 자동화한다는 방침이다. 고위험 항목만 예외적으로 인간 검토가 남아있고, 익명 인사들은 “메타의 양심 역할했던 조직을 사실상 해체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되는 ‘AI 감시자’ 트렌드
해외 산업 보고에 따르면, 2025년 1분기만 해도 글로벌 기업들에서 1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AI 자동화로 대체됐으며, 특히 리스크 관리·고객서비스·데이터 분석 등 분야에서 인간 감독 인력이 대폭 감축되고 있다. 기업 10곳 중 3곳이 이미 AI로 직업을 대체했고, 약 37%는 2026년 말까지 추가 전환을 계획 중이다.
규제 대응과 법적 논란, AI 윤리 논쟁
메타가 FTC와 합의해 도입했던 인간 감독 시스템까지 AI로 대체한 것은 전례 없는 일로 평가된다. 미국 FTC는 최근 ‘Operation AI Comply’ 이니셔티브를 통해 AI의 허위·과장 홍보를 원천 차단하며, AI 신뢰성에 대한 엄격한 검토를 진행 중이다.
업계 전문가와 인사컨설팅 전문가들은 “감독 축소가 혁신이 아니라 인력 축소일 뿐”이라며, AI의 ‘윤리적 판단 한계’와 ‘신속한 제품출시 중심 조직문화’가 고위험 이슈를 간과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
브라이언 드리스콜 HR 컨설턴트는 “업계가 인력 희생의 대가로 효율성만 좇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메타 대변인 토마스 리차즈 역시 “구조조정은 프로그램의 성숙도에 맞춘 혁신을 위한 것이고, 인간의 판단은 복잡·신규 이슈에 반드시 반영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현황과 향후 전망
메타뿐 아니라 구글, 오픈AI 등 주요 테크 기업들도 리스크 관리·제품 규정 준수 분야에 AI 시스템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유럽에서는 디지털서비스법(DSA) 등 현행 법률에 따라 일부 ‘인간 관리자’ 유지가 필수이며, 인공지능의 오심 또는 누락에 대한 법적 분쟁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결국 IT업계에서는 AI 자동화가 글로벌 표준이 될지, 아니면 인간 감독의 중요성이 재조명될지 ‘기술 윤리’와 ‘책임성’ 논쟁이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