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3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코넬大 물리학자 "우주가 200억년 후 붕괴" 예측…빅뱅으로 시작한 우주, 빅크런치로 종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코넬대학교의 물리학자 헨리 타이(Henry Tye) 교수는 최근 발표한 연구에서 우주가 약 200억년 후에 “빅 크런치(Big Crunch)”로 붕괴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빅 크런치는 우주가 현재 팽창하다가 최대 크기에 도달한 후 다시 수축해 하나의 점으로 붕괴되는 현상을 의미하며 이는 빅뱅으로 시작한 우주의 330억 년 수명의 종말을 뜻한다.

 

Cornell University Press Release, 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DESI), Phys.org, Popular Science, The Brighter Side News, Dark Energy Survey (DES), Yahoo News, CNN, UChicago News에 따르면, 타이 교수는 “지난 20년간 우주상수(cosmological constant)가 양수여서 우주가 영원히 팽창할 것이라는 과학적 합의가 있었으나, 최근 두 개의 주요 암흑에너지 관측소인 칠레의 암흑 에너지 조사(Dark Energy Survey, DES)와 애리조나의 암흑 에너지 분광 장치(Dark Energy Spectroscopic Instrument, DESI)에서 나온 새로운 데이터를 우주론 모델에 추가한 결과 우주상수가 음수로 전환되어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고 전했다.

 

이 모델에서 우주는 현재 138억년이 지났으며 앞으로 약 110억년 후에 최대 크기에 도달하게 되고 이후부터 수축을 시작해 결국 330억년의 전체 수명이 끝나는 시점에 빅 크런치가 발생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를 가능케 하는 가상의 저질량 입자를 도입해 초기에는 우주상수 역할을 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 역할이 사라져 우주상수가 음의 값을 가지게 된 것으로 설명한다.

 

특히 암흑에너지에 관한 최근 데이터는 그 특성이 일정한 우주상수가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는 양상임을 보여준다. DESI는 3년간 약 1500만개의 은하와 퀘이사를 분석해 암흑에너지가 일정한 힘이 아니라 점차 약화되는 움직임을 국제적으로 발표했으며 이번 데이터는 이전보다 더 강력한 진화하는 암흑에너지 증거를 제공한다.

 

암흑에너지는 우주 팽창을 가속시키는 미지의 힘으로, 전체 우주 질량과 에너지의 약 68%를 차지한다. 그 진화 가능성은 기존 우주론의 표준 모델을 뒤흔들고 있으며, DESI 발표에 따르면 진화하는 암흑에너지가 일정한 우주상수 모델보다 99.995%의 유의미성을 가지고 있다.

 

이번 발견은 우주의 미래를 상상하는 데 있어 중대한 전환점으로 보인다. 타이 교수는 “우주가 번성할 절정을 지나 이미 수명의 중간점에 가까워지고 있다”며, “우주가 결국은 하나의 점으로 붕괴한다면 이는 시간과 공간의 근본적 재구성을 의미하는 대격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연구는 여전히 이론적 한계와 관측 데이터의 불확실성을 내포하고 있으나, 여러 독립적인 관측 결과가 점차 일치한다는 점에서 과학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SI와 DES 등 주요 관측 프로젝트들은 앞으로도 더 많은 데이터를 수집하며 우주의 운명을 밝히는 추가 연구를 이어갈 예정이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17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 "고추장 다 떨어져, 우주에선 빨래 못해"…ISS 인터뷰에서 누리호 4차 발사 응원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소속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우주항공청 주최로 국내 최초 실시간 인터뷰를 갖고, 11월 예정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4차 발사를 힘차게 응원했다. 그는 한국 청소년들에게도 희망과 강인함을 갖고 도전을 이어가라고 격려했다. 조니 김은 1984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LA 출생으로, 미 해군 네이비씰 특수부대원 출신이며 하버드 의대 의사 출신으로 2017년 NASA 우주비행사로 선발됐다. 2025년 4월 ISS에 탑승해 약 8개월간 과학 조사와 기술 실험 임무를 수행하며 오는 12월 9일 귀환할 예정이다. 지난 9월 25일 우주항공청 공식 유튜브 채널 'KASA'에서 진행된 실시간 인터뷰에서는 윤영빈 우주항공청장과 직원 3명이 패널로 참여해 약 20분간 다양한 질문에 답했다. 이 자리에서 조니 김은 우주에서의 생활, 음식, 임무 내용을 소개하며 특히 “고추장 요리를 좋아하지만, 준비한 고추장은 다 떨어져 다음 보급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해 한국적 정서도 나타냈다. 옷 세탁이 불가능해 옷을 버리는 게 비용 효율적이라는 우주 생활 특성도 설명했다. 윤청장이 누리호 4차 발사 응원 메시

[이슈&논란] "승객 짐 안 싣고 이륙했다고?"…아시아나·에어로케이, 과태료 3천만원 부과 "국토부 엄정 처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국토교통부는 2025년 10월 2일, 항공사업법을 위반해 승객에 대한 정보 안내 의무를 소홀히 한 아시아나항공과 에어로케이 두 국적 항공사에 총 3000만원에 달하는 과태료를 부과했다. 아시아나항공에는 1200만원, 에어로케이에는 1800만원이 각각 부과됐다. 아시아나항공의 경우, 8월 8일부터 9일까지 인천발 미국 뉴욕행 항공편 3편에서 일부 위탁수하물을 싣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음에도, 이륙 3~4시간 전에 이를 인지하고도 승객에게는 항공기 이륙 후에야 문자로 안내했다. 당시 러시아 캄차카반도 화산 분화로 인한 화산재 영향으로 우회항로 운항과 안전 및 연료 문제 때문에 수하물 탑재량이 제한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승객 약 294명의 수하물이 미탑재됐다. 그러나 아시아나항공이 승객에게 보낸 문자에는 수하물 미탑재 사실과 도착 공항 문의 내용만 포함되어 있었고, 보상 계획이나 처리 절차 등 핵심 안내가 빠져 있어 항공교통 이용자 보호기준을 위반한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항공편당 400만원씩, 총 1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되었다. 에어로케이의 경우, 3월 30일부터 6월 17일 사이 9편의 항공편에서 지연이 예상되었음에도 승객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