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7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랭킹연구소] 우리 동네 인구는 얼마? 서울 25개 자치구 인구 순위…송파·강남·강서·강동·노원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시의 25개 자치구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구는 송파구로 조사됐다.

 

서울 열린데이터광장 및 각종 통계자료를 기초로 2025년 7월 기준, 서울특별시의 25개 자치구 인구 순위를 집계해 본 결과, 송파구는 약 64만8000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위는 강남구로 55만7000명, 3위는 강서구로 55만4000명으로 나타나 ‘3강 구도’가 굳건한 모습을 보였다.

 

4, 5위는 강동구(49만5000명), 노원구(49만명)가 뒤를 잇고, 6~10위는 관악구(47만9000명), 은평구(46만명), 성북구(42만9000명), 서초구(42만명), 양천구(40만8000명)가 차지해 거주 인구 40만명대를 기록했다.

 

서울 동남권과 강남권을 중심으로 인구 밀집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1~13위는 구로구, 중랑구, 동작구로 조사됐다.

 

14~20위는 영등포구, 마포구, 동대문구, 광진구, 도봉구, 서대문구, 강북구 순이었다.

 

21위는 성동구, 22위는 금천구로 파악됐다.

 

인구수 하위권에는 25위 중구(12만명), 24위 종로구(13만8000명), 23위 용산구(20만3000명) 등 도심 지역이 차지했다. 특히 사무·상업시설 비중이 높은 중구와 종로구는 거주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었다.

 

서울 전체 인구는 약 933만6000명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관계자는 “최근 대규모 재건축·재개발 사업이 강남권과 송파구, 강서구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인구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다”며 “도심권은 업무시설 집중 영향으로 거주인구는 줄고 있지만, 수도권 내 계속되는 인구 이동 트렌드도 주목해야 할 대목”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4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사회학] 샤워공간의 사회학·심리학적 의미 "은밀·사색·창의적 공간"…외로울수록 더 자주, 더 오래,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샤워공간은 개인의 프라이버시가 가장 잘 보장되는 은밀한 공간일 뿐 아니라, 사색과 감정적 공감을 위한 심리적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양한 사회학적·심리학적 연구와 매체 보도, 커뮤니티 논의를 근거로 관련 분석 내용을 정리했다. 샤워공간은 현대인에게 단순한 위생 행위를 넘어 신체적·심리적 안정을 추구하는 장소로 자리잡고 있다. 미국 UCLA 연구진의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사회적 고립감이나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이 따뜻한 물로 샤워나 목욕하는 빈도와 시간, 더 높은 수온 선호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일대 심리학자 John Bargh 등의 연구(The Substitutability of Physical and Social Warmth in Daily Life, 2011년)에서도 "만성적 외로움이 높은 사람들이 더 자주, 더 오래, 그리고 더 뜨거운 물로 샤워하거나 목욕하는 경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 이 연구에서 외로움 정도와 샤워 빈도, 지속 시간, 선호 수온 간의 상관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외로움이 클수록 따뜻한 물에서 더 오랜 시간을 보내며 물리적 온기를 통해 사회적 차가움을 보상하려는 심

[공간사회학] 칠레 학교의 스마트폰 신호 차단 “디지털 디톡스, 교실을 바꾸다"…집중력 상승과 ‘실생활’ 회복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칠레 산티아고에 위치한 한 학교가 수업 시간 동안 스마트폰 신호를 차단하는 선구적인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이는 학교 내 휴대폰 사용을 제한하려는 전 세계적 움직임의 일환으로, 칠레 최초의 시도다. 산티아고의 로 바르네체아 비센테나리오(Bicentenario) 학교의 이 프로그램 덕분에 학생들은 소셜 미디어를 스크롤하는 대신 스포츠를 하거나 친구들과 교류하고 전통적인 활동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즉 스마트폰 사용을 못하자 자연스럽게 학생들이 실생활 교류와 전통적 활동에 눈을 돌리는 현상이 뚜렷이 관찰되고 있는 것. BBC News, 인디아투데이, Houston Chronicle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은 2025년 8월부터 시행됐으며, 13~14세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신호차단 자석 케이스에 스마트폰을 보관해 직접 소지하지만 전화, 문자, 인터넷 등 모든 기능은 사용할 수 없다. 케이스는 교직원만 수업 끝에 열어준다. 학교 측은 "쉬는 시간이 매우 활기차다"고 평가하며, 학생들은 배구·농구·탁구·도서관·카페 공간에서 교류하는 모습이 늘었다고 밝혔다. 도서관 보드게임, 운동장 전통놀이, 스포츠 토너먼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