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25 (화)

  • 흐림동두천 6.0℃
  • 흐림강릉 8.7℃
  • 박무서울 8.6℃
  • 흐림대전 9.4℃
  • 흐림대구 9.5℃
  • 구름많음울산 15.1℃
  • 구름조금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5.4℃
  • 구름많음고창 9.5℃
  • 구름많음제주 13.6℃
  • 구름많음강화 7.5℃
  • 구름많음보은 8.0℃
  • 구름많음금산 9.5℃
  • 구름많음강진군 10.7℃
  • 구름많음경주시 11.1℃
  • 구름많음거제 13.4℃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The Numbers] 대기업, 직원 2.8% 증가 vs 임원 9.3% 증가…직원 100명당 임원 비중 1.04%→1.11%

500대 기업 331개사 2020년 1분기·2025년 반기 현황 비교 분석
금융·통신 업종 등 격차 확대…개별 기업 중 씨티은행·교보생명·KT 등 두드러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난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임원 증가율이 직원 증가율의 약 4배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권 등 일부 업종에서는 직원수가 줄었는데 임원만 늘어나는 현상도 확인됐다. 올해 임원 인사가 한창 진행 중인 가운데, 조직 내 이런 구조적 격차가 어떻게 반영될지 주목된다.

 

11월 2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고 비교 가능한 331개 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1분기 대비 2025년 반기까지 5년간 직원·임원 증가율을 분석한 결과, 이들 기업 직원수는 121만9586명에서 125만3474명으로 3만3888명(2.8%) 증가에 그친 반면 임원수는 1만2688명에서 1만3873명으로 1185명(9.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임원이 직원보다 3배 가까이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이다. 이로 인해 직원 100명당 임원수 비율도 1.04%에서 1.11%로 0.07%포인트 상승했다. 5년간 23개 업종에서 직원·임원수가 모두 증가한 경우는 13개였으며, 직원수는 감소했지만 임원수가 증가한 업종은 3개, 직원·임원수 둘 다 감소한 업종은 4개였다.

 

이 가운데 가장 격차가 심한 곳은 은행·보험 등 금융업종이었다.

 

은행권은 조사 대상 12곳의 직원수가 9만2889명에서 8만3907명으로 8982명 감소(–9.7%)한 반면, 임원은 293명에서 327명으로 34명 증가(11.6%)했다. 한국씨티은행은 직원이 56.3% 감소한 사이 임원은 17.6% 증가해 격차가 가장 컸다. 한국스탠다드차타드은행도 직원 16.7% 감소, 임원 16.7% 증가로 흐름이 유사했다. 국민은행은 직원 12.5% 감소할 때 임원은 28.6% 증가했으며, 하나은행 역시 직원 8.0% 감소, 임원 42.3% 증가로 임원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반면 신한은행(직원 –10.8%, 임원 –9.7%)과 우리은행(직원 –7.3%, 임원 –6.5%)은 직원·임원수가 모두 줄었다.

보험업도 비슷했다. 전체 직원수는 4만4847명에서 4만2103명으로 2744명 감소(-6.1%)했는데, 임원수는 671명에서 734명으로 63명 증가(9.4%)했다. 기업별로는 교보생명이 직원 7.7% 감소, 임원 53.7% 증가로 괴리가 가장 컸고, 롯데손해보험도 직원 1.8% 감소, 임원 52.4% 증가로 큰 차이를 기록했다. 한화생명, 흥국생명, 미래에셋생명, KDB생명은 직원·임원수가 모두 감소했다.

 

 

통신, 유통, 석유화학업종은 직원·임원수가 동반 하락했지만, 직원 감소폭이 더 컸다.

 

통신 3사의 경우 직원수는 3만9408명에서 3만608명으로 22.3%(-8800명) 감소했는데, 임원은 285명에서 281명으로 4명 줄어드는 데 그쳤다. KT는 격차가 특히 컸다. 직원수가 2020년 2만3234명에서 올해 1만4512명으로 37.5%(-8722명) 감소하는 사이 임원은 107명에서 102명으로 5명 줄어드는 수준이었다. 반면 SK텔레콤은 직원 2.1%(118명) 증가, 임원은 7.3%(-8명) 감소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유통 부문도 마찬가지였다. 16개 기업의 직원수는 9만3038명에서 8만3655명으로 10.1%(-9383명) 줄었으나, 임원수는 548명에서 532명으로 2.9% 감소에 그쳤다.

 

산업 구조조정이 이어지고 있는 석유화학 업종도 27개 기업 직원수가 6만8700명에서 5만9215명으로 13.8%(9485명) 감소했고, 임원은 1207명에서 1122명으로 7.0%(-85명) 줄었다.

 

성별로 보면 여성 증가세가 남성을 크게 웃돌았다. 여성직원은 2020년 31만7714명에서 올해 33만6046명으로 1만8332명이 증가해 5.8% 늘었다. 같은 기간 남성직원은 90만1872명에서 91만7428명으로 1만5556명 늘어 1.7% 증가에 그쳤다. 여성임원 증가폭은 더욱 컸다. 2020년 585명이던 여성임원은 올해 1114명으로 529명(90.4%)이나 늘었으며, 남성임원은 1만2103명에서 1만2759명으로 656명(5.4%) 증가하는 데 그쳤다.

 

다만 여성 증가에 따른 여성임원 비중 확대는 제한적이었다. 남성직원 100명당 남성 임원은 2020년 1.3%에서 올해 1.4%로 변화한 반면, 여성 직원 100명당 여성 임원은 0.2%에서 0.3%로 여전히 낮았다. 전체 직원 중 여성 비중도 26.1%에서 26.8%로 30%에 미치지 못했다. 전체 임원 가운데 여성임원 비중이 4.6%에서 8.1%로 늘어난 것은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에 이사회 성별 다양성을 의무화한 개정 자본시장법 시행 이후 여성 사외이사가 늘어난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이슈&논란] "규제에도 27만명 몰렸다” 연내 서울 3600가구 분양…역삼센트럴자이·오티에르 반포·더샵 르프리베·아크로 드 서초·아크로 리버스카이 '눈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잇따른 부동산 규제에도 서울 분양시장은 여전히 뜨거운 청약 열기를 이어가고 있다. 올해 서울에서 진행된 1순위 청약에는 총 22만여명이 몰리며 견조한 분위기를 재확인했다. 분양·입주권 거래량도 크게 늘어나면서 연내 공급될 신규 단지들에 대한 관심이 한층 높아지는 모습이다. 20일 기준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해 서울에서 분양한 아파트는 15곳으로 1순위 청약에 총 27만5,766명이 몰렸다. 이는 동기간 전국 1순위 청약자(62만856명)의 약 44.42%에 달하는 수치다. 특히 이번 정부의 첫 부동산 대책인 6.27대책이 발표된 6월 이후에도 청약자가 20만명 가까이 몰리는 등 청약 열기가 식지 않고 있다. 개별 단지의 경쟁률도 치열하다. 서초구 반포동 일원에 들어서는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은 11월 진행된 1순위 청약에 무려 5만4,631명이 몰리면서 237.5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난 9월 분양한 송파구 신천동 ‘잠실 르엘’은 1순위 청약자 6만9,467명, 평균 경쟁률 631.6대 1을 기록했다. 청약 시장 활기로 분양·입주권 거래도 증가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 자료에 따르면 올해(1월~10월)

삼표시멘트, 업계 최초 3년 연속 ESG 전 부문 ‘A등급’ 달성…지속가능경영 최고 수준 입증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표시멘트가 국내 최고 권위의 ESG 평가기관인 한국ESG기준원(KCGS)이 발표한 2025년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평가에서 시멘트 업계 최초로 3년 연속 전 부문 A등급 이상을 달성하며 ‘통합 A등급’을 획득했다. 건설기초소재 전문기업 삼표그룹(회장 정도원)의 핵심 계열사인 삼표시멘트(대표이사 배동환•이원진)는 한국ESG기준원(KCGS)이 주관한 2025년 ESG 평가에서 ‘통합 A등급’을 받았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평가는 ▲안전 최우선 현장 운영 체계 확립 ▲친환경 특수 시멘트 ‘블루멘트’ 확대 등 생산 공정 환경영향 최소화 ▲투명한 의사결정과 준법•윤리 경영 정착 ▲지역사회 맞춤형 사회공헌 활동 확대 등 ESG 전 영역에서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경영 활동을 지속해 온 결과다. KCGS는 국내 대표 ESG 평가기관으로 매년 국내 상장기업의 지속가능경영 수준을 평가한다. 평가 등급인 통합 A는 환경(E)•사회(S)•지배구조(G) 전 부문에서 높은 수준의 ESG 경영을 펼치고 있는 기업에게 부여된다. 삼표시멘트는 시멘트 업계 최초로 3년 연속 전 부문 A등급 이상을 기록했다. 특히 사회(S) 부문에서는 지난해에 이어 최고

한미글로벌, 테크 포럼 개최..."스마트 건설기술, 인프라 건설에도 적용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국내 1위 건설사업관리(PM) 전문기업 한미글로벌(회장 김종훈)이 '스마트 인프라 건설'을 주제로 올해 하반기 'HG 테크 포럼'을 오는 12월 2일 오후 1시 서울 강남구 코엑스 컨퍼런스룸 317호에서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스마트 인프라 건설'이다. 특히 국내 양수발전소 프로젝트에서 스마트 건설기술 적용 과제와 전략을 다룰 예정이다. 최근 건설 기술의 디지털화와 자동화가 가속화되며 해외 인프라 공사에서는 성공적인 적용 사례가 늘고 있지만, 국내 토목 인프라 분야에서는 디지털 기술 적용이 더딘 상황이다. 한미글로벌은 이번 포럼을 통해 미래 스마트 인프라 시장의 변화를 분석하고, 국내 현장에 최적화된 스마트 건설 솔루션 도입을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발주자 및 건설 관련 기업들과 공유할 예정이다. 기조강연은 한국도로공사 스마트건설사업 단장을 역임한 조성민 연구처장이 ‘인프라 건설의 미래와 스마트 기술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한다. 이어 첫 번째 주제 발표 세션에서는 인프라 사업에 참여했던 건설기업들의 스마트 건설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성 향상과 성과를 창출한 사례를 다룬다. DL E&C에서 ‘드론을 활용

[공간사회학] “전세도 스펙 경쟁" 임대인·임차인 모두 검증받는 시대…임차인 면접·6개월 인턴·변호사 세입자 사양 등 ‘뉴 노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파트 전세 품귀와 전세의 월세화 흐름 속에서 ‘임차인 면접제’가 한국 임대차 시장의 신(新)풍속도로 부상하고 있다. 전세사기·역전세 사태 이후 임대인에 대한 정보공개가 제도화된 데 이어, 이번에는 임대인이 임차인의 신용·범죄 이력과 ‘생활 태도’까지 검증하겠다는 역(逆)요구가 맞붙으면서 전월세 계약을 둘러싼 힘의 균형이 근본적으로 재편되는 양상이다.​ 국회로 올라간 ‘임차인 면접제’…서류–면접–6개월 인턴까지 국회 국민동의청원 게시판에는 11월 12일 ‘악성 임차인으로 인한 피해 방지를 위한 임차인 면접제 도입’ 청원이 올라와 동의 절차를 밟고 있다. 이 청원은 요건 심사 통과 뒤 공개 하루 만에 100명의 사전 동의를 채웠고, 이후 동의자가 1000명을 넘기며 임대인 불만과 불안 심리가 적지 않음을 보여줬다. 국회법상 30일 안에 5만명 이상 동의를 확보하면 소관 상임위원회가 150일 이내에 공식 심사에 착수해야 한다.​ 청원인이 요구하는 ‘임차인 면접제’는 사실상 채용 절차에 준하는 3단계를 상정한다. 1차 서류전형에서는 ▲신용정보조회서(대출 연체 여부) ▲범죄기록회보서 ▲소득금액증명원(월세 납부 능력) ▲세금완납증명서(국세