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사람들은 듣기보다 말하기를 더 좋아합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자신의 이야기를 하는 것을 즐기죠.
반대로, 남의 이야기를 들어보라 하면 처음엔 잘 듣는 것 같다가도 금세 다른 생각을 하거나 딴청을 피우며 먼 산을 바라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일까요? 단지 두 귀로 듣고만 있어도 상대방에 대한 존중인데 말이죠.
말처럼 쉬워 보이지만, 진짜 ‘듣는 일’은 결코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일까요? 나이가 들수록 ‘말을 아끼고 입을 닫으라’는 말이 더 절실하게 다가옵니다. 세상의 많은 화(禍)는 결국 입(口)에서 비롯되니까요.
여러분에게 ‘듣기’란 어떤 의미인가요?
사실, 코칭의 시작과 끝은 결국 ‘경청’입니다.
내가 아닌 상대의 입장에서 이해하려는 마음, 그리고 그 마음을 담은 고갯짓 하나만으로도, 상대방은 고마움을 느끼고 마음을 엽니다.
이번 글에서는 ‘듣기’의 개념을 조금 더 확장해 보려 합니다.
◆ 아부적 경청:
‘칭찬은 고래를 춤추게 만든다’는 말, 들어보셨죠? 긍정적 피드백은 변화의 시작입니다.
우선, 시선을 상대방에게 고정합니다.몸도 살짝 그쪽을 향하고, 두 귀는 오롯이 그 상황에 집중합니다. 그리고 상대의 말에 적극적으로 반응합니다.
“아, 그러시군요~ 정말 대단하십니다. 진짜 맞는 말씀 같아요. 너무 멋지세요!”
어딘가 어색하고 뻘쭘하다고요? 분위기를 망칠까 걱정된다고요? 한 번 해보세요. 생각보다 훨씬 자연스럽고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걸 깨닫게 되실 겁니다.
코칭에서는 이를 ‘아부적 경청’이라 부릅니다. 국어사전에 ‘아부’는 ‘남의 비위를 맞추며 알랑거림’이라 되어 있지만, 우리는 이를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고 공감해 주는 것’으로 긍정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경청이 더해진다면? 그 자체로 관계의 시너지가 만들어집니다.
◆ 입으로 듣기:
다소 반어적으로 들릴 수 있지만, ‘입으로 듣는다는 것’은 곧 호응의 기술입니다.
상대의 말에 “맞아요”, “그렇군요”, “정말요?” 같은 추임새를 넣는 것, 그리고 고개를 끄덕이고, 박수를 치며 함께 반응하는 것.
이 모든 것이 ‘입으로 듣는’ 경청입니다.
사람은 누구나 자신의 이야기에 공감하고 지지해 주는 누군가를 원합니다. 그래서 이 방식은 단순하면서도 강력한 경청의 도구가 됩니다.
<case study> “제 이야기를 너무 안 들어주세요… 그게 화나요” / ‘아까비 부장’과 박 과장의 이야기
박 과장은 아이디어가 넘치고 기획력도 훌륭한 팀의 에너자이저입니다.
하지만 유독 아 부장 앞에서는 말을 아끼고 자신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왜 그럴까요?
“아 부장님은 정말 대단하세요. 실행력도 좋고, 안 되는 일도 밀어붙여 결국 결과를 만드시거든요. 하지만 제 아이디어도 들어주시고 함께 고민해 주신다면 저도 더 신명 날 텐데… 너무 아쉬워요. 듣고는 계신다는데, 그냥 무시당하는 느낌이에요.”
경청은 돈이 드는 것도, 특별한 기술이 필요한 것도 아닙니다. 그저 ‘마음을 여는 기술’일 뿐이죠. 상대방의 말을 들어주고, 고개를 끄덕이고, 반응해 주는 것.
이 단순한 경청이야말로, 상대의 마음을 얻고 결국 내 편으로 만드는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
이제, 정말 잘 들을 준비 되셨나요?
과묵도 좋고, 침묵도 미덕일 수 있지만
적극적인 경청으로 한 걸음 더 성장해 보는 건 어떨까요?…(to be continued)
*칼럼니스트 ‘올림’은 건설, 자동차, 엔터테인먼트, 식음료, 소재·화학, IT 등 다양한 업계를 거쳐온 홍보 전문가입니다. 현재는 다음 길을 준비하며 ‘코칭’이라는 새세계에 성실히 입문한 ‘영원한 현역’을 꿈꾸는 미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