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

  • 맑음동두천 5.0℃
  • 맑음강릉 9.3℃
  • 맑음서울 6.3℃
  • 맑음대전 6.8℃
  • 맑음대구 8.8℃
  • 맑음울산 8.1℃
  • 구름많음광주 8.1℃
  • 맑음부산 9.3℃
  • 흐림고창 7.3℃
  • 구름많음제주 10.4℃
  • 맑음강화 3.8℃
  • 맑음보은 5.9℃
  • 맑음금산 6.8℃
  • 맑음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7.3℃
  • 맑음거제 6.2℃
기상청 제공
thumbnails
빅테크

[빅테크칼럼] AI가 무정자증 남성의 40%에서 정자 발견…"숨겨진 정자 찾아 불임 치료 가능성"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베일러 의과대학 연구진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무정자증(azoospermia)으로 진단받은 남성의 약 40%에서 생존 가능한 정자를 발견했다는 획기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무정자증은 사정액에 정자가 전혀 없다고 판단되는 상태로, 전 세계적으로 불임 남성의 10~15%에 영향을 미치며 국내외에서 약 1%의 남성에게서 발생하는 흔한 불임 원인 중 하나다. 미국 내 60만명에 달하는 가임 연령 무정자증 남성들이 이 진단을 받고 있으나, 대부분은 정자 생산 자체에 문제가 있는 비폐쇄성 무정자증(non-obstructive azoospermia)으로 알려져 있다. Urology Times, CNN Health, People.com, The Lancet, Prolistem, Mayo Clinic에 따르면, 베일러 의대 남성 생식의학 및 외과 부문의 블레어 스톡스 교수를 중심으로 한 연구팀은 기존 수동 검사가 최대 8시간 걸리는 반면, AI 기반 고속 유세포 분석 시스템으로 밀리초 단위로 이미지를 처리해 정자를 신속히 찾아내는 데 성공했다. 이 시스템은 정액 샘플에서 수천 초당 이미지를 스캔하고, AI 알고리즘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운 희귀 정자까지 선별해내면서 진단 정확성과 검출 속도를 대폭 향상시켰다.​​ 현재 무정자증 환자들은 주로 미세절개 고환 정자 추출술(Micro-TESE) 같은 침습적 수술법을 통해 고환에서 직접 정자를 회수하는 방법밖에 없다. 이들은 국소 또는 전신 마취를 필요로 하고, 출혈, 통증, 고환 손상 등의 위험 부담이 크며 성공률도 평균 30~50%에 불과하다. 반면 AI 기술은 이러한 수술적 접근 필요성을 줄여 고통과 비용을 크게 낮추고 환자들에게 희망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콜롬비아대 연구팀이 개발한 STAR(Sperm Tracking and Recovery) 시스템과 같이 수백만 장의 이미지를 AI가 빠르고 정밀하게 분석해 희귀 정자를 찾아내는 기술이 올해 초 실제 임상 성공을 거두면서, AI를 활용한 난임 치료가 현실이 되고 있다. STAR 시스템은 2일간 숙련된 기술자가 정자를 찾지 못한 샘플에서 1시간 만에 44개의 정자를 찾아내 임신에 성공한 사례도 보고됐다.​ 국내외 유수 의료기관과 연구진들은 AI가 정자 형태, 움직임, 생존력 등 복합적 불임 인자를 분석해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면서도, 현재는 더 많은 임상시험과 장기적 데이터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밝히고 있다.​ 이번 베일러 의대 연구는 유세포 분석 기술과 AI 알고리즘을 결합해 불임 진단의 근본적 변화를 예고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향후 불필요한 침습적 수술을 대체하면서도 정밀한 맞춤 진단과 치료의 길을 연 계기라는 점에서 불임 분야 연구자 및 환자들로부터 주목받고 있다.


최신뉴스




많이 본 카드뉴스


영상뉴스(유튜브)

더보기


배너

최근 한달 많이 본 기사




































배너








People

더보기

Visual+

더보기

가장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