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5년 상반기 한국의 출생아 수가 44년 만에 최대 증가율을 기록하며 저출생 극복에 대한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통계청이 8월 27일 발표한 '2025년 6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1~6월 누적 출생아 수는 12만600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8721명) 증가했다. 이는 1981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6월 한 달 동안에도 1만9953명이 태어나 전년 동월 대비 9.4% 증가하며 12개월 연속 출생아 수 증가세를 이어갔다. 월별 출생아 수는 2021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합계출산율 역시 6월 기준 0.76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0.06명 상승했다. 특히 30대 여성의 출산율 증가가 두드러졌는데 35~39세 여성의 출산율은 5.7명, 30~34세는 3.7명 증가했다. 반면 24세 이하 연령층은 출산율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출생통계에서는 혼외 출생아 비율이 5.8%로 역대 처음 5%를 넘어섰다. 법적 혼인 관계가 아닌 상태에서 태어난 출생아 수는 1만3800명으로 4년 연속 증가세를 지속 중이다.
2017년 1.9%에 불과했던 혼외 출생 비율은 2018년 이후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며 2023년 4.7%, 2024년에는 5.8%까지 급증했다. 이러한 변화는 결혼을 출산의 필수 전제조건으로 여기지 않는 사회 인식 변화와 맞닿아 있다.
박현정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결혼하지 않아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는 긍정적인 응답 비율이 2008년 21.5%에서 2024년 37.2%로 크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출생아 수 증가에는 1991~1995년생 ‘에코붐 세대’의 결혼 적령기 진입과 혼인 건수 증가가 큰 영향을 미쳤다. 6월 혼인 건수는 1만8487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9.1% 증가하며 15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상반기 누적 혼인 건수 역시 11만7873건으로 201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장려 정책이 혼인과 출산률 상승에 일정 부분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
예컨대 대전시는 결혼 지원금 500만원을 지원하며 혼인 건수 증가에 긍정적 영향을 끼쳤다는 통계가 확인됐다. 정부 차원에서도 부모급여 신설, 보호출산제, 출생통보제 도입, 기업의 출산 장려금 비과세 혜택 부여 등 다양한 정책이 출산율 반등에 복합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그러나 출생아 수 증가와 무관하게 인구 자연감소는 여전하다. 2분기 사망자는 8만4565명으로 전년 대비 609명 증가했고, 상반기 인구 자연감소 규모는 5만9460명에 달한다. 출생아 수가 12개월째 증가세임에도 인구 감소세를 완전히 뒤집지 못하는 현실이 남아 있다.
결국 2025년 상반기 출생아 수 증가와 혼외 출생 비율 상승, 30대 여성 출산율 확대, 혼인 건수 증가 및 정책 효과 등 복합적 요인이 만나 저출생 현상에 일시적 반전을 만든 것으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지속되어 2년 연속 출생아 수 증가세 확대와 저출생 터널 탈출의 실마리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