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1 (목)

  • 구름많음동두천 31.2℃
  • 구름많음강릉 30.1℃
  • 구름많음서울 33.4℃
  • 구름조금대전 33.1℃
  • 구름조금대구 31.8℃
  • 구름조금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1.5℃
  • 맑음부산 31.8℃
  • 맑음고창 33.2℃
  • 구름많음제주 30.4℃
  • 구름많음강화 30.5℃
  • 맑음보은 30.3℃
  • 맑음금산 31.1℃
  • 맑음강진군 31.7℃
  • 구름조금경주시 32.5℃
  • 맑음거제 29.8℃
기상청 제공

공간·건축

[공간사회학] 이포컨트리클럽 17번홀 '아이고야(啞耳苦惹)’…골프장 코스에 숨겨진 네이밍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잘 지은 이름 하나, 열 홍보 안 부럽다"

 

이름에는 특별한 힘이 담겨 있다. 무엇을 어떻게 이름 짓느냐에 따라 사람들에게 오래 기억되기도 하고, 쉽게 흘려보내지기도 한다. 그래서 사람들은 귀한 것일수록 이름 짓기에 공을 들인다. 골프장 이름은 어떨까? ‘이름’을 통해 골퍼들에게 색다른 재미를 주는 사례를 정리해 봤다.

 

◆ 이름이 브랜드를 만든다


네이밍은 단순한 이름 짓기가 아니다. 브랜드 이미지를 만드는 중요한 과정이다. 세계적인 마케팅 전략가잭 트라우트(Jack Trout)는 “가장 중요한 마케팅 결정은 브랜드 네이밍”이라고 말한 바 있다.

 

성공적인 브랜드 네이밍은 경쟁사와 확고한 차별성을 갖게 한다. 브랜드 자체가 고유 이름이 되기도 한다. 반창고를 ‘대일밴드’, 진통제를 ‘타이레놀’이라고 부르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우리 일상에서 확고한 ‘이름’으로 존재한다.

 

네이밍의 숨은 법칙을 담은 책 『세상 모든 것들의 이름짓기』에서는 좋은 이름을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좋은 이름은 첫째 유니크해서 다른 것과 구별되어야 하며, 둘째 대상의 근본적인 의미와 가치를 담아야 한다. 좋은 이름은 무엇보다 ‘본질을 품은 유니크함’이 기본이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좋은 이름이 완성되지 않는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몇 가지 추가해야 할 요소가 있다. 바로 재미와 스토리텔링이다.”

 

책에서는 이름 짓기의 네 가지 키워드로 재미(Fun), 독특함(Unique), 이야기(Storytelling), 본질(Essence) 을 꼽는다. 재미있고, 독특하며, 이야기와 본질이 담겨 있는 이름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름을 짓기 전에는 먼저 해당 사물이나 개념의 본질적인 가치를 파악해야 하며, 여기서 새로움과 창의성을 뽑아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 골프장이 코스, 홀 이름을 하나의 공식처럼 비슷하게 짓는다.

 

방위에 따라 동코스, 서코스, 남코스로 이름 붙이는 것이 가장 대표적이다. 진행 방향에 따라 인코스, 아웃코스로 나뉘기도 한다. 지형적 특징에 따라 호수나 물가가 있으면 레이크코스, 절벽이 많으면 밸리코스, 나무가 많고 산악형의 특징이 두드러지면 마운틴코스로 이름 짓기도 한다.

 

주요 수종에 따른 파인코스, 오크코스 등도 있다. 홀 이름 또한 1번홀, 2번홀과 같이 번호를 매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이름은 골퍼에게 친숙하고 직관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이름을 통해 새로운 이야기와 세계관을 확장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 이름 짓기는 골퍼를 향한 관심과 정성

 

작명에 진심인 골프장도 물론 많다. 특히 많은 골프장이 지역의 역사와 상징을 코스와 홀 이름에 담는다.

 

천년고도 경주의 보문관광단지에 자리한 경주신라컨트리클럽은 코스 이름을 ‘천마’와 ‘화랑’으로 지었다.

 

경기도 여주시에 있는 소피아그린컨트리클럽도 배움과 나눔을 중시하는 한국교직원공제회의 골프장답게 코스와 홀 이름에 귀한 메시지를 담았다. 코스는 세종코스, 여강코스, 황학코스로 나뉜다. 세종코스는 여주 영릉(英陵)에 잠든 세종대왕의 이름을, 여강은 인접한 남한강의 옛 이름을, 황학은 여주의 옛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던 명소의 이름을 땄다.

 

홀 이름도 코스 이름과 호응을 이룬다. 세종코스는 한글 창제의 뜻을 기려 9개 홀을 누리, 다솜, 아람, 한울 등 순우리말로 이름 붙였다. 여강코스의 홀은 여주의 역사적인 명소에서, 황학코스의 홀은 옛 선인들의 이름에서 따왔다. 코스를 한 바퀴 도는 것만으로도 우리 문화와 지역의 역사를 익히는 셈이다.

 

‘신의 축복이 있는 신성한 장소’를 뜻하는 이름의 웰링턴(Wellington)컨트리클럽에서는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다. 웰링턴은 3개 코스 이름을 유럽 신화 속 불멸의 신수(神獸)에서 따왔다. 그리핀(Griffin)은 사자의 몸과 독수리의 머리를 가진 상상의 동물, 와이번(Wyvern)은 불을 내뿜는 수호자 공룡, 피닉스(Phoenix) 는 죽음에서 살아나 희망을 주는 영원불멸의 불새다. 이러한 골프장 이름에서 사람들은 코스의 특징과 골프장이 의도한 바를 유추하고 자신만의 이야기를 창조하며 또 다른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홀 이름에 정성을 다한 골프장이라면 이포컨트리클럽을 빼놓을 수 없다.

 

18홀 하나하나마다 홀의 개성에 따라 사자성어(四字成語) 이름이 붙었다. 청운입지(靑雲立志), 화조월석(花朝月夕), 외유내강(外柔內剛), 주마가편(走馬加鞭), 인자무적(仁者無敵), 열녀춘향(烈女春香), 다정다감(多情多感), 칠전팔기(七顚八起), 새옹지마(塞翁之馬), 권토중래(捲土重來), 설상가상(雪上加霜), 건곤일척(乾坤一擲), 좌고우면(左顧右眄), 양자택일(兩者擇一), 조강지처(槽糠之妻), 청산별곡(靑山別曲) 등이 그것이다.

 

가장 특별한 이름은 17번홀 에서 나온다. 명칭이 ‘아이고야!(啞耳苦惹!)’다. 그만큼 고난도라는 뜻이다. 마지막 산정무한(山情無限)까지 홀 이름마다 골퍼에게 전하는 응원의 메시지와 위트가 함께 담겨 있다.


다시 말해 골프장 속 이름들은 골프장에 대한 임직원의 관심이자 골퍼에 대한 정성과 배려다. 작은 재미라도 더 주고 싶은 진심이다. 오래, 자주 이름 불리는 골프장이 더 많아지길 바란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지구칼럼] 동물원의 존립에 대한 인간의 고민…코스타리카 폐쇄부터 ‘푸바오 선물'까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코스타리카가 세계 최초로 공영 동물원을 모두 폐쇄하는 결정을 내리면서, 동물원의 존재 이유와 필요성에 관한 논쟁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반면 대한민국에서는 에버랜드 판다 ‘푸바오’가 가져온 경제적·문화적 파급 효과가 재조명되는 등 동물원에 대한 시각은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국내외 다양한 사례와 데이터를 기반으로 동물원의 과거, 현재, 미래를 다각도로 조명해 봤다. 1. 동물원의 역사와 진화 동물원의 시초는 기원전 3500년 고대 이집트 히에라콘폴리스 지역에서 발견된 동물 유골에서 추정된다. 이후 고대 로마 제국에서는 검투사 훈련과 유희를 위해 동물을 가두어 전시했으나, 19세기부터 동물 보호와 연구 목적의 동물원이 출현했다. 1829년 런던동물원이 현대적 동물원의 출발점으로 꼽히며, 여기서 ‘Zoo’(동물원)라는 말이 고유명사가 됐다. 한국 최초의 동물원은 1909년 창경원이었고, 2024년 기준 현재 국내에는 약 114개의 동물원이 운영 중이다. 2. 동물원의 필요성과 긍정적 측면 현대 동물원은 멸종위기종 보호와 번식, 야생환경 복원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은 동물원이 멸종위기 육성 및

[핫픽] 새(new) 아파트가 새(bird) 아파트?…"집값 비싸 무허가 입주한 비둘기 가족"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신축 아파트에서 비둘기가 들어와 둥지를 틀고, 심지어 새끼까지 낳는 ‘도시 생태계 이상 신호’가 현실이 됐다.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진짜 새 아파트”란 제목의 게시글과 사진이 화제다. 사진에는 욕실 천장에 들어온 비둘기와, 스프링클러 배관 틈에 둥지 서식지로 삼은 어린 새끼 비둘기가 포착됐다. 댓글 창엔 “샷시 달기 전 들어와서 둥지 틀고 새끼 낳은 듯 하다”, “새들도 집값 비싸서 무허가 입주했나 보다” 등 도시민의 씁쓸한 농담과 함께, “아파트 건립 과정의 틈새가 새들의 새로운 서식지로 변모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도심 속 비둘기, 어디까지 적응했나? 비둘기는 대표적인 도시 적응종으로 꼽힌다. 2025년 기준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비둘기 밀도는 1제곱킬로미터 당 최대 500마리에 달하는 것으로 한국조류학회 조사에서 파악됐다. 유럽, 북미 주요 도시 역시 비둘기가 에어컨 실외기, 빌딩 틈새, 아파트 베란다 등 다양한 틈을 활용해 둥지를 트는 사례가 해마다 늘고 있다. 비둘기의 번식 습성은 도심 적응에 최적화되어 있다. 한 쌍이 1년에 평균 6~8회의 번식을 한다는 해외 학계 발표도 있다. 알에서 깨어난 새끼는 처음

[지구칼럼] 도심 열섬의 역습, 서울 25개 구 열대야 일수…'종로구·중구’ 9일 vs '은평구·노원구' 2일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7월 29일 현재 서울 종로구와 중구는 9일 연속 열대야가 이어지고 있지만, 산지 비중이 높은 노원·은평구는 단 2일에 그쳤다. 도봉·강북구 역시 3~4일 수준으로, 같은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 ‘밤더위 체감’이 극명하게 갈리고 있다. 이 현상의 핵심 배경은 바로 ‘도시 열섬 효과’(Urban Heat Island)다. 열대야는 밤사이(오후 6시~익일 오전 9시) 최저기온이 25℃ 이상을 기록하는 밤을 의미하며, 보통 아스팔트·빌딩 밀집 등 인공 열발산이 많은 도심일수록 기록이 두드러진다. 28일 밤, 서울 도심에서는 최저기온이 28.8℃에 달해 9일째 열대야가 관측됐다. 이는 2018년 7월(29.2℃) 당시와 거의 맞먹는 극한 수치다. 반면, 은평구(24.3℃)·관악구(24.6℃) 등 외곽 산지구역은 밤기온이 뚝 떨어지며 열대야 일수가 크게 줄었다. 실제로 도시 중심 영등포구의 밤 최저기온이 외곽보다 최대 4.3도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기후 전문가들은 “서울 도심은 낮 동안 건물이 흡수한 열이 밤에 방출돼 기온 하락이 더뎌지고, 외곽 산지구는 녹지대 효과와 환기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기온이 빠르게 내려간다”고 분석한다. 행정구별

[랭킹연구소] “글로벌 미식권력의 이동", 2025년 세계 최고 레스토랑 TOP50…페루 '마이도' 1위, 한국 ‘밍글스’ 29위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세계 최고 미식의 현장, 그 지각 변동은 결국 식탁 위에서 시작된다.” 2025년 6월 1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최된 ‘월드 베스트 레스토랑 50’(W50B) 발표식에서, 페루 리마의 ‘마이도(Maido)’가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으로 선정됐다. 이 순위는 28개 글로벌 지역, 각 40명(셰프·저널리스트·외식산업가 등)으로 구성된 전 세계 1120명의 셰프, 음식저널리스트, 미식 비즈니스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아카데미의 익명 다중 투표로 결정되며, 결과는 딜로이트(Deloitte)에서 외부감사까지 진행한다. 그래서 글로벌 미식 트렌드의 바로미터로 평가받는다. “마이도(Maido): 니케이의 정점, 글로벌 미식 트렌드를 말하다” 1위 영예를 안은 ‘마이도’의 오너셰프 미쓰하루 쓰무라는 일본계 페루 이민 4대손으로, 일본 조리 기술과 페루 현지 재료를 결합해 ‘니케이(Nikkei) 요리’라는 독창적 미식 세계를 구축했다. 쓰무라는 “인류와 환경의 지속가능성, 로컬과 글로벌의 조화가 새로운 미식 패러다임”이라고 강조했다. 2025 주요 트렌드 및 특징 올해 1위 ‘마이도’를 포함해 페루 리마가 단숨에 미식의 새로운 메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