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제주 해녀들이 물속에서 오래 참았던 숨을 ‘호오이—’ 하는 소리로 길게 내쉬는 것으로 숨비소리라고 한다.
이는 단순한 호흡 이상으로, 안도와 회복, 그리고 다음 바다로 들어갈 준비를 상징한다. 이 독특한 숨비소리는 물질이 끝나고 새로운 시작을 알리는 해녀들의 소중한 의식이며, 제주 어촌에서 가정의 생계를 책임지는 강인한 여성들의 삶과 연결된 생명의 울림이다.
숨비소리가 의미하는 것이 잠깐의 휴식과 생존을 위한 필수전략의 1차적 수단이라면, 2차적인 수단이 불턱이란 공간이다.
물질을 한 후 몸이 극도의 피로와 냉기에 지칠 때 해녀들은 ‘불턱’으로 향한다. 불턱은 해녀들이 돌담을 사각형이나 원형으로 쌓아 바람을 막고 불을 피워 몸을 녹이는 공간이다. 이 자연 속 ‘쉼터’는 단순한 휴식 공간을 넘어, 서로 안부를 묻고 오늘의 바다 이야기를 나누며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해녀들의 ‘사랑방’ 역할을 담당한다.

불턱의 철학적·문화적 의미는 제주 해녀문화의 핵심이다. 불턱은 위험하고 험난한 바다 작업 앞뒤에 마련된 생명의 공간이다. 또한 그 자체가 돌봄과 배려, 신뢰가 어우러진 공동체 정신의 상징이다.
한 해녀가 먼저 불을 지피고 다른 해녀들을 위한 따뜻한 환경을 만드는 행위는 자기희생과 연대의 리더십을 보여준다. ‘혼자 편해지려 하지 말라’는 불턱 문화는 해양 생태에 순응하며 서로의 안전과 지속가능한 삶터를 지키려는 제주 해녀들의 자발적 규제와 협동을 반영한다.
과학적으로도 해녀들의 숨비소리와 불턱에서의 휴식은 생리적·정신적 회복에 필수적이다. 해녀들은 반복적인 수중 활동과 장시간 숨 참기로 심박수를 분당 10회 수준까지 낮출 수 있는데, 이는 신체가 극한 상태에 적응하는 결과다.

숨비소리는 급격한 호흡 전환을 도우며, 불턱에서의 온기는 얼어붙은 몸을 녹이고 저체온과 만성 스트레스 해소를 돕는다. 불턱은 단순히 신체적 쉼터가 아니라 심리적 안정과 공동체 복원을 위한 공간으로 기능한다.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제주 해녀 문화에서 불턱은 공동체의 건강과 지속 가능성을 담보하는 ‘생활과학’이자 ‘생태철학’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생명을 걸고 바다와 맞서는 해녀들 사이의 숨비소리, 그리고 불턱의 돌담과 불꽃은 인간과 자연, 생존과 공동체가 조화롭게 공존하는 제주 해녀 문화의 살아있는 상징이다.
불턱 문화는 더 나아가 현대사회가 잊기 쉬운 배려·상생·연대의 가치 재발견을 촉구하는 문화적 메시지로까지 확대 해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