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0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AtoZ] 사막 미생물, 화성 산소 생산의 '숨은 영웅' 부상…바이오페인트부터 MOXIE 동반자까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구에서 가장 혹독한 사막 환경을 견디는 극한미생물인 남세균(시아노박테리아) 크로코시디오프시스(Chroococcidiopsis)가 인간의 화성 거주를 위한 산소 생산에서 혁신적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 남세균은 대부분의 생명체가 죽을 수 있는 조건에서도 생존하며 필수적인 산소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Billi D. et al., Acta Astronautica, 나사 MOXIE 프로젝트, Surrey University, Microbiology Spectrum, Frontiers in Microbiology, ScienceAlert, Phys.org에 따르면, 로마 토르베르가타 대학교의 다니엘라 빌리를 포함한 과학자들은 흔히 '크루(chroo)'로 불리는 크로코시디오프시스(Chroococcidiopsis)가 우주의 진공, 화성과 유사한 대기 조건, 강력한 우주 방사선에도 견디며, 혹독한 환경속에서도 광합성을 통해 산소를 안정적으로 생산하는 능력을 보유, 화성 식민지 구축의 핵심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밝혔다.

 

화성 대기의 이산화탄소와 토양만을 사용해 산소를 만드는 크로코시디오프시스는 미항공우주국(나사)의 퍼서비어런스 로버가 운영하는 MOXIE 실험기술과 달리, 생물학적 시스템으로서 최소한의 기술 인프라로 산소를 생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별도 보완재 역할이 기대된다. MOXIE는 2021년 착륙 이후 총 122그램 산소를 생산하는 성과를 냈으며 한 시간당 최대 12그램을 만들어내 98% 이상의 순도를 달성했다.

 

게다가 최근 영국 서리대 연구진은 크로코시디오프시스 쿠바나를 활용한 ‘그린 리빙 페인트(Green Living Paint)’를 개발해, 하루마다 생명체의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일정량 생산하며 이산화탄소 흡수도 가능하다는 결과를 내놓았다. 1kg의 생명 페인트는 최대 400g의 산소를 산출하고, 이에 따라 화성 거주지 내의 산소 운송 부담을 줄이는데 기여할 가능성이 있다.

 

이 박테리아가 보여준 또 다른 강점은 극한 환경 내성이다. 인간 치명량의 2400배나 되는 24kGy의 감마방사선을 견디는 한편, -80℃까지 내려가는 지구 밖 극저온 환경에서도 휴면 상태에 들어가 생존할 수 있다. 또한 화성 토양 내 고농도 퍼클로레이트 독성 성분에 대해서도 DNA 수복 유전자를 활성화해 독성 피해를 극복하며, 우주 실험(BIOMEX, BOSS)에서 18개월간 우주 방사선과 우주 진공 환경에 노출되어도 유전체에 손상이 적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과학계에서는 크로코시디오프시스가 화성 탐사와 장기적인 인류 정착을 위한 ‘개척종’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나사 MOXIE 기술과 생물학적 산소 생산 기술이 병행돼 하이브리드 방식의 지속 가능한 산소 공급체계 구축 가능성도 제시되고 있다.

 

인간의 삶에 필요한 방대한 산소 생산량(1년간 약 500톤)에 단독으로 도달하기는 어렵지만, 이 극한미생물의 산소 생산은 귀중한 ‘현지 생산’ 자원이 될 전망이다.

 

이처럼 크로코시디오프시스는 화성의 거친 환경에서 살아남으면서 광합성을 통한 산소 공급과 독성 물질 대응 능력을 갖춘 미래 우주생물학의 핵심 자원으로 떠오르고 있다. 차세대 화성 탐사에서 생물학과 기술이 결합한 혁신적인 생명 유지 시스템 구축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주목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32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중국 톈궁 우주정거장 선저우-20 승무원, 뇌 연구 수행…"미세중력이 인간 신경기능 미치는 영향" 연구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9월 9일(현지시간), 중국 톈궁 우주정거장에 탑승한 선저우-20 우주비행사 천동, 천중루이, 왕지로 구성된 3인 승무원은 다양한 달 분야에 걸친 첨단 우주 과학 실험을 지속적으로 진행 중이다. 중국 신화통신 및 안후이뉴스, 광명망에 따르면, 우주 의학 분야에서는 뇌파(EEG) 장비를 사용해 상하 시야 연구, 집행 기능 훈련, 그리고 탐색적 활용 연구를 포함한 신경학적 실험을 수행해, 미세중력 환경이 인간 신경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밀하게 관찰하고 있다. 최근에는 시선 추적 장치와 특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미세중력이 인간의 관계 인지 및 장기 궤도 비행 시 AI 보조자에 대한 신뢰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혁신적 실험도 진행했다. 더불어, 혈관 초음파 검사를 통해 무중력 상태에서 인체 순환계의 혈류 패턴 변화를 장기간 관찰하며, 심혈관계 적응 메커니즘을 심층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는 다양한 시간대에 걸친 인체 주요 기관의 형태학적, 혈류역학적, 기능적 지표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우주 환경이 인간 생리계에 미치는 복합적 영향을 이해하는 데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인간-요인 기술 연구

[이슈&논란] 추석 항공대란 현실화 임박…전국 15개 공항노동자 19일 첫 총파업 돌입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오는 9월 19일부터 추석 연휴까지 인천국제공항과 김포공항 등 전국 15개 주요 공항 자회사 노동자들이 참여하는 ‘전국공항노동자연대’가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이다. 이번 파업은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인천공항지역지부와 전국공항노동조합 두 노조가 함께 진행하는 첫 총파업으로, 약 1만5000명의 노동자가 참여한다. 노조 측은 인천공항 3조 2교대 근무를 4조 2교대로 전환하고, 인천공항 4단계 확장에 따른 필요 인력 충원, 그리고 전국 공항 자회사 노동자들의 불이익 개선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 현재 하청 형태의 자회사 소속인 이들은 활주로 및 청사 유지·보수, 소방, 전기 설비 관리 업무를 담당 중이며 근무 환경과 노동 강도 문제로 심각한 피로 누적과 안전 사고 위험도 계속 제기되고 있다. 올해만 7차례의 산재 사고가 발생했으며, 최근에는 작업 중 노동자가 사망하는 사고도 있었다. 이번 총파업은 추석 연휴 국내 최대 이동 기간에 맞물려 항공 운항에 큰 차질을 빚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 설 연휴 당시에도 파업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전국 공항에서 3시간에서 최대 8시간에 이르는 항공 지연이 발생했으며, 이번 파업은 전체 공항 자회사 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