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30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내궁내정] 워렌 버핏, 1년 배당금 무려 8조원…버핏의 투자 철학·말말말·스티브발머의 배당금·美 배당 TOP5 기업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세계 최고의 투자자인 워렌 버핏은 1년간 얼마의 배당금을 받을까?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다우존스 마켓데이터에 따르면, 워렌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 해서웨이는 2024~2025년 기준, 연간 약 57억~60억 달러(한화 약 7조8000억~8조3000원)에 달하는 배당금을 보유한 주식 포트폴리오에서 거둬들인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단 5개 종목(뱅크오브아메리카, 셰브런, 코카콜라, 크래프트하인즈,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등)이 약 42.5억~43억 달러(한화 약 5조7000억~5조9000억원)를 차지한다. 특히 뱅크오브아메리카(BofA) 주식만으로도 연간 약 10억 달러에 가까운 배당금을 수령한다.

 

워렌 버핏의 투자 철학

 

워렌 버핏의 투자 철학은 스승 벤저민 그레이엄의 ‘가치 투자’ 이론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는 시장의 동향이나 투자자들의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기업의 본질적 가치에 주목한다.

 

버핏은 “가격은 우리가 내는 돈이며, 가치는 그것을 통해 얻는 것이다”라는 명언처럼, 훌륭한 기업을 적정 가격에 매수해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전략을 고수한다.


그는 “10년 이상을 볼 것이 아니면 10분도 그 주식을 갖고 있지 말아라”는 말처럼, 단기적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 투자를 강조한다.

 

또한, 버핏은 배당주와 자사주 매입을 선호하며, 이익의 일부를 주주에게 정기적으로 환원하는 기업에 투자함으로써 안정적이고 꾸준한 수익을 추구한다.

 

 

워렌 버핏의 유명한 '말말말'

 

“잠자는 동안에도 돈이 들어오는 방법을 찾지 못한다면 당신은 죽을 때까지 일을 해야만 할 것이다.”

 

“남들이 겁을 먹고 있을 때 욕심을 부려라.”

 

“어떤 자산에 투자하는 이유가 최근 가격이 상승해서여서는 안 된다.”

 

“10년 이상을 볼 것이 아니면 10분도 그 주식을 갖고 있지 말아라.”

 

“가격은 우리가 내는 돈이며, 가치는 그것을 통해 얻는 것이다.”

 

“충분한 현금을 보유해라.”

 

“회사가 손실을 입는다면 나는 이해할 것이다. 회사가 평판을 잃는다면 나는 분개할 것이다. 평판은 값을 매길 수 없는 자산이다.”

 

세계 10대 부자 '스티브 발머'의 배당금과 배당킹 TOP5 기업

 

워렌 버핏 외에도 세계 유명 부자들은 주식 배당금으로 막대한 수익을 올리고 있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 전 CEO 스티브 발머는 블룸버그 억만장자 지수 기준 순자산 1310억 달러(한화 약 173조원)로 세계 10위에 드는 부자로 손꼽힌다. 그의 연간 주식 배당금만 1.3조원(약 10억 달러)에 달한다.

 

2024년 7월 블룸버그통신은 스티브 발머 전 MS CEO가 재산 규모 1572억달러(약 217조6000억원)로 빌 게이츠 창업자(1567억달러)의 자산을 뛰어넘어 세계 6위 부호 자리에 앉게 됐다고 보도했다. MS 경영진이 게이츠 창업자의 자산을 뛰어넘은 건 이번이 처음이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발머는 자산의 90%를 MS 주식에 투자했다. 발머는 2000년부터 14년간 MS CEO를 역임하며 회사를 이끌었다. 2014년 은퇴 후 같은 해 MS의 최대 주주자리를 꿰찼다. 금액으로 보면 1400억달러가 넘는다. 그는 MS의 지분 4%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발머 전 CEO는 2024년 1월 MS가 주식 배당금(주당 74센트)을 지급했는데, 발머 전 CEO가 받은 금액이 10억달러에 달했다. 세금 규모만 2억달러였지만, 배당금 규모가 1조원이 넘는다는 소식 자체만으로 화제가 됐다.


2023년 기준 미국 배당킹 시가총액 TOP5는 1위 월마트, 2위 존슨앤드존슨, 3위 프록터앤드겜블(P&G), 4위 애브비, 5위 코카콜라 순으로 나타났다.

 

버핏은 단기적 시장 변동에 흔들리지 않고, 기업 본질적 가치를 평가해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전략을 고수한다. 버핏은 배당주를 선호하며 안정적이고 꾸준한 수익을 추구한다.

 

“남들이 겁을 먹고 있을 때 욕심을 부려라”는 그의 조언처럼, 시장의 공포와 욕망에 휘둘리지 않고 본질을 바라보는 투자 철학이 오늘날에도 많은 투자자들에게 귀감이 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트럼프 디지털세 관세 으름장 뒤엔 저커버그”…백악관 비공개 회동 전격 보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미국 기업에 부과되는 디지털세를 도입하는 국가에 대해 대규모 추가 관세 부과를 경고한 배경에는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와의 비공개 백악관 회동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블룸버그, 로이터, 뉴욕포스트, 야후파이낸스 등 주요 해외 언론은 2025년 8월 28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저커버그가 지난 주 백악관을 방문해 디지털 서비스 세금 도입에 대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곧바로 해당 국가에 대해 경제 제재성 관세를 내리겠다는 강경 입장을 발표했다. 디지털세는 유럽을 중심으로 주요 국가들이 IT 글로벌 기업들이 특정 국가에서 발생시키는 매출에 세금을 부과하는 제도로, 구글, 메타, 애플, 아마존 등 미국 빅테크 기업들이 주요 대상이다. 메타는 전체 매출의 대부분을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왓츠앱 광고 수익에 의존하고 있어 디지털세가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블룸버그는 저커버그와 트럼프가 회동에서 유럽연합(EU)의 과도한 규제 문제, 디지털세 문제, 미국 내 AI 기술 투자 및 메타의 루이지애나주 대규모 AI 데이터센터 건설 계획 등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했다.

[CEO혜윰] 280조원 기부한 빌 게이츠 “전용기 타고, 좋은 집 살고 돈도 꽤 쓴다” 솔직 고백…“호기심이 인생 키워드”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 창립자이자 세계 최대 자선단체인 게이츠 재단 이사장인 빌 게이츠가 약 280조원(2000억 달러)에 달하는 자신의 재산을 2045년까지 사회에 기부하겠다는 철학과 함께 솔직한 일상 이야기를 전했다. 2025년 8월 27일 방송된 tvN ‘유퀴즈 온 더 블럭’ 출연에서 그는 “사실 꽤 많은 돈을 쓴다”며 “매우 좋은 집에 살고, 큰 정원도 있으며 전용기를 타고 여행을 다닌다”고 밝혔다. 죄책감을 느끼기도 하지만 이를 통해 아프리카를 비롯한 세계 여러 곳을 다닐 수 있게 된 점에 감사함을 표했다. 빌 게이츠는 재산의 99%, 즉 약 280조원을 기부하는 계획에 대해 “아이들에게 재산을 물려주지 않을 것”이라며 “자기 힘으로 경제적 성공을 이루길 바라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남은 재산은 사회에 돌려줘야 한다는 신념을 가졌고, 수년간 ‘아이들이 왜 죽을까’, ‘우리는 잘 대응하고 있는가’ 같은 질문을 던지며 긴 시간 고민해왔다”고 말했다. 그의 기부철학은 부모의 교육 영향과 ‘더 많이 받은 만큼 더 큰 책임이 따른다’는 어머니의 조언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일상에서는 햄버거와 감자튀김을 자주 즐기고, 주기적으로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