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한국인의 평균 소득은 45세에 정점에 이르고, 61세부터는 소비가 소득을 초과하는 적자 구간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025년 9월 25일 발표한 '2023년 국민이전계정'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은 0~27세에는 소비가 소득보다 많아 적자 상태를 유지하다가, 평균 28세에 처음으로 노동소득이 소비를 넘어서는 흑자 전환을 경험한다.
이후 소득은 꾸준히 증가해 45세에 4433만원으로 최고점을 찍으며, 그때의 흑자 규모도 최대인 1748만원에 달한다. 그러나 46세부터 노동 소득이 감소하기 시작해, 61세부터는 다시 소비가 소득을 초과하는 적자 상태로 전환되며 나이가 들수록 적자 규모가 커지는 양상을 보인다. 이는 은퇴 후 노동 소득이 줄어드는 반면 건강 관련 소비가 늘어난 영향으로 풀이된다.
특히 주목할 점은 소득 정점 시점이 2010년 43세에서 2023년 45세로 2년 늦춰졌고, 적자 전환 시점도 56세에서 61세로 5년 늦춰졌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인구 고령화와 은퇴 후에도 일을 지속하는 고령층 증가 때문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생애주기 적자 총액은 전년 대비 15.9% 증가해 226조4000억원으로, 통계 작성 사상 처음 200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전체 소비가 1459조2000억원으로 7.0% 증가한 데 반해, 노동 소득은 1232조8000억원으로 5.5% 증가에 그쳐 소비 증가 속도가 이를 앞섰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연령별로 보면 노년층 소비가 12.0%로 가장 큰 폭으로 늘었고, 노동 연령층은 6.3%, 유년층은 4.3% 증가했다. 특히 개인 지출에서는 의료비와 기타 소비가 8.3% 늘어나면서 전체 소비 확대를 주도했다.
한편, 세대 간 부양 부담도 심화되고 있다. 노동 연령층(15~64세)에서 유년층(14세 이하)과 노년층(65세 이상)으로 이전된 금액이 총 320조7000억원으로 처음으로 300조원을 넘어섰다. 이 가운데 184조5000억원은 어린이에게, 131조1000억원은 노인에게 전달됐다.
공적 지원 측면에서는 노동 연령층이 199조4000억원을 지출해 어린이와 노인에게 각각 92조4000억원, 106조9000억원이 돌아갔고, 민간 차원에서는 121조3000억원이 이전됐다. 통계청 관계자는 "노동 연령층이 벌어들인 소득으로 세금, 연금, 교육비 등을 이전해도 부족해 자산 소득이나 대출 등 다른 수단을 동원해야 하는 구조가 심화됐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인구 고령화와 생산 가능 인구의 감소로 인해 세대 간 부양 부담이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재정적·사회적 대응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OECD 국가 중에서도 한국의 노인 부양비는 급격히 상승 중이며, 미래 세대의 조세 부담이 생애 소득의 40% 이상에 이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사회는 연금제도 개선, 노동 시장 참여 확대, 공공복지의 효율적 운영 등 다각적인 대응책 마련에 나서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통계는 한국인의 경제적 생애주기와 세대 간 재정 이전의 현실을 명확히 드러내면서, 노년층 증가와 젊은 세대의 부담 가중이라는 구조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