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랭킹연구소] 국내기업 AI 경쟁력 순위 TOP10…삼성·네이버·LG·크래프톤·KT·쿠팡·현대차·삼성SDS·SKT·스트라드비젼 順

삼성·네이버·LG, 국내 ‘AI 경쟁력’ 톱3…글로벌 빅테크 대비 아직‘걸음마’ 수준
삼성전자, 특허·논문·인력 평가지표에서 국내 AI 경쟁력 1위
네이버 ‘논문’·LG ‘특허’ 강점…삼성과 ‘3강 체제’ 구축
업종별로는 네이버·KT·크래프톤·카뱅·루닛 등이 주도
CEO스코어, 국내 주요 기업 AI 경쟁력 종합 평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AI(인공지능) 관련 특허, 논문, 인력 등 전 부문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보이며, 독보적인 AI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에 이어 네이버와 LG도 AI와 관련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국내 기업들도 구글·MS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서는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 기업은 물론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정책지원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범국가적으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프로젝트들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국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마련됐다. CEO스코어에서는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누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 평가를 진행했다. 항목별 1위 기업의 수치를 100점으로 환산, 나머지 기업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점수를 매겼다.

 

조사 결과, 국내 기업 중에서는 글로벌 기업인 삼성전자가 각 부문에서 600점 만점을 기록하며 종합 1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특허 등록 1079건, 특허 피인용 1347회, 논문 등재 59건, 논문 인용 315회, AI 기술인력 5만872명, AI 전공인력 2만8058명 등 조사 대상 각 항목에서 최상위권의 성과를 기록했다.

 

2위는 국내 인터넷 대표기업인 네이버가 차지했다. 네이버는 논문 등재(25건)와 인용(247회) 등 학술 부문에서 강점을 보이며, 국내 최고 수준의 AI 연구 역량을 증명했다. 3위에 오른 LG는 특허(등록 400건, 피인용 529회)와 논문(19건) 모두에서 탄탄한 경쟁력을 입증했다. LG의 경우, LG그룹내 AI 연구를 총괄하는 LG AI연구원과 사업을 담당하는 LG전자의 역량을 합산해 평가했다.

 

이들 세 기업의 뒤를 이어 K-게임 대표주자인 크래프톤를 비롯해 KT, 쿠팡, 현대차, 삼성SDS, SK텔레콤, 스트라드비젼 등이 AI 경쟁력 10위권 내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업종별 AI 경쟁력을 비교한 결과, 해당 업종내에서도 AI 경쟁력이 높은 기업과 낮은 기업간 우열이 확연히 드러났다.  

 

우선, 글로벌 기업들이 포진한 제조업 분야의 경우, 반도체·스마트폰·가전 등 관련사업 전 부문에서 AI 기술투자 비중이 높아은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AI 경쟁력을 선보였다. 이어 글로벌 가전 메이커인 LG가 특허, 논문 등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고, AI 기술 및 전공 인력 수에서도 각각 7958명, 3006명을 기록하며 2위를 기록했다.

 

또한 세계 3대 자동차 메이커로 부상한 현대자동차는 특허 156건(피인용 82회)과 함께 세계 3대 AI 학회에 AI 관련 논문 1편을 등재하고, AI 기술 및 전공 인력은 각각 2609명, 779명으로 조사됐다.

 

인터넷·플랫폼 업종에서는 네이버가 독보적인 학술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1위를 차지했다. 네이버는 글로벌 AI 학회에 논문 25편을 등재하고 247회의 인용을 기록하며 업종 내 가장 높은 학술 성과를 보였다. 또한 AI 관련 특허는 204건을 등록했고, AI 기술인력 2113명, 전공인력 838명을 보유해 국내 최대 규모의 맨 파워를 확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최대 커머스 업체인 쿠팡도 5434명에 달하는 방대한 AI 기술 인력을 확보하며 관련업종에서 2위를 기록했지만, AI 관련 논문은 4편(인용 13회)에 그쳐 연구 역량은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이외에도 카카오가 특허 41건, 논문 1편, AI 기술인력 991명을 보유했지만, 네이버, 쿠팡과는 큰 격차를 보였다.

 

AI 신사업 발굴에 한창인 통신 3사중에서는 KT가 특허 80건(피인용 94회), 논문 3편(인용 58회) 등 각 항목에서 고른 성과를 보이며 선두를 차지했다. 또한 SK텔레콤은 특허 등록( 101건)과 AI 기술 인력(1358명), AI 전공 인력(508명) 항목에서 KT에 앞섰으나, 세계 3대 학회 등재 논문은 없었다. LG유플러스는 특허 45건(피인용 14회)과 논문 1편으로, 경쟁사인 SKT·KT와 비교해 AI 경쟁력에서 큰 격차를 보였다.

 

 

또한 SW·IT 업종에서는 삼성SDS가 4572명의 두터운 기술 인력을 바탕으로 업계 1위를 차지했고, AI 운영 자동화 스타트업 딥오토는 글로벌 학회에 등재한 논문 2건이 36회 인용되면서 학술 분야에서 강점을 보였다. 이외에도 AI 영상 인식 SW 스타트업인 스트라드비젼은 특허 145건(피인용 68회)을 등록하며 기술력을 검증 받았다.

 

AI 투자가 한창인 국내 게임 업체중에서는 크래프톤이 논문 12편(인용 64회)을 등재하며 업계 내 독보적인 연구 역량을 증명했고, 엔씨소프트도 특허 19건(피인용 21회)으로 기술력을 과시했다.

 

이외에도 바이오·헬스케어 업종에서는 루닛(특허 54건·피인용 57회)과 뷰노(특허 59건·피인용 80회)가 특허 경쟁력을 주도했고, 에이아이트릭스는 논문 10편(인용 2회)을 등재하며 학술 분야에서 강점을 보였다. 특히 루닛은 AI 기술·전공인력 규모가 650명 수준으로 바이오 업계에서 AI 대표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금융업계 1위인 카카오뱅크는 특허 41건(피인용 19회)과 373명의 기술 인력을 확보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만, 국내 기업들이 AI 기술력 및 전문인력 확보에 큰 공을 들이고 있음에도 글로벌 시장에서의 AI 경쟁력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수를 조사한 결과, 알파벳(구글)이 820건으로 1위를 차지한 것을 비롯해 마이크로소프트(414건), 메타(385건), 아마존(273건) 등 미국 빅테크들이 대거 상위권에 포진했다. 국내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59건·12위), 네이버(25건·30위), LG(19건· 40위) 등 3개사만이 상위 5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논문 인용 수 기준으로는 격차가 더욱 벌어져 삼성전자(39위)와 네이버(47위)만이 세계 50위권에 포함됐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국내기업 AI 경쟁력 순위 TOP10…삼성·네이버·LG·크래프톤·KT·쿠팡·현대차·삼성SDS·SKT·스트라드비젼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삼성전자가 국내 기업 중 AI(인공지능) 관련 특허, 논문, 인력 등 전 부문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보이며, 독보적인 AI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에 이어 네이버와 LG도 AI와 관련한 지속적인 투자와 지원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이들 국내 기업들도 구글·MS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서는 크게 뒤처지는 것으로 나타나, 개별 기업은 물론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투자와 정책지원 등이 절실한 실정이다. 10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AI 관련 특허와 논문 실적 상위 191개 기업을 대상으로 AI 경쟁력을 종합 평가한 결과, 삼성전자가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이번 조사는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범국가적으로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프로젝트들이 전개되는 상황에서 국내 주요 기업의 AI 경쟁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마련됐다. CEO스코어에서는 주요 기업의 ▲기술력(특허 피인용) ▲특허 활동(특허 등록 수) ▲학술 활동(세계 3대 AI 학회 논문 등재 수) ▲연구 영향력(논문 인용 수) ▲AI 기술인력 ▲AI 전공인력 등 총 6개 부문으로 나누어, 주요

[이슈&논란] 월가 스타 분석가 댄 아이브스, 올트먼의 ‘월드코인’에 베팅…에잇코 홀딩스 주가 하루 새 30배 이상 폭등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최근 월가의 대표 기술주 분석가 댄 아이브스가 오픈AI 샘 올트먼 CEO가 추진하는 바이오메트릭 기반 가상화폐 프로젝트 ‘월드코인(Worldcoin)’에 대규모 투자를 단행하며 금융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아이브스는 나스닥 상장 소규모 기업 에잇코 홀딩스(Eightco Holdings)의 이사회 의장으로 취임했고, 이 기업은 2억5000만 달러 규모의 사모 유상증자를 통해 월드코인을 주요 재무자산으로 매입하는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번 소식이 알려진 직후 월드코인 가격은 40~50% 급등했고, 에잇코 홀딩스 주가는 전일 종가 1.45달러에서 하루 사이 60달러 안팎으로 약 30배 폭등(최고 5700% 이상)하며 투자자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입증했다. 댄 아이브스는 애플, 엔비디아, 테슬라 등 주요 기술주에 대한 권위 있는 분석가로, 이번 월드코인 베팅을 통해 AI 기반 신원 인증의 미래 표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CNBC 인터뷰에서 "이는 단순한 토큰 투자 전략을 넘어 AI 혁명에서 인간 인증을 위한 핵심 인프라"라며 "AI 대규모 언어 모델 구축에도 불구하고 진짜 인간을 식별하는 인증 체계 없이는 AI 성장이 제약될 수

[빅테크칼럼] 구글, 법정에서 '오픈웹 빠르게 쇠퇴' 인정…데이터로 본 점유율·트래픽·규제 압박 '빨간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구글은 최고 경영진이 수개월간 내놓았던 공개 입장과 모순되는 놀라운 시인을 했다. 9월 5일(현지시간) 늦게 제출된 법원 서류에서, 구글은 "오픈 웹이 이미 빠르게 쇠퇴하고 있다"고 공식 인정했다. 이는 지난 수개월간 임원진이 줄곧 외쳐온 '웹 생태계 번창' 담론과 정면으로 충돌하는 영상적 전환점이 도래했다는 분석이다. seroundtable, press Gazette, Webpronews에 따르면, 구글의 법적 대응 문서 5페이지에는 "사실 오늘날 오픈 웹은 이미 급격히 쇠퇴하고 있으며, 원고 측의 매각 제안은 그 쇠퇴를 가속화해 현재 오픈 웹 디스플레이 광고 수익에 의존하는 퍼블리셔들에게 해가 될 것입니다"고 명시됐다. 법정 진술과 임원진 발언의 모순 구글은 미국 법무부의 광고기술 매각 요구에 반박하며, "오픈 웹은 이미 급격히 쇠퇴하고 있고 매각 강제 조치는 웹 악화만 가속화할 것"이라고 서류에 명시했다. 반면, 2025년 5월 순다르 피차이 CEO는 "구글이 지난 2년간 웹페이지 크롤링량이 45% 증가했다"고 밝히며 "웹은 사라지지 않고 확장 중"이라 했다. 구글 검색 담당 부사장 닉 폭스 역시 "웹은 번성 중"이라고 자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