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5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공간사회학] 테슬라, LA에 첫 ‘다이너+슈퍼차저’ 복합 휴게소…“테슬라표 충전소 아닌, 머스크판 놀이터”

“차량충전하며 나도 와플 충전?”
일론 머스크 “성공하면 전 세계에 확대”
사이버트럭 박스부터 팝콘 로봇까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전기차 시장을 선도하는 테슬라(Tesla)가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중심가에 전기차 충전소와 식당, 엔터테인먼트를 결합한 첫 번째 복합형 EV 휴게소 ‘테슬라 다이너(Tesla Diner)’를 2025년 7월 21일(현지시간) 개장했다.

 

Quartz, The Verge, Bloomberg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해당 공간은 전기차 오너들을 위한 맞춤형 라이프스타일 거점으로, 충전과 식사, 휴식, 볼거리까지 한 번에 제공하는 ‘멀티 유틸리티 공간’으로 기획됐다. 이 시설은 하루 24시간, 주 7일 운영되며, LA 현지 오픈 직후부터 대기 줄이 수백 미터에 달할 정도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오픈 개요 및 공간 구성


위치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할리우드 중심지(Santa Monica Boulevard)에 있으며, 연면적은 약 2023㎡(약 612평) 규모에 달한다. 연중무휴 24시간 운영한다.

 

주요 시설로는 슈퍼차저 80기, 대형 야외 스크린 2개(영화·엔터 콘텐츠 상영), 복고풍 식당(Diner) 매장(버거, 핫도그, 와플 등 경량식 판매), 테슬라 굿즈 숍 (모자, 모델카, 티셔츠 등), 팝콘 로봇 '옵티머스(Optimus)' 시연 부스 등이 있다.

 

머스크의 ‘복고+미래’ 전략 실험... “잘되면 전 세계로 확산”


일론 머스크는 테슬라 공식 X(구 Twitter) 계정과 개인 계정을 통해 “‘복고풍(Retro)과 미래지향(Futuristic)’ 디자인이 결합된 이 콘셉트가 잘되면, 전 세계 주요 도시에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는 “좋은 음식과 몰입식 콘텐츠, 충전의 여유가 공존하는 새로운 체류 경험”을 통해 EV의 충전시간을 ‘이동의 단점’이 아닌, ‘체험의 기회’로 전환하겠다는 구상이다.

 

개점 이후 LA 시민들은 “단순 충전소가 아닌 놀이문화 공간 같다” “사이버트럭 상자에 햄버거 포장이라니 기발하다” 등 현장 반응을 소셜미디어에 연이어 게시했다. 특히 음식을 담는 포장 박스가 테슬라의 전기 픽업트럭 '사이버트럭(Cybertruck)' 형태로 디자인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팝콘은 로봇이, 감성은 디트로이트 1960년대


테슬라가 개발 중인 휴머노이드 로봇 ‘옵티머스(Optimus)’가 현장 팝콘 부스에서 실제 손님에게 팝콘을 제공하는 장면이 영상으로 포착되며, AI 기반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 흐름에 대한 기대도 높아졌다. 관람용 스크린에서는 SF 영화, 모터스포츠, 테슬라 홍보 콘텐츠 등이 루프 상영되며, 내부 인테리어는 1960년대 미국 오픈드라이브 인 다이너 분위기와 네오레트로 스타일을 절묘하게 결합했다는 평가다.

 

식재료는 “지역 농장에서 공급된 신선한 식품”임을 머스크가 직접 강조했으며, LA 로컬푸드 연계 ESG 전략 차원에서 테슬라의 지속가능성 철학도 함께 반영됐다는 후문이다.

 

확장 가능성: ‘EV 에코시스템’ 일환으로 추진


테슬라는 이 복합형 휴게소를 단기적 전기차 홍보 수단이 아닌, 장기적으로 “EV 인프라의 생활화 기반이자 엔터 중심 커뮤니티 허브(Mobility Lounge)”로 전환하는 전략의 초입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해당 모델이 전 세계적으로 슈퍼차저·기술·브랜드 로열티를 통합한 수익형 부가사업 모델(capture model)로 제시될 가능성에 주목한다. 특히, 휴게소 체류 시간 중 충전-음식소비-콘텐츠소비를 결합해 테슬라 브랜드 접점을 극대화하는 구조로 분석된다.

 

Quartz, The Verge, Bloomberg 등의 매체들은 “지금까지 충전소는 ‘필요해서 잠깐 들르는 곳’이었다면, 테슬라 다이너는 ‘들르고 싶은 곳’으로 바꿔놨다”며 “EV의 단점(충전시간)을 새로운 경험 자산으로 전환한 마케팅의 교과서적 사례”라는 평가가 업계에서 잇따르고 있다.

 

 

“테슬라표 충전소가 아닌, 테슬라판 놀이휴게소 탄생”


LA에 등장한 이 새로운 ‘테슬라 다이너’는 충전소의 의미를 완전히 바꿔놓고 있다.

 

충전만 하던 공간에서 이제는 사람이 머무르고, 식사하고, 즐기고, 브랜드 경험까지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전기차 시대의 진짜 혁신은 기술보다 체험의 전환에 있다는 메시지를 머스크는 다시 한번 체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AI가 경고한 2050년 뷰티 인플루언서의 충격적 미래…‘얼룩진 피부·굽은 등·탈모까지’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AI가 예측한 2050년 뷰티 인플루언서의 미래 모습이 뷰티 산업에 강한 경고를 던졌다. 9월 4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와 주요 해외매체에 따르면 온라인 게임 플랫폼 카지노가 생성한 가상 모델 ‘아바(Ava)’는 미래 인플루언서의 ‘외모 부작용 집합체’로, 디지털 콘텐츠 과잉과 외모 집착의 어두운 단면을 직관적으로 보여줬다. 심각한 디지털·성형 부작용 전문가들은 "아바는 내일의 인플루언서이자 오늘의 경고"라며, 반복적인 필러 시술·두꺼운 메이크업·장시간 스마트폰 사용·LED 조명 노출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피부염·얼룩진 피부·근골격계 변형·눈밑 다크서클·만성 탈모 등 외적·내적 건강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아바 모델은 굽은 등, 뾰족한 턱, 흐릿한 시야, 스트레스성 탈모까지 시대적 외모 부작용을 집약적으로 담아낸다. 90시간 ‘SNS 노동’과 자세 변형 BBC 2023년 보고서에서도 일부 인플루언서들이 주당 최대 90시간을 스마트폰 앞에서 보내며, 이로 인해 만성적인 목·어깨 통증, 근육의 변화, 머리가 앞으로 숙인 자세가 고착화되는 근골격계 질환이 빈발한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가상 모델 아바

[이슈&논란] "생리대에서 미세플라스틱·톨루엔 노출"…성균관대, 생리대 안전성 과학적 검증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천권 교수 연구팀이 하와이대학교 김주희 교수 연구팀, 충북대학교 김세나 교수와 함께 시중에서 판매되는 생리대의 화학적 안전성과 독성 수준을 평가한 국제 공동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 결과는 2025년 8월 29일자로 발표됐으며, 여성 건강과 밀접한 위생용품의 안전성을 다룬 최초의 포괄적 분석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연구팀은 국내외 유통 중인 29종의 생리대를 대상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방출, ▲미세플라스틱 검출, ▲세포독성 평가 등을 다각도로 분석했다. 그 결과, 다수 제품에서 톨루엔이 0.09~2.79 μg/패드 수준으로 검출됐으며, 이는 기존 산업 안전 기준치(37 mg·m⁻³)보다는 낮지만, 피부 흡수 특성과 장기간 사용 환경을 고려하면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톨루엔은 산업적으로 널리 쓰이는 휘발성 유기화합물로 피부나 점막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또한, 모든 생리대 제품에서 폴리프로필렌(PP) 기반의 미세플라스틱이 패드당 6~115개 수준으로 확인됐고, 일부 제품에서는 PET 및 PE 등 다른 종류의

[빅테크칼럼] 트럼프, 백악관 로즈가든에 저커버그·팀 쿡·빌 게이츠·샘 올트먼 초대…머스크는 돌연 제외, 이유는?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025년 9월 4일(현지시간) 백악관 새 단장 후 첫 공식 행사를 로즈가든에서 개최하며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애플의 팀 쿡,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 오픈AI의 샘 올트먼,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순다르 피차이 등 20여명의 기술업계 최고경영자(CEO)를 초청했다. 그러나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자리에서 제외돼 눈길을 끌었다. 블룸버그, CNN, 로이터, 크립토폴리탄, NBC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 새로워진 로즈가든 공간을 ‘로즈가든 클럽’으로 명명하며 “워싱턴뿐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가장 주목받는 장소”라며 “앞으로 이곳에서 주요 기업·정치·기술계 인사들과 여러 차례 만찬을 가질 계획”이라고 백악관 공보실을 통해 발표했다. 이번 만찬은 영부인 멜라니아 트럼프가 주최한 인공지능(AI) 관련 행사에 이어 열렸고, AI 정책을 중시하는 트럼프 행정부의 기술패권 강화 전략과 빅테크와의 협력을 강화하려는 의지를 반영한다. 백악관의 ‘AI 차르’인 데이비드 삭스가 지난 7월 발표한 규제 완화와 연구개발(R&D) 강화 계획도 이와 맥락을 같이한다. 특히 엔비디아, AMD 등 AI 반도체

[이슈&논란] 아빠가 세계 최고 부자인데도 룸메 3명과 산다고?… 머스크 딸 비비안 윌슨, 경제적 독립과 평범한 삶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첫째 딸인 비비안 제나 윌슨(21)이 아버지의 엄청난 재산과 무관하게 경제적으로 독립해 평범한 삶을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더 컷, NBC 뉴스, 인디펜던트, 허프포스트의 보도에 따르면, 그는 최근 미국 매체와 인터뷰에서 이를 밝혔다. 머스크의 순자산이 4130억 달러(약 530조원)에 달하는 세계 최고 부자임에도 불구하고, 비비안은 “나는 부자가 아니다”라며 로스앤젤레스(LA)에서 룸메이트 3명과 함께 생활하는 이유가 “비용 절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비비안 윌슨은 2022년 법원에 자신의 성별을 여성으로 정정하고 아버지 성(姓) ‘머스크’를 삭제하는 청원서를 제출하며 사실상 아버지와 절연을 선언했다. 이후 아버지 머스크와 관계는 극도로 냉랭해졌다. 머스크는 언론 인터뷰에서 딸의 성전환을 두고 ‘워큰 바이러스(woke mind virus)’라며 비판적 입장을 고수했고, 이에 비비안은 SNS를 통해 “나는 죽지 않았다”고 맞서며 공개적으로 갈등을 이어갔다. 인터뷰에서 비비안은 사람들이 자신이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고 오해하지만, “수십만 달러를 마음대로 쓸 수 있는 게 아니다”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