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6 (일)

  • 맑음동두천 17.2℃
  • 맑음강릉 21.3℃
  • 맑음서울 17.4℃
  • 맑음대전 19.9℃
  • 맑음대구 19.2℃
  • 구름조금울산 19.3℃
  • 구름많음광주 19.5℃
  • 구름조금부산 19.7℃
  • 구름조금고창 19.1℃
  • 구름조금제주 20.9℃
  • 구름조금강화 15.1℃
  • 맑음보은 18.4℃
  • 구름조금금산 19.7℃
  • 구름많음강진군 19.4℃
  • 구름많음경주시 20.7℃
  • 맑음거제 18.0℃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CEO혜윰] ‘440억 장관’ 한성숙, 스톡옵션 258억·부동산101억·주식 41억…역대 최고 부자 장관 '예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네이버 대표 출신의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가 신고한 재산이 44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나, 역대 장관 중 ‘최고 부자’ 타이틀을 차지할 전망이다. 이는 1993년 문민정부 출범 이후 장관급 인사 중 최대 규모로, IT업계의 유리천장을 깬 여성 리더의 ‘자산 파워’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신고 재산 182억…스톡옵션·RSU 포함시 440억원대


한 후보자는 국회에 제출한 인사청문 요청안에서 본인 명의 재산 182억1419만원을 신고했다. 여기에 모친의 재산(5억9843만원)까지 더하면 총 188억1262만원이다.

 

이 가운데 공식 재산 신고에 포함되지 않은 네이버 스톡옵션(254억4000만원)과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4억3996만원)을 합산하면, 총 재산은 440억9415만원에 이른다.

 

이 같은 규모는 노무현 정부 당시 진대제 전 정보통신부 장관(2006년, 165억8000만원)보다도 크게 앞선 수치다.

 

네이버·테슬라 등 빅테크 주식 ‘집중 투자’


한 후보자가 보유한 주식 자산(약 40억7808만원)의 절반 이상은 네이버 주식(23억원)이며, 테슬라(10억3423만원), 애플(2억4668만원), 팔란티어(1억1113만원), 엔비디아(9200만원) 등 미국 대표 테크 기업 주식이 상당 비중을 차지한다.

 

이와 같은 해외 주식 집중 투자는 IT업계 경영인의 글로벌 투자 성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부동산도 3주택+오피스텔+상가+토지…‘다주택’ 논란 가능성

 

한 후보자는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27.4억), 종로구 삼청동 단독주택(15억), 경기 양평군 양서면 단독주택(6.3억) 등 3주택자이며, 강남구 역삼동 오피스텔(20.7억), 종로구 연건동 근린생활시설(14억), 경기 양평군·양주시 일대 토지 등도 소유하고 있다.

 

본인 명의 토지 가액만 36억8203만원, 아파트·단독주택은 97억3463만원에 달한다.

 

 

가상자산·금·자동차 등 ‘다각화된 자산 포트폴리오’


한 후보자는 비트코인(1503만원), 이더리움(466만원) 등 가상자산과 금(1100만원), 2015년식 벤츠 GLK220, 2011년식 기아 스포티지 등도 보유했다. IT업계 출신답게 신기술 기반 자산에도 투자를 이어온 것으로 보인다.

 

‘백지신탁’ 논란 및 과거 벌금형 이력


공직자윤리법상 고위공직자가 직무 관련 주식을 3000만원 이상 보유할 경우 백지신탁 의무가 있다. 한 후보자가 네이버 등 직무 관련 주식을 어떻게 처리할지, 인사청문회에서 쟁점이 될 전망이다.

 

한편, 한 후보자는 2005년 엠파스 검색서비스본부장 재직 시절 정보통신망법상 음란물 유포 혐의로 벌금 1000만원과 몰수형을 선고받은 전력이 있다. 이에 대해 중기부 측은 “청문회에서 소상히 설명하겠다”는 입장이다.

 

IT업계 ‘유리천장’ 깬 여성 리더…경력도 화려

 

1967년생인 한 후보자는 컴퓨터 전문지 민컴 기자로 사회생활을 시작, 1997년 엠파스 창립멤버, 2007년 NHN(현 네이버) 검색사업본부장, 2017년 네이버 최초 여성 CEO로 선임돼 5년간 대표를 역임했다.

 

국내 500대 기업 여성 임원 비율이 2.7%에 불과한 상황에서, 한 후보자는 IT업계의 ‘유리천장’을 실질적으로 깬 인물로 평가받는다.

 

‘슈퍼리치 장관’의 등장, 경제·산업계 파란 예고


한성숙 후보자는 네이버 스톡옵션 등 IT업계 경영인의 성공 보상, 글로벌 테크주 투자, 부동산 다각화 등으로 역대급 재산을 축적했다. 장관 임명 시 ‘최고 부자’ 타이틀과 함께, 직무 관련 주식 백지신탁, 다주택 논란, 과거 벌금형 등 다양한 이슈가 청문회 및 향후 정책 행보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이재용 8년 비상경영 끝내고 ‘뉴삼성’ M&A 속도전...글로벌 전장·AI·반도체 시장 주도권 공략 '잰걸음'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8년간 이어온 비상경영 체제를 마무리하고, 대형 인수합병(M&A)을 재가동하며 ‘뉴삼성’ 재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17년 하만 인수 이후 7년간 멈춰 있었던 대규모 M&A 활동을 올해부터 다시 적극 추진하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지난 11월 7일 임시 조직이던 사업지원TF를 상설 조직인 ‘사업지원실’로 격상했으며, 13일에는 전사적 M&A 전담팀을 신설하면서 중장기적인 투자와 사업 재편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사업지원실은 전략팀, 경영진단팀, 피플팀 등 3개 팀 체제에서 M&A팀이 추가되어 총 4개 팀 체제로 운영된다. M&A팀장은 2017년 약 80억 달러 규모 하만 인수를 이끌었던 안중현 사장이 맡아 신사업 개척과 글로벌 빅딜 추진을 총괄한다. 사업지원실장에는 재무·전략 전문가인 박학규 사장이 임명됐다. 그는 삼성전자 경영지원실장과 DS부문(반도체·디스플레이) 경영지원실장을 거친 기획과 운영 전문가로, 안정적인 비상경영 체제에서 공격적 변환과 확장을 설계하는 ‘뉴삼성’의 중심이 될 것으로 평가받는다. 반면 이 회장의 최측근으로 꼽히던 정현호 부회장은 회장 보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