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4년 국내 항공업계의 안전투자 총액은 6조1769억원으로 전년 대비 5.7% 증가했다.
국토교통부는 8월 29일 올해 국내 항공운송사업자 16개사와 공항운영자 2개사의 안전투자 실적을 집계한 결과를 발표했다. 2023년 5조8445억원 대비 3324억원이 늘어난 규모다.
대형항공사(FSC) 가운데 대한항공은 3조2244억원(15.5%↑)으로 안전투자 규모가 크게 증가한 반면, 아시아나항공은 1조4091억원(10.4%↓)으로 감소했다. 저비용항공사(LCC) 총 안전투자액은 1조2408억원으로 2.2% 증가한 가운데 제주항공과 에어부산만 투자가 빠졌다.
제주항공은 전년 대비 36.5% 감소한 3135억원, 에어부산은 23.3% 줄어든 1759억원을 투자했다.
제주항공은 “2023년에 선제적 안전투자를 실시했고, 사전 정비비는 2.7% 증가했다”면서도 "보잉 B737-8 기종 도입으로 항공기 정비·수리, 엔진 임대 항목 투자가 줄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여객기 참사 여파가 안전 투자 감소와 맞물리면서 업계의 이례적 사례로 평가받는다.

투자 항목별로는 정비 비용이 3조6100억원(23%↑)으로 전체 투자의 61.4%를 차지했으며, 사전 정비에 3조1200억원, 사후 정비에 4900억원이 투입됐다. 엔진 및 부품 구매는 1조5700억원으로 18.9% 증가했지만 20년 이상 된 노후 항공기 교체 비용은 5347억원으로 55.1% 감소했다. 실제로 2023년 교체된 노후 항공기는 14대에서 4대로 줄었다.
새롭게 도입된 지표 ‘1만 운항당 투자액’에서는 에어프레미아가 2499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다. 대한항공(1739억원), 아시아나항공(1232억원)이 뒤를 이었으며, 에어서울(503억원), 티웨이항공(365억원), 제주항공(290억원)이 그 뒤를 이었다.
국토교통부는 저기령 항공기 도입과 항공정비사뿐 아니라 운항·객실승무원, 운항 관리 등의 안전 관련 인건비 인정 범위 확대도 추진 중이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안전투자 공시를 통해 각 항공사가 선제적 안전 개선 및 투자에 나서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