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4 (금)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내궁내정] 죽음을 칭하는 단어 25개 이상 "존칭·종교·시대의식까지"…죽음의 단어 속뜻과 죽음을 높이는 이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우리말에는 ‘죽음’을 뜻하는 단어가 유난히 많다. 일상적으로 쓰이는 ‘죽음’, ‘사망’ 외에도, 높임말로 ‘별세’, ‘작고’, ‘영면’, ‘서거’, ‘타계’ 등이 존재한다. 게다가 이 가운데 ‘사망’을 빼면 대부분 죽음을 높인다.

 

각 단어 역시 쓰임새와 뉘앙스가 미묘하게 다르다. 죽음을 뜻하는 단어의 속뜻과 이렇게 죽음을 높이는 이유를 알아봤다.

 

 

죽음을 이르는 단어, 25개 이상

 

별세(別世)는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 작고(作故)는 고인이 되었다, 영면(永眠)은 영원히 잠들다, 서거(逝去)는 죽어서 세상을 떠남(특히 지위가 높은 이에게 사용), 타계(他界)는 인간계를 떠나 다른 세계로 갔음, 특히 귀인(貴人)의 죽음의 표현이 있다. 심지어 죽음을 뜻하는 단어에도 서열이 있다. 죽음, 사망, 작고, 타계, 서거 순으로 계급이 높아진다.

 

일상에서도 죽음은 높이거나 에둘러진다. ‘숨지다’ ‘돌아가시다’ ‘고인이 되다’ ‘영원히 잠든다’라고 한다. ‘운명(殞命)하다’도 ‘목숨이 끊어지다’의 의미다. 그러니 ‘운명을 달리하다’는 어색하다. ‘달리하다’는 ‘유명(幽明, 이승과 저승)’과 어울린다. 즉 "그는 끝내 유명을 달리했다”라고 쓰야한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2020년 1월 21일 자신이 기르던 반려동물의 죽음에 대해 “작고하셨다”고 말했는데, 작고란 말 속에 ‘사람의 죽음’이란 의미가 있기 때문에 반려동물에 사용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

 

 

종교계에서는 죽음을 달리 표현한다.

 

불교에서는 ‘입적(入寂, 고요한 상태로 들어간다)’ 또는 ‘열반(涅槃, 번뇌나 고뇌가 없어진 상태)’, 개신교는 ‘소천(召天, 하늘의 부름을 받아 돌아간다)’, 가톨릭은 ‘선종(善終,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죽는 일)’, 천도교는 ‘환원(還元, 근본으로 돌아간다)’을 쓴다.

 

나라의 가장 큰 어른, 임금의 죽음에는 더욱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붕어(崩御), 붕서(崩逝), 상빈(上賓), 안가(晏駕), 천붕(天崩), 승하(昇遐) 등으로 백성들의 죽음과 구분해 말했다.

 

국가를 위한 죽음에는 ‘전사’, ‘순국’, ‘순교’ 등이, 사고사에는 ‘횡사’, ‘객사’, '골로 가다' 등도 있다.

 

 

왜 이렇게 죽음 관련 단어가 많을까?

 

우리말에서 죽음을 표현하는 단어가 25가지가 넘는다는 사실은, 죽음에 대한 한국인의 미묘한 감정과 사회적 맥락, 그리고 관계의 깊이를 반영한다.

 

우선 유교적 전통과 가족 중심 사회에서, 윗사람이나 귀인을 높여 부르는 평소의 언어습관이 죽음의 표현에도 반영됐다는 분석이다. 임금, 양반, 상민이 있던 근대 신분제도 시대, 계급사회 타파전까지 언어로 사회적 질서를 드러냈다. 그때부터 내려온 유물로 신분, 계급에 따라 죽음도 달리 표현한 것이라 설명이다.

 

둘째 이유는 에둘러 말하기식 완곡의 화법이다. 죽음이라는 직접적이고 무거운 현실을 완곡하게, 혹은 간접적으로 표현하려는 심리가 다양한 단어를 만들어냈다고 분석한다. 죽음을 직접적으로 말하기보다, 돌려 말하거나, 높여 부름으로써 슬픔을 덜고 예를 갖추려는 문화가 자리잡았다.

 

셋째 다양한 종교적·사회적 맥락때문이다. 종교별로 죽음의 의미와 사후세계에 대한 관점이 다르다보니, 결국 종교의 세계관에 따라 각각의 용어가 따로 발전했다.

 

 

죽음에 대한 한국과 동양의 의식


한국, 더 나아가 동양의 죽음 의식에는 몇 가지 공통점이 있다.

 

첫째 죽음의 존엄성이다. 죽음을 단순한 끝이 아니라, 삶의 또 다른 단계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래서 ‘영면’, ‘환원’, ‘입적’처럼 ‘돌아감’, ‘잠듦’, ‘고요함’ 등으로 표현한다.

 

둘째는 관계의 연속성이다. 죽음 이후에도 조상과의 관계, 명예와 기억이 이어진다는 믿음이 언어에 반영됐다는 주장이다.

 

 

이처럼 죽음에 관한 다양한 표현은 단순한 언어적 다양성을 넘어, 한국 사회의 관계 중심 문화와 예의, 그리고 죽음에 대한 경외심을 보여준다.

 

언론에서는 ‘사망’ 대신 ‘별세’, ‘서거’ 등으로 고인을 높이고, 종교와 신분에 따라 적절한 용어를 선택해 사용한다.

 

동물의 죽음에도 사람에게 사용하는 ‘작고’ 같은 표현을 사용해 논란이 일기도 했지만, 이왕이면 죽음에 대한 단어의 의미와 속뜻을 알고, 적합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이 고인과 유족에 대한 예의임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죽음을 둘러싼 우리말의 풍성함은, 그만큼 한국인이 죽음이라는 사건을 엄숙하고 다층적으로 받아들여 왔음을 방증한다. 언어는 곧 문화다.

 

죽음을 둘러싼 다양한 표현 속에는, 삶과 죽음, 그리고 그 사이의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한국인의 깊은 정서와 예의가 녹아 있다.

 

죽음의 언어를 들여다보면, 삶을 대하는 한 사회의 태도가 보인다. 우리말의 다양한 죽음 표현은, 결국 남은 이들의 슬픔을 덜고, 떠난 이를 예로써 보내려는 마음의 산물일 것이다.

 

라틴어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역시 인간의 유한성과 겸손을 상기시키는 철학적·문화적 개념이다. 고대 로마에서는 개선장군이 승리 후 시가행진시 노예가 "메멘토 모리"를 외치며 오만함을 경계하도록 했다. "죽음을 기억하라" 또는 "너는 반드시 죽는다는 것을 기억하라"는 의미다. 이 또한  우리 인간들에게 삶의 유한성을 인식하고 현재를 소중히 여기는 겸손한 태도를 가지라는 가르침을 안겨준다.

배너
배너
배너



방한 앞둔 뉴캐슬 유나이티드 '욱일기 논란' 사과...서경덕 "좋은 선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한국 방한을 앞둔 잉글랜드 프로축구 뉴캐슬 유나이티드가 새 시즌 유니폼을 공개하는 영상에 욱일기가 연상되는 장면을 포함한 것에 대해 사과했다. 뉴캐슬은 7월 2일(한국시간) 구단 SNS를 통해 "2025-2026시즌 서드 유니폼을 공개한 영상에 의도치 않게 불쾌감을 줄 수 있는 장면이 포함됐다. 죄송하다"며 해당 장면을 영상에서 삭제했다. 편집 전 영상에는 두 명의 팬이 욱일기와 유사한 모양의 깃발을 들고서 환하게 웃는 장면이 나와 누리꾼들 사이에서 논란이 됐다. 특히 뉴캐슬은 이달 말 아시아 프리시즌 투어를 위해 한국과 싱가포르 방문을 앞두고 있어 욱일기 연상 장면은 더욱 비난을 받을만 했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뉴캐슬의 발빠른 조치를 환영한다"며 "이번 일은 앞으로 유럽 축구리그에서 사용되는 욱일기 문양을 없애는데 좋은 선례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금까지 서 교수는 유럽 4대 축구리그(프리미어리그, 라리가, 분데스리가, 세리에A)에서 욱일기가 등장할 때 마다 전 구단을 대상으로 항의 메일을 꾸준히 보내왔다. 서 교수는 "무엇보다 월드컵 때 등장한 욱일기 문양을 국제축구연행(FIFA)에 항의하여 없앤 사

[지구칼럼] '생태계 영웅' 하루살이…하루만 살까?·찰나를 위한 오랜 기다림·에너지 흐름의 단순화·종의 생존과 유전자의 전달·먹이공급자로 '희생'·거대한 ‘에너지 폭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하루살이처럼 산다.” 내일이 없이, 하루하루 무의미하게 살아가는 사람에게 보통 이렇게 말한다. 때론 삶의 덧없음과 순간의 허무를 상징한다. 하지만 이 말은 하루살이를 제대로 알지 못하고 쓰는 말이다. 하루살이의 생애를 깊이 들여다보면, 그 짧은 생이 자연과 인간 모두에게 던지는 묵직한 메시지와 철학적 질문이 숨어 있다. 하루살이의 성충(어른벌레) 시기는 단 하루, 길어야 2~3일에 불과하다. 하지만 이 짧은 생애가 자연 생태계, 특히 먹이사슬에 미치는 영향은 결코 짧지 않다. 하루살이 역시 지구의 구성원으로서 하찮아 보이지만 너무나도 큰 역할을 수행중이다. 1. 하루살이, 정말 하루만 살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하루살이(영어: Mayfly, 학명: Ephemeroptera)가 이름처럼 단 하루만 살다 사라진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이는 절반만 맞는 이야기다. 하루살이의 성충(어른벌레) 시기는 대개 1~2일, 길어야 3일까지다. 이 시기에는 입이 퇴화해 먹이도 못 먹고, 오로지 짝짓기와 산란만을 위해 존재한다. 하지만 진짜 하루살이의 인생은 물속에서 시작된다. 유충(애벌레) 시기는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까지도 지속된다. 즉, 하

[내궁내정] 죽음을 칭하는 단어 25개 이상 "존칭·종교·시대의식까지"…죽음의 단어 속뜻과 죽음을 높이는 이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우리말에는 ‘죽음’을 뜻하는 단어가 유난히 많다. 일상적으로 쓰이는 ‘죽음’, ‘사망’ 외에도, 높임말로 ‘별세’, ‘작고’, ‘영면’, ‘서거’, ‘타계’ 등이 존재한다. 게다가 이 가운데 ‘사망’을 빼면 대부분 죽음을 높인다. 각 단어 역시 쓰임새와 뉘앙스가 미묘하게 다르다. 죽음을 뜻하는 단어의 속뜻과 이렇게 죽음을 높이는 이유를 알아봤다. 죽음을 이르는 단어, 25개 이상 별세(別世)는 윗사람이 세상을 떠남, 작고(作故)는 고인이 되었다, 영면(永眠)은 영원히 잠들다, 서거(逝去)는 죽어서 세상을 떠남(특히 지위가 높은 이에게 사용), 타계(他界)는 인간계를 떠나 다른 세계로 갔음, 특히 귀인(貴人)의 죽음의 표현이

"폭염·장마엔 뽀송한 호캉스가 제격"…여의도 메리어트, ‘레이니 서머 칠’ 패키지로 드라이하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여의도 메리어트 이그제큐티브 아파트먼트(이하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가 무더위와 습기로 외출이 꺼려지는 장마철, 뽀송한 쉼을 선사하는 ‘레이니 서머 칠 (Rainy Summer Chill)’ 객실 패키지를 새롭게 선보인다. 이 패키지는 비오는 날 호텔 내에서 다양한 액티비티와 진정한 휴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도록 기획됐다. 투숙객에게는 호텔 내 컨템포러리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 ‘파크카페’와 한식 레스토랑 ‘수 라운지’에서 식음료 크레딧이 제공되며 장마철 필수품인 UV 차단 골프 우산도 특별 증정한다. 또한 약 2000평 규모의 피트니스 센터, 실내 수영장, 실내 골프 연습장, 스쿼시룸, 사우나, GX 프로그램 등 다양한 부대시설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어, 비로 인한 야외 활동 제약에도 지루할 틈 없이 건강하고 활기찬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여의도 메리어트 호텔 관계자는 “장마철 야외 활동이 어려운 시기에도 쾌적하고 활기찬 도심 속 호캉스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혜택을 마련했다”며 “실내 액티비티와 미식, 휴식을 모두 경험할 수 있는 ‘레이니 서머 칠’ 패키지로 장마철을 더욱 특별하게 보내시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제는 경험비” 희소성 추구하는 식음료 新패러다임…음식과 공간, 브랜드까지 '어벤져스 마케팅' 뜬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인증샷을 염두에 둔 비주얼 중심의 보여주기식 외식 문화보다, 실패 없는 맛을 보장하는 셰프와 메뉴에 주목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최소한의 시간을 투자해 최대한의 만족과 경험을 추구하는 이른바 ‘경험비’가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인증 스티커가 붙은 입구 사진이나 전문가 추천 맛집 등 비주얼보다도 음식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을 다룬 콘텐츠들이 증가하는 것도 이러한 흐름을 보여준다. 식음료업계가 최근 변화에 맞춰 소비자들의 시간과 노력을 최소화하면서도 만족도 높은 경험을 제공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인증된 맛집들과 함께하는 특별한 미식 주간, 코카-콜라 레드리본 위크 2025 코카-콜라는 최근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는 8곳의 레스토랑과 협업해 ‘레드리본 위크’를 운영 중이다. 매주 목요일 캐치테이블 앱을 통해 사전 예약이 진행되는데, 몇몇 레스토랑은 예약이 페이지 오픈 10분 내 마감되는 등 많은 관심을 받았다. 26일에는 조준모 대표의 짚불구이 전문점 ‘몽탄’ 예약이 예정돼 있다. 레드리본 위크는 검증된 맛집에서 제공되는 한정 메뉴라는 희소성이 소비자들의 경험 욕구를 자극하며, 차별화된 외식 경험을 제공한다는 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